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pot of Jeju azbang

제주아즈방의 이런 저런 여러가지 관심사 창고

🤍 나의 日常/├ 오름 테우리 . 218

'15. 3. 24. - 금능 정월오름.

일시 : '15. 3. 24. 11:30~12:40 / 1시간 10분. 일행 : 3명 / OK 트멍. * 정월오름, 정월이, 正月岳(정월악) 한림읍 금능리 565-61번지 표고 : 106.2m / 비고 : 56m / 둘레 : 1,645m / 면적 : 192,446㎡ / 저경 : 494m 북서쪽으로 벌어진 말굽형 화구를 이룸. 화구 침식부의 전면에서 약간 우측에 소위 알오름이라 불리우는 평평한 작은 구릉이 있으며, 해송숲 사이에 공동묘지가 조성되어 있다. 말굽형 화구 안사면에는 대부분 가족공동묘지로 이용되고 있고 화구바닥은 경작지이며, 오름사면에는 해송이 주종을 이루면서 보리수나무, 가시나무 등과 함께 잡목들이 식생하고 있다. 금능농공단지 입구에서 금능방향으로 조금 들어가 좌측 시멘트포장길을 따라 진입하면..

'15. 3. 24. - 상명 밝은, 느지리 오름.

일시 : '15. 3. 24. 09:50 ~ 11:20 / 1시간 30분. 일행 : 3명 / OK 트멍. 코스 : 밝은오름 -(車 이동)- 느지리오름. * 밝은오름, 明岳(명악), 벌근오름 한림읍 상명리 1696번지 일대 표고 : 182.5m / 비고 : 43m / 둘레 : 1,054m / 면적 : 78,972㎡ / 저경 : 325m 북쪽으로 침식된 말굽형 화구를 이룸. 오름 정상부와 남쪽사면을 제외한 전사면에 농경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농경지 출입을 위한 농로가 오름 동남쪽에서 북서쪽 산허리를 둘러 정상까지 개설되어 있다. 동쪽 중간사면 부근에 식수로 사용 되었던 것으로 보이는 샘터가 남아 있다. 해송이 주종을 이루면서 닥나무, 보리수나무가 듬성듬성 식생하고 있다. 한림읍 관내에는 밝은오름이 셋이 있다..

'15. 2. 24. - 저지오름, 마오름, 이계오름, 가메창

일시 : '15. 2. 24. 09:40 ~ 13:30 / 3시간 50분 일행 : 4명 / OK트멍 코스 : 저지마을회관 →닥모르(저지오름)→마오름→일체동산-현장이동산 →이계오름→가메창→ 마을회관 약 7km. * 오늘 계획은, 닥모르(저지오름)을 거쳐서 마오름, 뒷동산, 송아오름, 이계오름을 지나 가메창까지 탐방 계획을 했었는데, 마오름을 지나 '뒷동산'으로 착각한 '일체동산'을 넘는바람에 송아오름을 지나쳐 버렸다. ^^ * 저지오름 / 닥몰오름, 새오름, 楮旨岳(저지악), 鳥岳(조악) 한경면 저지리 산 51번지 표고 ; 239.3m, 비고 ; 104m, 둘레 ; 2,542m, 면적 ; 379,316㎡, 저경 ; 621m 저지리를 수호하면서 한경면을 대표하는 오름이다. 보는 방향에 따라 모양새를 달리 하..

'15. 2. 14. - 족은거린, 큰거린.

