Depot of Jeju azbang

제주아즈방의 이런 저런 여러가지 관심사 창고

🤍 나의 日常/├ 오름 테우리 . 218

'13. 6. 4. - 영천오름~칡오름~도라미오름.

일시 : '13. 6. 4. 09:40~12:40 (3시간) 일행 : 5명 / OK호출 '트멍'오름동호회 코스 : 영천오름 ~ 칡오름 ~ 도라미오름. 오늘은 서귀포 법호촌의 영천오름 북쪽에서부터 시작하여 오름의 정상을 거쳐 남쪽으로 내린다음, 길을 건너서 유리온실농장의 안쪽 오솔길-동상효 칡오름의 북서쪽 사면으로 올라서 정상을 거쳐 서남쪽으로 내린다음, 중산간도로를 건너서 농로따라 내려오다가 신효의 월라봉 동북쪽 사면으로 올라서서 능선따라 월라봉 남쪽의 끝 절벽위까지, 오름 세 개, 약 5km의 거리를 답사하였다. 특히, 월라봉 남쪽 능선상의 감귤원내에 있는 '朝鮮 訓鍊院 判官 李윤之墓'의 약 3~400여평의 묘지는 새로운 발견이었다. 영천오름, 영세미오름, 靈泉岳(영천악), 靈川岳(영천악) 서귀포시 상..

'13. 5. 31. - 방애오름

일시 : '13. 5. 31. 08:20 ~ 14:20 (6시간) 일행 : 5명 (나, 윤길 부부, 경자 외 ) 코스 : 영실-윗세오름-남벽분기점-방애오름-윗세오름-영실. 방애오름, 砧岳(침악) 서귀포시 동흥동 산1번지 일대 [웃방애] 표고 : 1,747.9m / 비고 : 73m / 둘레 : 1,094m / 면적 : 89,796㎡ [방애오름] 표고 : 1,699.3m / 비고 : 129m / 둘레 : 2,406m / 면적 : 394,807㎡ [알방애] 표고 : 1,584.8m / 비고 : 85m / 둘레 : 1,669m / 면적 : 214,973㎡ 한라산 정상 백록담의 남벽 등반로 앞에 위치한 오름으로 3개의 봉우리가 남북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원추형 오름. 세 봉우리는 위로부터 '웃방애오름', 가운..

'13. 5. 23. - 왕이메 (두번째)

일시 : '13. 5. 23. 15:45 ~ 17:30 (1시간 45분) 일행 : 5명 (나, 윤길 부부 외 / 범띠 들) 코스 : 왕이메 북 입구→북사면→북능선→(수직동굴)→(능선따라)→암메창(왕이메 화구)→서북사면 →북 입구. 15:45. 15:47. 15:50. 15:53. 15:56. 15:58. 능선길. 15:59. 지치덴 .. ^^ 16:00. 16:02. 동북쪽 봉우리에서 보이는 화구 건너 정상쪽 봉우리. 16:03. 내리막길. 밧줄이 .. 16:04. 삼나무 숲 내리막. 16:05. 삼나무들이 죽어서 많이 쓸어져 있다. 16:06. 다시 참나무 숲의 오르막. 16:10. 좌측(동쪽)으로 희미한 갈림길. 고목가지로 막아놓았다. 광평에서 올라오는 길인가 .. 16:14. 꼬불꼬불 .. 아기자기..

'13. 5. 7. - 노로오름

일시 : '13. 5. 7. 09:50 ~ 14:20 일행 : 4명 (OK'트멍' 오름동호회) 노로오름 노로오름 : 표고 1,070m / 비고 105m 족은노로오름 : 표고 1,019.2m / 비고 34m. 노로오름은 남북으로 두 봉우리가 이어져 있으며 각각 큰 노로와 족은 노로로 구분한다. 임도를 정비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으나 노로오름은 길이 복잡하여 산행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큰 노로오름은 정상부와 습지를 빼면 오름 전체가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다. 정상에 오르면 위풍당당 한라산부터 붉은오름과 삼형제, 한대오름, 산방산으로 이어지는 오름들의 풍광은 오름 매니아들이 왜 노로 오름을 많이 찾는지 보여주기에 충분할 만큼 뛰어나다. 오름 정상은 서부지역 일부를 제외하면 조망은 아주 좋..

