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pot of Jeju azbang

제주아즈방의 이런 저런 여러가지 관심사 창고

🤍 旅 行/♤ 八道 사투리. 4

충청도 에세이 - '누룽국' / 강현자

누룽국 / 강현자 “오늘은 누룽국이나 해 먹으까?” 엄니의 이 말이 떨어지믄유, 지는 도망가구 싶었시유. 뻘건 짐칫국물두 싫었구유, 밀가루 냄시 풀풀 나는 것두 싫었시유. 왜 허구헌날 누룽국이냐 말여유. 씹기두 전에 후루룩 넘어가는 누룽국에는 겅거니라야 짠지배끼 읎는 규. 그맇다구 대놓구 싫다구 할 수두 읎었슈. 지는유, 즘심 때만 디먼 울엄니가 묵은 짐치만 늫구 누룽국을 끼리시는 기, 무슨 취미인 중 알었어유. 푹 퍼진 국시를 국자루다가 둬 번씩 떠서 뱅뱅돌이 스뎅 대접에 담어 먹으믄유, 진짜루 국대접이 뱅뱅 돌었슈. 먹기 싫은 내 맴두 같이 뱅뱅 돌기만 했슈. 겨울이넌 메르치루 멀국을 맨들어설랑 짐치랑 국시만 늫구 끼리니께, 뭐 딴 겅거니는 필요읎시유. 끼리기두 초간단 레시피겄다 겅거니두 필요읎으니께..

'탁주(濁酒)' / 권선희

권선희 1965년 강원도 춘천에서 태어났다. 시집 《구룡포로 간다》, 도보여행기 《대한민국 해안누리 길: 바다를 걷다》(공저), 해양문화집 《뒤안》 등이 있다. ................................................................. 경상도 사투리라도 지역마다 다 다르고 같은 경북이라도 대구를 기준으로 위아래와 동서의 사투리가 조금씩 차이가 난다. 어떤 말은 경상도 안에서도 서로 못 알아듣는 경우까지 있다. ‘대보’라 하면 구룡포 호미곶 일대로 지금의 행정구역으로는 포항시 남구 대보면을 일컫는다. 그러니까 여기서 구사된 말은 전형적인 경상도 동부지역 포항 사투리인 셈이다. 하지만 ‘~이시더’ ‘~니더’ 따위는 경북 북부지방에서도 쓰는 말이고, ‘~능교’는 대구..

‘자네’

'자네' 윗사람 부르는 전남 토박이말. 100명 조사… 40대 이상만 써 “자네가 이 업무 좀 처리해 주소.” “뭐 자네?” 광주에서 대학을 나와 서울에 있는 회사에 다니는 김아무개(41)씨는 몇년 전 회사 선배한테 ‘자네’라고 했다가 크게 혼났다. 전남·광주 사람들이 서울에 가서 손윗사람에게 친근감을 표시하려고 ‘자네’라고 말했다가 뺨을 맞았다는 이야기는 우스갯소리가 아니다. 말하는 쪽은 친근함의 표현인데, 듣는 쪽은 건방진 것으로 받아들인다. ‘자네’는 광주·전남 일대에서 손아랫사람이 윗사람을 부를 때 사용하는 독특한 토박이 말이다. 부부 사이에서도 많이 쓰는데, 남편이 아내에게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보통 광주·전남 이외의 지역에선 장인·장모가 사위를, 윗사람이 손아랫사람을 예사낮춤으로 부를 때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