일시 : '14. 2. 14. 09:15~13:45 / 4시간 30분. 일행 : 4명. 오늘은, 네명의 일행 중 두명이 큰거린오름을, 한명이 민오름을 못 왔었다기에 족은거린오름, 큰거린오름을 거쳐서 서중천을 따라 내려오다가 민오름까지 돌아서 한남마을공동목장을 거쳐 태풍센타쪽으로 내려올 계획이었으나, 큰거린오름에서 서쪽으로 내려버리는 통에 한 시간 여를 헤메였고, 쉬면서 한 잔술을 한다는게 콩 팥 튀기다(^^)보니 시간이 많이 지체되어서, 민오름은 다음으로 미루기로 ... 09:15. '머체왓 숲길' 탐방센타 주차장에서 출발. 09:37. '소롱콧 편백낭 치유의 숲길'과 '서중천 하천길' 사이의 쭈욱 뻗은 구 임도따라 .. 09:52. 옛날 서당에서는 글을 右에서 左로 읽으라고 배웠으니 .. '지금산입' ..

'15. 1. 31. - 족은, 큰거린오름.

일시 : '15. 1. 31. 09:35~13:10 / 3시간 35분 일행 : 3명 오늘은 머체왓 숲길의 종결판. 처음 만들어논 '머체왓 숲길'을 서너차례 걸었고, 일주일전에는 새로 조성한 '소롱콧 편백낭 치유의 숲'을, 4일전에는 '소롱콧길' - '편백낭 치유의 숲' - '족은거린오름' - '서중천 냇창길'을, 오늘은, 4일전 걸었던 '족은거린오름'에서 '큰거린오름'까지 오르고, 큰거린오름에서 서중천으로 바로 내려서려고 했지만 매서운 바람과 날리는 눈이 얼어붙은 바위들이 위험스러워서 냇창변 숲길로 내려오다가 안전한 지점의 냇창을 가로질러서 '한남리 마을 공동목장'길로 내려왔다. 09:37. 춥다 ! 한라산쪽은 눈구름이 잔뜩 덮혀있고, 주차장 바닥도 상강으로 바삭 바삭 !! 09:40~09:55. 소롱콧..

'15. 1. 27. - 족은거린오름.

일시 : '15. 1. 27. 09:30~13:00 / 3시간 30분 / 약 10 km. 일행 : 5 명 그저께 걸었던 편백숲을 다시 걸어 올라가서 방사탑쉼터를 지나, 족은거린오름까지 .. 09:28. 오늘은 꽤 쌀쌀하다. 한라산도 서쪽에서 몰려오는 구름에 서서이 덮혀가고 .. 09:36. 오늘도 안 가본 길, '머체왓 숲길'의 중간정도를 가로지른 작은 냇창길, '소롱콧'길로 올라 간다. 09:37. '소롱콧길' 입구에서 인증 샷. ^^ 09:47. 작은 냇창길을 벗어났다. 09:49. 올렛길 같지도 않은데 .. 09:57. 09:59. '편백낭 치유의숲길' 입구. 올 때 마다 안내판에 '현위치' 표지가 잘 못 표기됬다고 투덜 투덜 .. 10:01. 편백낭 이 우거진 숲길의 표지판. 10:01. 편백낭 ..

'14. 11. 18. - 모구리, 유건에, 나시리 오름.

일시 : '14. 11. 18. 10:10~13:25 / 3시간 15분 / 약 8 km. 일행 : 5 명 / 나, 태진, 영중, 성주 부부. 10:10. 모구리 야영장 주차장에서 출발. 10:16. 극기훈련장을 지나고.. 10:17. 오름산책로 표지판을 따라 .. 10:19. 10:22. 모구리오름 산책로 입구. 10:23. 모구리오름 능선길. 10:24. 10:27. 모구리오름 능선 숲길. 10:30. 모구리오름의 정상에서 가을 풍경을 보며 숨을 돌리고 ... 10:30. 모구리오름 정상에서 보이는 다랑쉬오름 방향. 10:30. 다랑쉬오름을 좀 땡겨도 보고 .. 10:30. 우도, 일출봉. 10:32. 반대편으로 내리기 시작. 10:33. 제법 가파른 계단길이다. 10:35. 계단길을 버리고 숲속으로 ..

'14. 11. 4. - 구두리, 쳇망(가시)오름.