'13. 5. 1. - 이승이오름

일시 : 2013. 5. 1. 09:20 ~ 11:30 일행 : 14명 / 남원운수 종사원 * '근로자의날'을 맞아 회사차원의 행사로 오전은 이승이오름을 탐방하고, 오후에는 모모농장에서 흑돼지 야외 바베큐로 뒤맞이. '앗따, 날씨 좋고 !!' 한라산도 쾌청! 목초지도 쾌청!! 뒤에 '성널오름', 가운데 '논고오름', '아래 조그맣게, 삼나무숲으로 덮혀 있는게, 516도로 남쪽에 숨어있는 '검은오름'? '단체로 하나 박자!' 회사 종사원의 1/3. 나머지는 농장에서 뒤맞이 준비겸 먹세들이 남아있고 .. ^^ 농장으로 .. 점심먹고, 소주 한잔하고, 요것들을 찍었어야 하는데, '사진빨'이 별로 안 받을것같아서 ... 그런데, 요 놈의 '넉지판'의 '세운 몰'에 그만 넋이 나가서, 취한김에 '부침탕' 했다가,..

'13. 4. 26. - 고리오름

일시 : 2013. 4. 26. 09:45 ~ 13:30 일행 : 혼자 코스 : 서성로 한남교차로 주차 - 남쪽 100m쯤 철문 - 오름 동쪽 사면 - 정상 - 서쪽사면 - 서남쪽을 돌아 남쪽 방목지 - (방목지에서 2시간여 고사리 꺽고) - 출발지점. * 오늘은 '님도보고 뽕도 따고'.. 오름도 오르고 고사리도 꺽고.. 님은 오름, 뽕은 고사리 ^^! 고리오름, 고이오름, 고이악(高伊岳), 고리악(古利岳), 고리악(古狸岳) 남원읍 한남리 산16번지 일대 표고 : 302m / 비고 : 52m / 둘레 : 1,153m / 면적 : 90,743㎥ 서쪽을 산머리로 하여 동서로 등성마루가 완만하고 느슨하게 길게 뻗어서 동쪽 끝에도 자그마한 봉우리가 형성돼 있다. 그 사이에 고갯길이 가로질러 나 있고 오름 북쪽에..

'13. 4. 9. - 알바매기, 웃바매기

일시 : '13. 4. 9. 10:00 ~ 13:30 (3시간 30분) 알바메기 / 10:00 ~ 11:50 (1시간 50분. 웃바메기 / 12:00 ~ 13:30 (1시간 30분) 일행 : 6명 (OK 트멍 오름동호회) 알바매기, 下栗岳(하율악) 조천읍 선흘리 산59-1번지 일대 표고 : 393.6m / 비고 : 154m / 둘레 : 2,806m / 면적 : 505,969㎡ 북서쪽으로 깊게 패어 있는 말굽형 화구를 가진 화산체. 화구 앞쪽(북쪽)에는 숲 속에 쌓인채 솟아오른 알오름이 있는데, 이는 침식사면상에서 미끄럼(sliding)에 의한 산물로 추정된다. 오름 전사면은 해송과 삼나무가 조림되어 억새풀과 어우러져 울창한 숲을 이루며, 서사면 굼부리 기슭에는 활엽낙엽수림과 상록수림의 숲을 이루고 있다...

