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pot of Jeju azbang

제주아즈방의 이런 저런 여러가지 관심사 창고

🤍 나의 日常/├ 오름 테우리 .

'13. 5. 31. - 방애오름

아즈방 2022. 5. 13. 13:07

일시 : '13. 5. 31. 08:20 ~ 14:20 (6시간)

일행 : 5명 (나, 윤길 부부, 경자 외 )

코스 : 영실-윗세오름-남벽분기점-방애오름-윗세오름-영실.

 

방애오름, 砧岳(침악)
 서귀포시 동흥동 산1번지 일대
 [웃방애]     표고 : 1,747.9m  / 비고 :  73m / 둘레 : 1,094m  / 면적 : 89,796㎡

 [방애오름]  표고 : 1,699.3m / 비고 : 129m / 둘레 : 2,406m  / 면적 : 394,807㎡
 [알방애]     표고 : 1,584.8m / 비고 :   85m / 둘레 : 1,669m  / 면적 : 214,973㎡  
  
 한라산 정상 백록담의 남벽 등반로 앞에 위치한 오름으로 3개의 봉우리가 남북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원추형 오름.
 세 봉우리는 위로부터 '웃방애오름', 가운데가 '방애오름', 아래쪽에 위치한 것이 '알방애오름'으로 이어져 산릉을 이루고 
있다.

 보통 방애오름이라 하면 이들 세 오름중 대표적인 가운데 것을 지칭하며,
 이를 중심으로 위쪽에 위치하므로 웃방애오름, 아래쪽에 있으므로 알방애오름이라 구분하여 별개의 오름으로 부르고 있다.
 웃방애오름 아래쪽 기슭 등반로 변에 샘(방애오름샘)이 있으며, 주요 식생으로는 철쭉과 시로미가 주종을 이루며 구상나무가
 식생하고 있다.
 국립공원 지역이라 출입이 통제된 곳이다.
 
 砧(방하돌 침)은 '방하>방아'의 제주도방언 '방에, 방애'의 훈독자 표기이다.

 '방에오름'은 '웃방에오름, 방에오름, 알방에오름'으로 나뉜다.
 가운데에 있는 오름이 '방아'와 같이 야트막하게 패 있다는 데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제주도 오름과 마을 이름" 오창명>

 

 08:20. 영실에서 출발.

 

 하늘이 맑지는 않지만 시야는 좋다.

   

 멀리 송악산 해안까지도 보인다.

 

숨 돌리면서 한캇 ^^

 

 요놈이 자기도 찍어달랜다 ^^

 

 '요 꽃은 무신꽃이라?' 

 

 

 

 

 

 일행들 ^^

 

 부악(한라산 정상)이 바짝 다가와 반기고 ..

 

 

 

 

 

 윗세 누운오름. 

 

 윗세 붉은오름.

 

 

 

 윗세오름대피소. 숨 돌리고, 컵라면 한 사발씩, 차 한잔씩 허고 ^^

 

 요건, 찔레꽃 닮긴 허여도 아닌거 닮은디..

 

 요건 무신 난인고?  '저녁정거장'헌티 들어보카..

 

 

 

 

 

 부악 서남벽.

  

 

 

 

 

 


 

 

 

 남벽과 웃방애오름 앞.

 

 윗세붉은오름 동사면.

 

 탐방로.

 

 방애오름이 보인다.

 

 

 

 방애오름 정상부근. 정상은 바위지대인것 같고, 탑은 CCTV인가?

 

 방애오름 샘터부근. 서귀포시신시가지와 범섬, 강정포구가 한눈에 들어온다.

 

 

 

 방애오름샘에서 본 부악.

 

 

 

 

 

 방애오름샘 옆 전망대.

 

 남벽 앞 산철쭉지대.

 

 

 

 아즈방 ^^

 

 알 방애오름.

 

 서귀포 시내도 보인다.

 

 

 

 

 

 

 

 

 남벽 분기점.

 

 웃방애오름.

 

 웃방애오름 정상부도 온통 바위지대이다.

 

 

 방애오름 정상의 바위. 미니삼각대로 찍느라고 .. ^^

 

 방애오름 정상에서 보이는 윗세오름. 오른쪽 부터 붉은, 누운, 족은오름.

 

 

 방애오름 정상에서 본 부악과 웃방애오름.

 

 

 

 일행들은 꽃밭에 빠져서 따라오질 않고 .. ^^

 

 찍자 ! 박자 !! ^^

 

 아니 온다고?  ^^

 

 '누운 향낭'우이 폭색이덜 아장 .. ^^

 

 방애오름에서 알방애로 이어지는, 마치 분지처럼 보이는 산철쭉군락지.

 

 머리 산방산 쪽.

 

 부악의 서쪽 암릉사면.

 

 

 

 부악의 남벽 상부.

 

 부악 남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