일시 : '14. 11. 4. 09:35 ~ 12:25 ( 2시간 50분 / 약 5km) 일행 : 6 명 / OK호출 '트멍' 오름 동호회 09:35. 남조로 마사회 종마목장 남쪽 끝지점에 차를 세워놓고 동쪽숲으로 바로 들어간다. 09:39. 숲사이로 한 10여 m 쯤 헤치고 들어가면 종마목징내 시멘트포장길로 내려선다. 09:39. 남조로 밑으로 뚫린 목장내 굴다리길. 09:45. 목장에는 큼직한 종마들이 한가롭게 풀을 뜯고있고, 좀 떨어진 곳에는 노루까지 놀고있다. 09:45. 우리의 인기척에 도망을 갈까 말까 망설이는 모양 .. 09:49. 시멘트 포장길 따라 동족으로 700여 m 쯤에서 길이 꼬부라지는 지점에 오른쪽으로 울타리로 들어간다. 09:52. 울타리 사이로 들어가면 바로 좌측으로 따라 가면..

'14. 9. 11. - 궁대, 돌리미, 낭끼오름.

일시 : '14. 10. 16. 09:50~12:30. 일행 : 4명 동부 목장지대의 낮으막 한 - 마치 솔박 엎어 놓은듯 한 오름 세개를 찬찬이, 가을을 음미하면서, 가을에 취해서 걸었다. 09:42. 궁대오름 입구에 차를 주차하고... 09:53. 궁대오름 서쪽에 있는 성산읍공원묘지 동쪽으로 들머리를 잡고 .. 09:56. 궁대오름의 터진 화구안의 경작지. 09:58. 궁대오름 정상 가까이 편백 숲의 계단길. 10:05. 궁대오름 정상을 지나 능선길의 억새밭 벤치. 10:47. 궁대오름 동북쪽의 전망대에서 보이는 낮으막한 돌리미오름. 11:00. 궁대오름 동남쪽 사면의 편백숲 계단길. 11:06. 뒤굽은이 오름 입구. 11:14. 뒤굽은이 오름 서쪽의 편백숲 능선길. 11:18. 뒤굽은이 오름의 동남..

'14. 6. 9. - 높은, 아부오름.

일시 : '14. 6. 9. 14:30~ 16:10 일행 : 4명 ( 나, 윤길부부, 경자) '제6회 사려니숲 에코힐링 체험' 행사로 평소 통제된 사려니 숲길 구간을 지난 7일부터 21일까지 2주간 임시개방한다는 소리에, 사려니오름에서 516도로 성판악휴게소쪽으로 나가볼까 하였는데, 같이 가기로 한 친구부부가 늦장을 부리는 바람에 .. 또, 사려니오름입구에서는 진입은 안되고, 비자림로쪽과 붉은오름쪽으로만 진입이 가능하다네 .. 17:00시 까지는 돌아와야 꼬맹이 下校 마중도 해야겠고 .. 그래서, 친구부부가 송당 높은오름을 안가봤다고 해서 송당쪽으로 .. 14:40. 구좌공원묘지입구에 주차하고서 높은오름으로 .. 14:45. 예전에 없던 나무계단. 마지막 왔던게 .. 한 3년쯤 .. 14:47. 야자매트..

'14. 5. 22. - 볼레, 이스렁, 어스렁 오름.

일시 : '14. 5. 22. 10:10~15:50 (5시간 40분) 일행 : 4명 / 나, 윤길부부, 신자. 행적 : 영실1주차장 ~ 존자암 ~ 볼레오름 ~ 이스렁 ~ 어스렁 ~ 볼레 ~ 존자암 ~ 영실 1주차장. 10:11. 10:12. 10:16. 10:31. 10:32. 10:51. 10:55. 10:55. 10:57. 10:57. 11:14. 11:17. 11:20. 11:22. 11:22. 11:22. 11:48. 11:48. 11:48. 11:53. 11:57. 12:01. 12:08. 12:09. 12:15. 12:15. 12:28. 12:30. 12:41. 12:41. 12:45. 12:45. 12:47. 12:50. 12:50. 12:52. 12:59. 12:59. 12:59. 13:0..