'13. 4. 3. - 예촌망

일시 : '13. 4. 3. 14:50 ~ 17:50 일행 : 혼자 코스 : 집(위미)-공천포 해안-망장포 해안-예촌망 앞 단애-(귤밭)-정상-예촌가름-공천포-집(위미) 禮村望(예촌망), 狐村峰(호촌봉), 망오름, 남원읍 하례리 95-11번지 일대 표고 : 67.5m / 비고:63m / 둘레:2,630m / 면적:312,719㎥ 산정부는 넓고 평평한 구릉지대이며 동서 두 봉우리로 이루어진 원추형의 돔화산체이다. 용암원정구인 해안절벽은 서귀포시 앞바다의 범섬, 문섬, 숲섬과 제지기오름으로 이어지는 조면암질의 용암돔과 같은 시대의 분출산물로 추정된다. 마을에서는 동쪽 봉우리를 ‘큰망’, 서쪽 봉우리를 ‘족은망’이라 부르고 있다. 이 오름에 있었던 봉수대는 1960년대 이후 감귤원이 조성되면서 사라져 버렸다고..

'13. 4. 1. - 머체오름

일시 : '13. 4. 1. 12:00 ~ 14:40.(2시간 40분) 일행 : 혼자. 머체오름, 마체악(馬體岳) 남원읍 한남리 산2-1번지 표고 : 425.8m / 비고 : 51m / 둘레 : 1,321m / 면적 : 125,020㎥ 머체오름은 거린오름, 머체오름, 넙거리로 이어져 있는 북동-남서 방향의 산등성이 상에 위치한 원추형 화산체이다. 전 사면으로 해송과 삼나무가 조림되어 숲을 이루고 있다 완만한 사면을 가진 원추형으로, 남북으로 다소 긴 등성마루에 분화구는 찾아 볼 수 없다. 이 오름 남서쪽 기슭에서 시작되는 내(川)는 한남리, 의귀리, 남원리 세 마을을 가로질러 바다로 내리며, 마을에 따라 이 내(川)를 서중천, 한남천, 남원천이라 부른다. 거린악 남쪽에 위치한 오름으로 남원읍 한남리 쓰레..

'13. 3. 20. - 생길이오름(生氣岳)

일시 : '13. 3. 20. 14:15~15:10 (55분) 일행 : 혼자 그동안 높은오름, 알려진 오름들만 찾아다니면서, 가까운 곳에 있다는 이유(?)로 못 다닌 오름들을 운동겸해서 오르기로 작정을 하고서, 그제 망오름(자배봉)에 이어 오늘은 생길이오름을 찾았다. 집에서 나설때는 바람도 없고 별로 춥지 않아서 가볍게 차려입었더니 오름 입구쯤에 오자 바람이 많이분다. 그래도 얇은 바람막이 옷을 들고온게 다행이다. 생길이오름, 生氣岳, 生吉岳. 남원읍 신례리 산34번지 일대 표고 : 260m / 비고 : 65m / 둘레 : 1,912m / 면적 : 167,924㎥ 평지에 가까운 등성마루가 세 가닥으로 뻗어내려 남서쪽으로 벌어진 말굽형 화구를 이루고 있고, 동사면 기슭 자락은 상록수가 우거진 종남천 계곡으..

'13. 3. 18. - 망오름(자배봉)

일시 : '13. 3. 18. 14:55 ~ 15:45.(50분) 일행 : 혼자. 망오름, 자배오름, 자배봉(資輩峰), 자배봉(資盃峰) 남원읍 위미리 산143번지 일대 표고 : 211.3m / 비고 : 111m / 둘레 : 2,829m / 면적 : 440,293㎥ 오름 북쪽정상에는 가시덤불속에 팽나무(폭낭) 한그루가 서 있고, 그 안에는 넓고 깊은 깔데기형 굼부리가 그 위용을 자랑한다. 남쪽과 북쪽의 봉우리가 뚜렷하고 남쪽 봉우리에는 봉수대의 흔적도 있다. 화구 내에는 여러가지 나무들이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다. 남원읍 위미리 대성동 중산간도로(1136번)변에 접해 있는 오름으로 산책로가 잘 꾸며져 있다. 한자로는 資盃(자배), 自盃(자배), 子盃(자배), 資輩(자배), 雌輩(자배), 紫蒲(자포) (岳,..

