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시 : '14. 5. 6. 10:10~
- 일행 : 7명
- 행적 : 절물 후문 - 큰개오리 - 샛개오리 - 족은개오리 외변 - 절물 후문.
* 큰개오리 화구로 샛개오리까지는 잘 갔는데..
샛개오리 북동쪽으로 내려서 바로 질러 족은개오리로 올라야 하는데,
좌측으로 또렷한 오솔길을 따라 가다보니 엉뚱하게 초지로 나가버렸다.
초지 가장자리를 따라 돌아오다보니 족은개오리 기슭을 한바퀴 돌아버린 셈이 되었고,
일행중 시간에 쫓기는 회원의 재촉에 정상 오르기를 포기하고 '장생의숲길'을 질러서 원점으로 회귀.
개오리오름, 개월오름, 犬月岳(견월악),
제주시 봉개동 산78-1번지, 제주시 용강동 산14-1번지
표고 : 743m / 비고 : 118m / 둘레 : 3,504m / 면적 : 640,913㎡ / 저경 : 1,298m
크고 작은 세 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진 다양한 형태를 갖고 있는 복합형 화산체이며,
개오리오름은 주봉(743m)인 송신탑이 서 있는 곳의 오름을 말한다.
전체적으로 두 개의 말굽형 화구를 갖는 복합형이다.
전사면이 낙엽수, 상록수 등이 울창하게 우거진 자연림을 이루고, 일부에 삼나무, 소나무가 있다.
산 모양이 개오리(가오리)처럼 생겼다는 이름이며 가으리오름, 개워리오름, 개월오름으로 불리기도 하며 犬月岳(견월악)이라는
한자명을 놓고, 개가 달을 보고 짖는 형국이라고 풀이하기도 한다.
5.16도로 제주마방목지 남동쪽의 방송중계탑이 설치되어 있는 오름으로, 견월악중계소 진입로가 오름 중턱까지 개설되어 있고
중계소 보호철책 옆으로 정상까지 오를 수 있다.
"....도로변에서 잘 안 보이지만 개오리오름은 대소 세 봉우리로 이루어진 다양한 산체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보통 개오리오름이라고 할 때는 송신탑이 서 있는 주봉(743m)을 가리키고 북쪽 것을 족은개오리(664m),
가운데 것을 샛개오리 (658m)라고 부른다. 알오름처럼 생긴 샛개오리가 제일 낮다.
이들은 단절됨이 없이 연이어져 총체적으로 하나의 산체로서 남북으로 길게 가로누운 형태를 이룬다.
북서쪽 자드락(나지막한 산기슭의 경사진 땅)의 언덕 위에 서서 보면 이것이 세 봉우리의 연결체임이 뚜렷이 나타난다."
<"오름 나그네" 김종철>
10:15. 비자림로(516도로 → 교래리) 절물휴양림 후문에서 출발.
10:16. 잠겨있는 철책의 왼편으로 ..
10:17. 철책따라 50여 m정도를 가면 철책이 끝.
10:20. 편백숲이 시작되고 ..
10:23. 공기가 너무 좋아 가슴이 벌렁 벌렁 ^^
10:30. 금방 만들어 놓은듯한 쥐다리굴.
10:38. 일(?)도 보고, 개 또릴 몽댕이 줏어 오느라고 뒤쳐진 許아무개 ^^
10:43. 큰개오리 능선 동쪽의 기지국에 올라섰다.
10:46. 능선따라 서쪽으로..
10:48. 큰개오리 정상의 전파기지국.
10:49. 한라산이 시원스레 조망된다.
10:53. 뒤돌아 화구로 내려간다 ..
11:21. 20여분 쉬고 다시 출발
11:22. 산담 서북쪽으로 또렷한 오솔길을 따라..
11:26. 쭈욱 쭉 ..
11:27.
11:31. 9분정도 내려오니 '숫모루숲길'과 만난다.
11:33. 잠시 실수! 절물쪽으로 내려가는 계단.. 빽! back !! ^^
11:38. 5분 정도 '한라생태원'쪽으로 와서 삼거리. 우측으로 ..
11:40. 샛개오리 정상.
11:43. 샛개오리 정상 안내판 뒤로 오솔길 따라 ..
11:54. 요 동네에서 햇갈려부런 .. ㅋ~
12:02. 길 어신디 ..
12:05. 어찌 어찌 일단 시원헌 草地로 ..
12:06. 경해도 좋텐 사진 박기에 여념이 어신게 ..
12:18. 작은 개울을 건너고..
12:19. 또시 풀왓
12:19. '아니, 저 사름덜은 무사 놈이 마당에 들어와시니..' 하며 쳐다보는 몰 식구덜.
12:22.
12:25. 큰대나(절물)오름 정상의 오두막도 보인다.
12:28.
길을 잃고도 가시낭 아래 걸쭉 걸쭉허게 큰 고사리를 보더니 또 고사리꺽기 .. ^^
'아이고오~ 이추룩 고사라 한디도 돌아다 주국, 또 와사키여 !'
크~ 힘난다 ^^!
12:46. 족은개오리 북동쪽에서 숲으로 끼어들어서 개울을 따라 내려오다가, 동쪽으로 건너서, 동남방향으로 ..
12:55. 15분 정도를 헤메이다가 드디어 '장생의 숲길'이 보인다.
12:57.
13:31. 한라생태원쪽으로 진행.
13:31. 삼거리에서 잠시 휴식하고, '길없음'방향의 임도 따라서 ..
* 뒤맞이는 볼레낭개(甫木里) '자리가시'횟집에서 자리물회에 쇠주 ^^
'🤍 나의 日常 > ├ 오름 테우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 6. 9. - 높은, 아부오름. (0) | 2022.05.19 |
---|---|
'14. 5. 22. - 볼레, 이스렁, 어스렁 오름. (0) | 2022.05.19 |
'14. 4. 8. - 모지, 장자, 갑선이 오름 (0) | 2022.05.18 |
'14. 4. 3. - 큰개오리오름(견월악) (0) | 2022.05.18 |
'14. 3. 11. - 장, 왕, 볼레오름 (0) | 2022.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