'14. 5. 6. - 큰개오리(견월악), 샛개오리, 족은개오리

- 일시 : '14. 5. 6. 10:10~ - 일행 : 7명 - 행적 : 절물 후문 - 큰개오리 - 샛개오리 - 족은개오리 외변 - 절물 후문. * 큰개오리 화구로 샛개오리까지는 잘 갔는데.. 샛개오리 북동쪽으로 내려서 바로 질러 족은개오리로 올라야 하는데, 좌측으로 또렷한 오솔길을 따라 가다보니 엉뚱하게 초지로 나가버렸다. 초지 가장자리를 따라 돌아오다보니 족은개오리 기슭을 한바퀴 돌아버린 셈이 되었고, 일행중 시간에 쫓기는 회원의 재촉에 정상 오르기를 포기하고 '장생의숲길'을 질러서 원점으로 회귀. 개오리오름, 개월오름, 犬月岳(견월악), 제주시 봉개동 산78-1번지, 제주시 용강동 산14-1번지 표고 : 743m / 비고 : 118m / 둘레 : 3,504m / 면적 : 640,913㎡ / 저경 ..

'14. 4. 8. - 모지, 장자, 갑선이 오름

일시 : '14. 4. 8. 10:15~13:30 (3시간 15분) 일행 : 5명 / OK호출 '트멍' 오름 동호회 코스 : 모지오름 - 장자오름 - (차로 이동) - 갑선이 오름. 모지오름, 뭇지오름, 母地岳(모지악), 母子岳(모자악) 표선면 성읍1리 산22번지 표고 : 305.8m / 비고 : 86m / 둘레 : 3,082m / 면적 : 535,643㎡ / 저경 : 977m 북동쪽으로 길게 벌어진 말굽형 화구 안에는 화구구(알오름 - 표고 268m, 비고 13m)가 솟아있고, 이를 에워싼 등성마루가 마치 어린애를 품은 어머니의 모습을 보인다. 화구가 벌어진 동쪽 방향으로 고분과 같이 보이는 크고 작은 봉우리가 구릉지대를 이루고 있으며, 이중 가장 높은 언덕을 오미동산이라 부른다. 오름 전사면은 삼나무..

'14. 4. 3. - 큰개오리오름(견월악)

- 일시 : '14. 4. 3. 11:00~12:10 (1시간 10분) - 일행 : 2명 / 나, 수일 큰개오리오름, 개월오름, 犬月岳(견월악), 제주시 봉개동 산78-1번지, 제주시 용강동 산14-1번지 표고 : 743m / 비고 : 118m / 둘레 : 3,504m / 면적 : 640,913㎡ / 저경 : 1,298m 크고 작은 세 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진 다양한 형태를 갖고 있는 복합형 화산체이며, 개오리오름은 주봉(743m)인 송신탑이 서 있는 곳의 오름을 말한다. 전체적으로 두 개의 말굽형 화구를 갖는 복합형이다. 전사면이 낙엽수, 상록수 등이 울창하게 우거진 자연림을 이루고, 일부에 삼나무, 소나무가 있다. 산 모양이 개오리(가오리)처럼 생겼다는 이름이며 가으리오름, 개워리오름, 개월오름으로 불..

'14. 3. 11. - 장, 왕, 볼레오름

일시 : '14. 3. 11. 10:02 ~13:33 (3시간 31분) 일행 : 5명 / OK 호출 '트멍'오름동호회 코스 : 1100고지 휴게소 ~ 장오름 ~ 왕오름 ~ 볼레오름 ~ 존자암 ~ 영실 1주차장. 장오름, 갯그르 서귀포시 중문동 산1번지 표고 : 1,132.1m / 비고 : 27m / 둘레 : 874m / 면적 : 55,507㎡ / 저경 : 308m 이 오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고 있다. 예전에 이 오름 일대에 노루가 많이 서식했기 때문에 장(獐 ;노루) 오름이라 불려진 것으로 보아진다. 1100고지 휴게소에서 한라산 정상 쪽으로 보면 왼쪽에는 이, 오른쪽에는 이 위엄 있게 버티고 있고, 을 배경 삼아 쪽으로 조금 치우친 곳에 자그만 둔덕처럼 보이는 두 개의 오름이 있다. 그 ..