'13. 3. 12. - 알세(삼형제) 오름

일시 : '13. 3. 12. 09:50 ~ 13:10 (3시간 20분) 일행 : 7명 (OK 트멍 오름동호회) * 알세(삼형제)오름 * 애월읍 광령리 산18-2번지 및 장전리 산1번지 일대 큰오름 → 표고 : 1,142.5m / 비고 : 118m / 둘레 : 2,262m / 면적 : 367,384㎡ 샛오름 → 표고 : 1,112.8m / 비고 : 123m / 둘레 : 2,419m / 면적 : 412,642㎡ 족은오름 → 표고 : 1,075m / 비고 : 125m / 둘레 : 2,118m / 면적 : 340,627㎡ 해발 천백고지의 알세(삼형제)오름은 세개의 오름이 동서로 나란히 늘어서 있어 세오름이라고도 부른다. 한라산 천백도로의 탐라각휴게소 옆길로부터 큰오름과 샛오름 족은오름이 차례로 서쪽방향으로 이..

'13. 1. 29. - 바굼지(단산), 절울이(송악산)

일시 : '13. 1. 29. 09:50 ~ 14:00 (4시간 10분) 바굼지 / 09:55 ~ 11:10 / 1시간 15분. 절울이 / 11:30 ~ 13:20 / 1시간 50분) 일행 : 6명 (OK 트멍 오름동호회) -------------------------------------------------------------------------------------------------------- 바굼지오름, 바구미오름, 단산(簞山), 파군산(破軍山) 안덕면 사계리 3121번지 일대 표고 : 158m / 비고 : 113m / 둘레 : 2,566m / 면적 : 339,982㎡ '바굼지'는 바구니의 제주방언이나 원래 '바구미'였던 것이 '바굼지'와 혼동되어 한자표기도 한자이 뜻을 빌어 簞山(단산)..

'13. 1. 17. - 큰사슴이, 번널오름.

일시 : '13. 1. 17. 14:05 ~ 15:50 일행 : 5명 (우리부부, 윤길부부 외) 눈발이 날리고 바람도 매섭게 부는데도, 가시리에서 '수에몰망국'에 막걸리 몇잔을 걸쳤더니 추운줄을 모르겠단다 ^^ '큰사슴이' 정상에서 따뜻한 커피 한잔씩 마시고, 분화구를 한바퀴 돌고 내려오니 조금 모자란단다 ^^ 가시리로 내려오는길에 서쪽으로 나지막히 보이는 '번네오름'을 가볍게(?) 올라 가잔다. 가볍게(?) 올라선 번네오름의 능선은 칼바람이 분다 ! 가벼운게 아니라, 허겁 지겁 내려오고 말았다 ^^ 카메라 밧테리가 다 나가버려서 핸폰으로 찍었더니 사진은 엉망이다 ㅋㅋㅋ 14:05 정석항공관 옆 주차장에서 출발 ^^ 우리 마눌, 완전무장이다 ^^ '큰사슴이' 화구내를 찍으려했더니 밧테리가 없다 ㅋㅋㅋ 김..

'13. 1. 15. - 동광 거린, 북, 서광 남소래기 오름.

일시 :'13. 1. 15. 10:10 ~ 12:10 (2시간) 장소 : 동광 거린, 북오름. 서광 남소래기오름. 일행 : 5명 (OK 트멍 오름동호회원) 거린, 북오름(了岳, Y岳, 傑人岳) 서귀포시 안덕면 동광리 산93번지 표고: 314.3m / 비고: 84 m / 둘레: 1444 m / 면적: 121783 m² 안덕면 동광마을 남서쪽 서광리 도로연변에 두개의 봉우리를 품고 남북으로 가로누운 오름이다. 서광초등학교 동광분교장 입구에서 모슬포방향으로 150m 지점의 도로 우측길로 들어서면 오름정상부까지 오를 수 있다. 남쪽봉우리는 거린오름으로 풀밭을 이루면서 해송이 듬성듬성 서있고, 북쪽봉우리는 북오름으로 해송림을 이루면서 두 오름 사이에는 남서쪽으로 깊게 패인 골짜기로 이어져 있다. ※ 오름명의 유래..

