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pot of Jeju azbang

제주아즈방의 이런 저런 여러가지 관심사 창고

🤍 나의 日常/├ 오름 테우리 .

'14. 4. 8. - 모지, 장자, 갑선이 오름

아즈방 2022. 5. 18. 12:28

일시 : '14. 4. 8. 10:15~13:30 (3시간 15분)

일행 : 5명 / OK호출 '트멍' 오름 동호회

코스 : 모지오름 - 장자오름 - (차로 이동) - 갑선이 오름.

 

모지오름, 뭇지오름, 母地岳(모지악), 母子岳(모자악)
  표선면 성읍1리 산22번지
  표고 : 305.8m  / 비고 : 86m  / 둘레 : 3,082m  / 면적 : 535,643㎡  / 저경 : 977m 


 북동쪽으로 길게 벌어진 말굽형 화구 안에는 화구구(알오름 - 표고 268m, 비고 13m)가 솟아있고,

 이를 에워싼 등성마루가 마치 어린애를 품은 어머니의 모습을 보인다.
 화구가 벌어진 동쪽 방향으로 고분과 같이 보이는 크고 작은 봉우리가 구릉지대를 이루고 있으며,
 이중 가장 높은 언덕을 오미동산이라 부른다.
 오름 전사면은 삼나무가 조림되어 중턱까지 숲을 이루고, 화구안의 알오름과 정상부는 평평한 등성마루를 이루면서

 완만한 풀밭을 이루고 있다. 
 대천동 사거리에서 성읍으로 가는 길, 성읍2리 버스정류장 맞은편에 있는 시멘트 포장길을 따라 2킬로미터 정도 진입

 하면 오름 입구에 닿는다.
 
 어머니가 아기를 안은 형체라 하여 모지오름이라 부르고 있다. 

 <"오름나그네", 김종철>

 

10:15.

 

10:17.

 

10:18.

 

10:24.

 

10:25.

 

10:30.

 

10:31.

 

10:36.

 

10:36.

 

10:43.

 

10:44.

 

 

10:49.

 

10:51. 성읍의 영주 오름이 보인다.

 

 

 

 

 

 

 

10:56.

 

10:57.

 

11:29.

 

11:37.

 

11:37.

 

11:47.

 

11:50.

 

11:51.

 

11:53.

 

12:14.

 

12:15.

 

12:16.

 

12:16.

 

12:17.

 

12:20.

 

12:22.

 

 

장자오름, 장자악(長子岳) 
 표선면 성읍리 2768번지   
 표고 : 215.9m   / 비고 : 31m  / 둘레 : 1,059m  / 면적 : 71,285㎡  / 저경 425m   
 
 모지오름 남동쪽 약 400m 지점에 농로를 사이에 두고 남동으로 길게 누운 자그마한 오름
 모지오름쪽(북서쪽)을 머리로 남동으로 길게 누운 모습이, 평평한 풀밭 언덕 같은 형태를 띠면서 세단계의 기복으로

 봉우리를 이루고 있다.
 성읍사거리에서 가시리방향 2킬로미터 지점, 표선면쓰레기처리장 가는 길로 들어서서 오름쪽으로 접근할 수 있다.


 모지오름의 옆으로 이웃하여 큰아들 격이라는데서 장자오름이라 불러오고 있다. 
 <"오름나그네"  김종철>

 

12:31. 설오름.

 

12:31. 병곳오름.

 

12:31. 따라비.

 

12:31. 큰사슴이(대록).

 

12:33.

 

12:33.

 

12:37.

 

12:38.

 

12:41.

 

12:45.

 

 

갑선이오름, 甲蟬岳(갑선악)
 표선면 가시리 산2∼7번지
 표고 : 188.2m / 비고 : 83m / 둘레 : 1,859m  / 면적 : 252,799㎡ / 저경 : 604m
 
 산 모양이 미처 껍질을 벗지 못한 굼벵이처럼 생겼다하여 갑선이오름이라고 부르고 있고,

 수림으로 덮힌채 가시리 마을쪽인 서남쪽으로 얕게 벌어진 말굽형 화구를 이루고 있다.
 주변지역은 과수원과 농경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마을과 오름사이에 있는 가마천(가시천)은 세화리 바닷가로 이어져 있다.

 오름 기슭에는 삼나무가 조림되어 있고, 그외 오름 각사면은 상록수, 낙엽수 등 혼효림의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다.
 표선면 가시리 마을 동쪽에 위치한 오름으로 가시리 마을안에서 오름 남측자락으로 가는 길이 나있다.
 
 산 모양이 껍질을 못벗는 매미와 같다고 하여 '갑선이오름' 이라 불렀으나,

 한자표기로 '甲蟬岳(갑선악)' 이라 호칭하게 되었다고 한다.

 

12:59.

 

12:59.

 

13:00.

 

13:02.

 

13:06.

 

13:10.

 

13:15.

 

13:18.

 

13:21.

 

13:23.

 

13:32.

 

'뒤맞이'는 보목리 하르방 식당의 자리물회, 한치물회, 자리구이에 소주 ^^ 아 !  생더덕까지 !!

 

14:20. 

 

14:20.

 

14:29.

 

1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