'14. 2. 25. - 부소, 부대, 거문오름.

- 일시 : '14. 2. 25. 10:00 ~ 14:00 (4시간) - 일행 : 5명 / OK호출 '트멍' 오름동호회 '무사 걷는 폼덜이 ..' 투덜 투덜 ^^ 적당이 배도 고프고, 교래리에서 꿩메밀국수나 먹자고 의견일치를 보고서, 교래리 어는 번드르(?)한 칼국수집의 현관문을 들어서려는 순간 ... 현관문에 '꿩메밀칼국수 12000원' 이라는 스티카 ! 저절로 발이 멈추고 .. 아무리 생각해도 너무 비싸다 ! '꿩메밀칼국수' 다섯사발이멘 60,000원 ! 또시, 술 값 허민 .. ㅋㅋㅋ '차라리 남원 읍사무소 뒤 금화식당 강 오리 혼모리 먹게 ! 게민, 조베기도 또랑 나올거고 !' ^^ 그래서 미련없이 뒤 돌아 나와서, 남원으로 ! 자글 지글 오리 주물럭 ! 오리 주물럭 한마리에 45,000원. 오후..

'14. 2. 11. - 번널, 병곳, 설 오름.

일시 : '14. 2. 11. 10 :10 ~ 13 :15 ( 3시간 5분) 일행 : 3명 / OK 호출 '트멍' 오름동호회 코스 : 번널오름 → 병곳오름 → (車로 이동) → 설오름. 서성로로 올라선 다음에 해비치 골프장 방면으로 직진하면 병곳오름 앞으로 녹산로까지 신설도로가 연결되어있다. 10:10. 녹산로 가기 전 400여m 에서 좌측으로 시멘트포장 농로를 따라 500여m를 올라가면 병곳오름의 동남쪽 입구 안내판이 서 있다. 따로 주차공간도 마련돼 있지 않고 노폭도 좁아 노견에 바싹 붙여 주차해야 한다. 이곳에 차를 두고 걸어서 번널오름을 넘어 병곳오름 서북쪽으로 올라서 다시 이곳으로 내리기로 하고 출발. 10:14. 일회용 비옷이라도 걸쳐야 하나 .. 10:22. 10여분을 걸어오니 녹산로변에 혜..

'14. 1. 28. - 가메옥, 거친오름, 거슨세미.

일시 :'14. 1. 14. 10:10~13:50 (3시간 40분 / 약 8km) 일행 : 4명 / OK호출 '트멍'오름동호회 10:13. 얕으막한 동산같은 '가메옥'이 보인다. 10:25. 길이 뚜렷하질 않다. 10:25. 동쪽으로 체오름, 밧돌, 안돌, 높은오름, 거슨세미, 백약이오름 등.. 10:28. 가메옥의 서북능선. 10:28. 10:29. 북쪽 능선. 10:30. 서남쪽으로 터진 화구. 10:31. 가메옥의 정상이다. 10:33. 서쪽으로 부대악이 보인다. 10:33. 일단, 인증샷! 가메옥, 가메혹 구좌읍 송당리 1712 표고 : 368m 비고 : 28m 둘레 : 619m 면적 : 22,764㎡ 저경 : 235m 오름의 모양새가 의 과 비슷하다 하여 가메옥·가메혹이라 불려지고 있다. 이 오..