'13. 1. 6. - 서우봉, 원당봉.

- '13. 1. 6. 일요일. - 일행 : 서귀포 산남금고 초록산악회 회원30명 + 직원5명 - 소요시간 : 1시간 40분.(서우봉 45분 + 원당봉 55분) 06:40 산남금고앞 출발(전세버스) 07:40 함덕 해수욕장 (서우봉 서쪽 주차장) 07:55 망오름(서우봉 북봉) 08:15 서우봉(남서모) 정상 08:25 주차장 08:30 ~ 08:45 버스로 이동 08:50 원당봉 입구 09:20 원당봉 정상 09:45 하산 10:50 서귀포 '전원잔치타운' 犀牛峰(서우봉), 서모오름, 西山(서산) 조천읍 함덕리 169-1번지 표고 : 111.3m / 비고 : 106m / 둘레 : 3,493m / 면적 : 835,758㎡ 함덕해수욕장 동쪽에 바다를 접해 있는 오름이다. 완만한 등성이가 크게 두 봉우리를 ..

'12. 12. 18. - 감낭오름, 원물오름, 도너리오름.

일시 : '12. 12. 18. 09:40 ~ 12 :50. (3시간 10분) 일핼 : 4명 (OK콜 '트멍' 오름동호회) 코스 : 감낭오름 → 원물오름 → (차로 이동) → 도너리오름. 꽤 추운 날씨이다. 감낭오름을 가기위해 산록도로를 달리는데, 차 밖의 온도는 0˚ 이다. 날씨탓에 오늘의 탐방인원도 조촐하다 ^^ 인원이 6명을 넘어야 차 2대를 이용하여 한 대는 코스 종점에 세워두고, 한 대는 시작점으로 이동하면 코스를 길게 잡을 수 있는데, 오늘은 어쩔 수 없이 주차한곳을 기점으로 원점회귀코스를 잡을 수 밖에 .. 감낭오름에는 싸락눈발이 날린다. 감낭오름, 柑木岳(감목악) 안덕면 동광리 산41번지 일대 표고 : 439.8m / 비고 : 45m / 둘레 : 1,370m / 면적 : 117,413㎡ 오..

'12. 12. 4. - 돔박이, 고수치, 왕이메

* 산행메모. 일시 : '12. 12. 4. 10:10 ~ 12:50 (2시간 40분) 일행 : 7명 (OK호출택시 '트멍'오름동호회) 코스 : 청하공원 주차장→돔박이→고수치→왕이메 서사면→암메창(왕이메 화구)→동능선→수직동굴 →서사면→광평리. 10:10 (00:00) 산록도로.. → 청하공원.. → 청하공원 주차장에 주차. 주차장 구석쪽에 작은 오솔길. 편백나무 숲길을 따라 .. 10:20 (00:10) 돔박이 정상에 도착. 다음차례인 고수치가 보이고 ... 10:25 (00:15) 돔박이와 고수치 사이의 삼나무숲. 10:32 (00:22) 고수치 북능선에서 내려다 본 고수치 화구. 잡목으로 어우러져 있어서 바닥이 안 보인다. 고수치에서 넘겨다 본 왕이메. 고수치에서 인증 샷 ^^ 북돌아진 오름도 보이..

'12. 11. 20. - 무오름, 여진머리(大竝岳), 족은오름(小竝岳).

일시 : '12. 11. 20. 09:55 ~ 12:25 (2시간 30분) 일행 : 5명 (OK호출 '트멍'오름동호회) 코스 무악(북쪽)→정상→남사면→여진머리(북쪽)→정상→동사면→족은오름(서사면)→정상→동사면→상천마을. 오늘은, OK콜 '트멍'오름동호회원 4명과 함께 안덕면 상천리의 무악, 대병악(여진머리, 골른오름), 소병악(족은오름)을 찾았다. 무악(개오름)과 쌍둥이 오름이라 부르는 병악(여진머리, 골른오름)과 함께 세개의 오름은 말굽형 화구를 이루고 있으며,무오름은 남향, 큰오름(여진머리)은 북향, 족은오름(소병악)은 서향으로서 각각 제방향 이면서도 서로 마주보고 있다. 무악 북쪽에서 능선으로 올라서서 정상을 거쳐 남사면으로 내려서면, 길 건너 여진머리(대병악)으로 연결이 되고, 여진머리(대병악)와..

'12. 11. 14. - 보리악(세번째)

일시 : '12. 11. 14. 13:30 ~ 16:10 (2시간 40분) 일행 : 3명 (나, 상숙부부) 코스 : 수악교-왕벚꽃 자생지-'하찌마끼'길-보리악 정상-협곡-수악계곡(서쪽 숲길)-'하찌마끼'길-수악교. '보리악'은 오늘이 세번째, 보리악 정상은 두번째이다. 처음은 수악교 서쪽 숲길로 오르다가 '하찌마끼'길 사거리에서 수악계곡으로 내려서서 내창을 따라 북진, 협곡을 지나고, 보리악 북쪽 기슭으로 올라서서 '논고오름' 서북사면으로 정상에 올라선 다음, 북능선, 동능으로 해서 남쪽으로 하산. 두번째는 수악교 동쪽 '왕벚나무 자생지'에서 무조건 북쪽을 향하여 생작으로 올라서 정상까지 오르고, 정상에서 서쪽, 북쪽 사면, 다시 정상으로 한바퀴 돌아서 동남쪽 길(흔적)을 따라 내리다가 논고악쪽으로 가는..

'12. 11. 8. - 보리악.

'12. 11. 8. 목요일. 09:30 ~ 12:20 (2시간 50분) 새벽에 3명이 영실에서 선작지왓까지 다녀오고서 일행중 許씨는 출근하고, 金씨는 할 일이 있다고 귀가하고 ... 아무래도 조금 모자라서 '지난번에 수악계곡으로 보리악 협곡을 지나면서 못오른 보리악 정상을 가볼까..' 하고 망설이는데 ... 초록산악회 부회장이 마침 같이 가잔다. 그래서, 둘이서만 ... 보리오름, 保狸岳 남원읍 신례리 산2-1번지. 표고 739.6m / 비고:130m / 둘레:2,803m / 면적:442,410㎥. 울창한 숲 사이에 솟아있는 원추형 화산체. 오름 서∼남서록을 끼고 있는 깊은 계곡은 수악계곡으로 울창한 상록수림으로 덮여있고, 군데군데 단층과 용암류와 안벽(岸壁)이 기관(奇觀)을 이루고 있다. 논고악에서 ..

'12. 11. 6. - 영아리, 마보기, 조근대비악.

- '12. 11. 6. 화요일. - 일행 : OK호출 '트멍 오름동호회' 11명 - 소요시간 : 2시간 55분. 09:55 안덕 쓰레기 매립장 입구 주차, 임도 따라 북쪽으로 출발. 10:10 영아리오름 입구. 서쪽으로 -> 11:05 영아리 남정상 (휴식, 사진촬영) 10:45 영아리(서쪽 기슭) 늪. 휴식 (25분) 11:40 마보기오름 북능 정상 12:00 산록도로 (도보로 이동) 12:20 조근대비오름 서쪽 기슭. 12:30 조근대비오름 서쪽 화구 정상. 12:37 조근대비오름 동쪽 화구. 12:50 조근대비오름 동북쪽으로 하산. * 뒤맞이는 월산동 '전옥식당'에서 염소탕, 단고기전골에 소주 ^^ 영아리. 靈阿利岳(영아리악) 안덕면 상천리 산24번지 일대 표고 : 693m / 비고 : 93m /..