'14. 1. 2. - 달산봉, 제석오름

일시 : '14. 1. 2. 11:50~13:14.(1시간 25분) 일행 : 3명 (나, 수일, 수흡, 학용) 達山峰(달산봉), 達山望(달산망), 망오름, 당산봉. 표선면 하천리 1043번지 일대 표고 : 136.5m / 비고 : 87m / 둘레 : 1,482m / 면적 : 152,322㎡ / 저경 : 630m 동쪽으로 터진 말굽형 화구를 이루고 있고, 화구 앞쪽에 제석오름이라는 알오름이 있는데, 이는 달산봉 화구에서 떨어져 나간 슬라이딩(sliding)의 암설류이다. 전체적으로 이 오름은 세봉우리의 능선으로 길게 누워 있는 형태로 동쪽사면은 가파르고, 서사면은 공동묘지가 조성되어 있다. 이 오름은 예전에 봉수대가 있어 북서로 남산봉수, 남서로 토산봉수에 응했다고 한다. 산정부에는 가시덤불이 우거진 가운..

'13. 12. 27. - 의귀 넉시오름, 남원2리 운지오름.

일시 : '13. 12. 27. 11:10~12:10. 일행 : 3명 (나, 수일, 수흡) 넉시오름, 넋이오름, 넉이악, 넉시오름, 魄犁岳. 남원읍 의귀리 531번지 일대. 표고 146m / 비고 56m. 남서∼북동으로 다소 평평한 등성마루를 이루고, 남동사면으로 골이 패어 내렸으며 반대쪽 북서사면에 넓고 얕은 굼부리가 벌어졌으나 숲에 덮여서 화구라고 할만큼 드러나 보이지는 않는다. 서쪽 능선이 뻗어 내린 곳에 봉곳하게 알오름 같은 것이 도드라져 있어 마을에서는 이를 새끼오름이라고 부르고 있다. 오름 기슭에는 마을사람들이 본향당으로 모시는 넉시오름 널당이 있어 신목(神木)인 팽나무 노목을 돌담으로 두른 제터에서 해마다 제를 지낸다. 마을의 수호신을 모시는 당이다. 오름 전사면 중턱까지 돌아가며 감귤원이 ..

'13. 12. 3. - 세화 가세오름, 표선 매오름.

일시 : '13. 12. 3. 10:40 ~13:30. 일행 : 4명 (나, 수일, 광렬, 영중) 가세오름, 袈娑峰(가사봉), 可沙峰(가사봉), 可沙岳(가사악) 표선면 토산리 산2번지 일대 (토산1리 월지동 동편에 위치) 표고 : 200.5m / 비고 : 101m / 둘레 : 2,365m / 면적 : 373,099㎡ / 저경 : 771m 이 오름은 행정구역상 세화1리와 토산1리에 걸쳐져 두 마을의 중간에 자리잡고 있는데, 세화리 쪽에서 보면 사다리꼴 모양이고, 토산리 쪽에서 보면 숲이 우거진 가운데 여자의 젖무덤 같이 봉긋하게 두 봉우리가 어우러져 판이한 양상을 보여준다. 북봉과 남봉사이에는 얕게 골이 패이고, 서쪽으로 침식된 말굽형 화구를 이루고 있으며, 화구안부 중턱에는 오름에서 흘러나오는 샘이 있는..

'13. 10. 22. - 우진제비, 민오름(선흘)

일시 : '13. 10. 22. 10:50 ~ 13:15 / 2시간 25분. 우진제비 10:50 ~ 12:00. 민오름 12:25 ~ 13:15. 일행 : 8명 / OK호출 '트멍'오름동호회원 우진제비, 우전제비, 牛鎭山(우진산) 조천읍 선흘리 산111, 113, 114번지 표고 : 410.6m / 비고 : 126m 둥글고 통통한 산체에 서쪽 봉우리가 주봉이며, 북동쪽으로 벌어진 말굽형 화구를 가진 화산체. 화구 안사면의 기슭에는 샘이 있다. 그냥 보기에는 오름전체에 삼나무가 조림되어 있는듯 보이나 화구 안쪽에는 자연림을 이루고 있다. 우진제비(우전제비)가 무슨 뜻인지 그 어원은 알 수 없으나 한자로는 옛지도나 묘비 등에 牛鎭山(우진산), 牛眞貯岳(우진저악), 于鎭岳(우진악), 牛鎭接(우진접) 등 여러 ..