'12. 10. 5. - 성널오름(城板岳)

- 일자 : '12. 10. 5. - 산행시간 : 8시간 20분 (07:20 ~ 15:40) - 산행코스 매표소→1.3km표지판→임반터→서북능선→정상→서남능선→성널계곡→성널폭포→수도관길→매표소 성널오름(城板岳) 남원읍 한남리 산2-1번지 일대 표고 : 1,215.2m / 비고 : 165m / 둘레 : 3,383m / 면적 : 645,717㎡ 웅장하고 의연한 산체로 크고 가파르며, 한라산 주봉(백록담 : 부악) 동쪽 산사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오름이다. 정상부는 북쪽을 주봉으로 남쪽과 남동쪽에 작은 봉우리가 형성됐고, 우묵진 그 복판은 수림으로 덮인 가운데 바위들이 보인다. 이것이 분화구인지는 분명치 않으나 습지를 이루고 있다. 계곡의 하나인 성널계곡은 크고 깊어 천연림 속의 절경을 이루고, 또한 계곡에 ..

'12. 5. 22. - 이승이오름

- '12. 5. 22. 화요일. - 일행 : OK호출 '트멍 오름동호회' 5명 - 소요시간 : 2시간 50분. 09:30 서성로 이승이오름 탐방휴게소 주차, 예촌목장 따라 북쪽으로 출발. 09:55 이승이오름 입구 삼거리. 동쪽으로 -> 10:10 화구내에서 흐른 냇가 평상에서 휴식 (10분) 화구 동쪽능선을 타고 정상으로 -> 10:50 정상 전망대(정자)에서 휴식 (20분) 11:10 하산 시작 11:30 해그문이沼 (10분) 하천 서쪽길(신례천 생태로)따라 -> 12:20 이승이오름 탐방휴게소 도착 * 뒤맞이는 '상위미가든'에서 오리 양념두루치기에 소주 ^^

'12. 5. 8. - 궤펜이오름 3형제

- '12. 5. 8. 화요일. - 일행 : OK호출 '트멍 오름동호회' 5명 - 소요시간 : 3시간 30분. 09:45 성판악휴게소 주차, 516도로 따라 북쪽으로 출발. 10:05 표고버섯밭 입구 10:15 ?오름 입구 - 10:25 ..오름 정상 - 10:50 원점 11:05 표고밭 광장 - 궤펜이 안부 사거리 11:20 11:30 큰궤펜이 정상 (휴식 15분) - 화구 능선 한바퀴(10분) 12:05 궤펜이 안부 사거리 12:10 샛궤펜이 정상 12:30 섯궤펜이 정상 서능선(휴식 15분) -서궤펜이 서남사면 - 13:15 성판악 휴게소 516도로에서 포고밭진입로를 들어섰다. 넙거리오름으로 착각하여 오를 준비를 하는 회장 ^^ 엉뚱한 오름의 정상부근의 (양씨)묘. 바람을 못 이겨서 나둥그러진 거목..

'12. 3. 13 - 바농, 족은지그리, 큰지그리 오름.

바농오름 - 족은지그리 - 큰지그리오름. 1. 일시 : 2012년 3월 13일(화). 흐림. 2. 일행 : OK호출 '트멍'오름동호회 (6인) 3. 산행기점 : 돌문화공원 후문 4. 산행시간 : 3시간 15분 5. 진행 돌문화공원 후문 주차(09:55) - 바농오름 정상(10:10) - 바농오름 원형분화구 서능선(10:25) - 서남쪽으로 하산(10:35) - 족은지그리 북쪽 사면(10:45) - 족은지그리 능선 (휴식 11:00~11:15) - 족은지그리 남쪽 하산(11:30) - 큰지그리 북쪽사면(11:45) - 북 능선 - 능선의 중간지점 묘 - 전망대(11:55) - 동남쪽으로 하산(12:10) - 돌문화공원 중간 - 돌문화공원 후문(13:10) 바농오름 바늘오름, 바능오름, 針岳(침악), 盤凝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