'13. 10. 18. - 볼레오름.

일시 : '13. 10. 18. 14:30~18:05 = 3시간 35분 일행 : 5명 코스 : 1100고지~(왕오름 남 기슭)~(장오름 남능선)~볼레오름~(장오름 북능선) (왕오름 북)~1100고지 볼레오름, 불레오름, 浦涯嶽(포애악), 乶羅岳(볼라악), 佛來山(불래산), 尊者岳(존자악) 서귀포시 하원동 산1-1번지 일대 표고 : 1,374.2m / 비고 : 104m / 둘레 : 2,839m / 면적 : 453,146㎡ 주봉인 남쪽 봉우리와 북동쪽 봉우리와의 사이에 평평한 등성마루는 북서향으로 넓게 벌어진 말굽형 화구를 이룬다. 남사면 중턱에는 제주도에서 가장 오래된 명사찰로 알려진 존자암(尊者庵)의 옛터와 약수터가 있다. 남사면에는 적송이 영실 주변과 연계되어 대단위 군락을 이루고, 서사면의 기슭 자락..

'13. 9. 26. - 세미, 것구리 오름.

일시 : '13. 9. 26. 13;30 ~ 16:00. 일행 : 5명 (나, 윤길 부부 외 2) 세미오름, 샘이오름, 천미악(泉味岳), 천악(泉岳), 사미악(思美岳) 조천읍 대흘리 산27-1번지 표고 : 421m / 비고 : 126m / 둘레 : 1,988m / 면적 : 261,938㎡ / 저경 : 681m 남-북서 방향으로 가로누워 있는 오름. 산등성이는 남에서 북으로 곧게 뻗어 있고 서쪽으로 완만하고 평평한 등성마루를 이루면서 남서쪽으로 완만하게 벌어져 말굽형 화구를 이룬다. 샘이 있어 '세미오름'이라 부르는데 샘은 오름 북동쪽(와산리 쪽) 기슭에 타원형으로 돌담이 둘러져 보호되고 있다. 예전에 院이 있었던 오름자락(꾀꼬리오름과의 사이 한길가)에는 지금도 院洞, 원터 등의 지명이 남아 있고, 동녘자..

'13. 9. 10. - 마중이(마종오름), 문도지오름.

일시 : '13. 9. 10. 10:10~10:30 (20분) 마중이(마종오름) 11:50~12:10 (30분) 문도지오름. 일행 : 7명 (OK호출 '트멍' 오름동호회) 10:09. '마중오름' 표지석. 오름에 비해서 표지석만 거창(?)스럽다. ^^ 10:11. 골목이 세갈래로 갈리는데, 왼쪽 길로.. 10:12. 다행스럽게도 소형 포크레인이 지나갔었는지 괘도 자국과 더불어 무성한 풀들을 눕혀놓았다 ^^ 10:15. 10:19. 뚜렷한 정상마루는 없고 .. 10:20. 사방 조망이 좀 뚤린 이 억새밭이 조금은 높은 마루인듯 .. 10:23. 남쪽으로 무조건 .. 10:25. 서남쪽으로 조금 더 내려서자, 저지오름과 못이 내려다 보인다. 10:29. 길이 마땅치 않아서 다시 뒤로! 돌아서니 북쪽으로 보이..

'13. 9. 8. - 지미, 큰물뫼(대수산봉)

일시 : '13. 9. 8. 07:10~09:40 (2시간 30분). 일행 : 45명 (산남금고 초록산악회) 구좌읍 종달리 지미오름과 성산읍 고성리 큰물뫼(대수산봉). 07:15. 버스에서 내려서, 밭너머 보이는 지미오름을 우선 담아보고 .. 07:17. 오름 표지석. 올려다 본다. 정상에 예전에 없던 구조물이 보인다. 전망대? 07:18. 只未岳 ? 地尾峰이 맞을것 같은데 .. 07:22. 오름 동남쪽의 오르막. 07:26. 계속 계단길이다. 07:27. 중턱에서 숨을 고르며, 일출봉을 건너다 본다. 07:37. '젊은넘덜'은 벌써 .. ^^ 07:38. 종달리 마을과 멀리 일출봉. 07:40. 牛島도 손에 잡힐듯 .. ^^ 07:43. 머가 그리 급한지 .. 숨만 돌리고선 서쪽으로 .. ^^ 화구 능..

'13. 8. 27. - 샛개오리, 거친오름.

일시 : '13. 8. 27. 10:20~14:10 ( 3시간 50분) 샛개오리 10:20~12:05 거친오름 13:02~14:10 일행 : 6명 (OK호출 '트멍'오름동호회) 샛개오리, 犬月岳中峰(견월악중봉) 제주시 봉개동 산78-1번지 표고 : 658.3m / 비고 : 58m / 둘레 : 1,049m / 면적 : 73,832㎡ / 저경 : 377m 5.16도로(제1횡단도로) 조랑말목장 동쪽의 방송중계탑이 설치되어 있는 오름에서 북동쪽의 작은오름. 큰개오리와 작은개오리 사이에 원추형의 작은 오름이 위치해 있다. 전체적으로 두 개의 말굽형 화구를 갖는 복합형이다. 전사면이 낙엽수, 상록수 등이 울창하게 우거진 자연림을 이루고, 일부에 삼나무, 소나무가 있다. "....도로변에서 잘 안 보이지만 개오리오름..

'13. 7. 16 - 선돌(입석), 물오름(수악)

일시 : '13. 7. 16. 09:40 ~ 12:30 일행 : OK호출 '트멍'오름동호회 7명 코스 : 선덕사 - 선돌 - 선덕사. 516도로 - 물오름 - 숲, 하천길 - 서성로 => 약 3.3km 09:40. 516도로 선덕사입구에서 선덕사길 따라 약 1.7km쯤에 주차하고 .. 09:45. 천진원 입구에서 인증샷. 뒤로 '선돌' 이 보인다. 09:57. 10:04. 선돌 뒷편 10:07. 선돌 정상. 노송 가지 사이로 영천오름, 칡오름, 멀리 제지기오름까지 시원하게 보인다. 좀 땡겨서 .. 섭섬도 따라 들어온다. 내려가면 다음으로 올라갈 물오름. 10:22. 선돌 왼쪽으로 올라서 오른쪽으로 내려왔다. 10:24. 저 친구들은 무얼 내려다 보고있나? 아하! 연못의 연꽃잎위에 한가이 놀고있는 개구리들..

'13. 6. 4. - 제지기오름.

일시 : '13. 6. 4. 12:57~13:26 (30분) 일행 : 5명 / OK호출 '트멍'오름동호회 제지기오름, 절오름, 寺岳(사악) 서귀포시 보목동 산1번지 표고 : 94.8m / 비고 : 85m / 둘레 : 1,012m / 면적 : 77,023㎡ 조면암질 화산암과 일부 화산쇄설성 퇴적층으로 구성되어 전체적인 모양은 용암원정구의 형태를 띠고 있다. 남사면은 매우 가파라서 곳곳이 벼랑져 있다. 숲이 덮인 외관으로는 나타나지 않지만 안에 들면 곳곳에 바위가 서 있고 커다란 바윗등이 드러나 있다. 북사면은 급준하게 솟아 오른 남사면과 달리 비교적 완만한 등성이가 두 가닥으로 뻗어 내리고 그 가랑이진 곳이 각각 서향·북향·북동향으로 야트막이 우묵져 있다. 화구로 보일 만큼의 뚜렷한 형태는 아니다. 남사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