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황소문(檄黃巢文) / 최치원
-반역자 황소에게 보내는 격문 / 최치원 1)
광명(廣明) 2년 7월 8일에, 제도도통검교태위(諸道都統檢校太尉)인 아무는 황소(黃巢)에게 고하노라.
무릇 바른 것을 지키고 떳떳한 것을 행하는 것을 도(道)라 하는 것이요,
위험한 때를 당하여 변통할 줄을 아는 것을 권(權:임시방편)이라 한다.
지혜 있는 이는 알맞은 때를 따름으로써 성공하게 되고,
어리석은 자는 이치를 거스름으로써 성공하게 되고,
어리석은 자는 이치를 거스름으로써 패하게 되는 것이다.
비록 우리의 일생은 하늘에 명이 달려 있어 죽고 사는 것은 기약할 수가 없는 것이나,
만사는 마음먹기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옳고 그른 것은 가히 분별할 수가 있는 것이다.
지금 나는 임금의 군대로 못된 짓 하는 자를 정벌하러 온 것이지 싸움하러 온 것이 아니요,
임금의 정치는 은혜로운 덕을 앞세우고 베어 죽이는 것을 뒤로 한다.
앞으로 상경(上京)을 회복하고 큰 신의를 펴고 공경스런 마음으로 임금의 명을 받들어서 간사한 꾀를
부수려 한다.
또 네가 본시 먼 시골의 백성으로 갑자기 억센 도적이 되어,
우연히 시세를 타고 감히 인륜을 어지럽게 하였다.
드디어 불칙(不則)한 마음을 품고 임금자리를 엿보며 도성을 침노하고 궁궐을 더럽혔으니,
이미 죄는 하늘에 닿을 만큼 극도에 달하였고 반드시 멸망할 것이라는 사실은 불 보듯 뻔하다.
아, 요순 때로부터 내려오면서 묘(苗)나 호(扈) 따위가 복종하지 아니하였으니2),
양심 없는 무뢰한 무리와 의롭지 않고 충성하지 않는 너 같은 무리가 어느 시대고 없었겠느냐?
먼 옛적에 유요(劉曜)와 왕돈(王敦)이 진(晉)나라를 엿보았고,3)
가까운 시대에는 안록산(安祿山)과 주자(走자)4)가 온 나라를 개가 짖듯 시끄럽게 하였다.
그것들은 모두 손에 강성한 병권도 잡았고, 몸 또한 중요한 지위에 있었다.
호령만 떨어지면 우레와 번개가 달리듯 하고, 시끄럽게 떠들면 안개나 연기처럼 깜깜하게 막히게 된다.
그러나 잠깐 동안 못된 짓을 하다가 결국에는 더러운 무리들은 섬멸되었다.
햇빛이 활짝 비치니 어찌 요망한 기운을 그대로 두겠으며,
하늘의 그물이 높이 베풀어져 있으니 반드시 흉한 족속들은 제거되고 마는 것이다.
하물며 너는 평민의 천한 신분으로 태어나 밭두둑 사이에서 일어났다.
불지르고 겁탈하는 것을 좋은 꾀라 하며, 살상하는 것을 급한 임무로 생각하였다.
그리하여 헤아릴 수 없는 큰 죄를 지었고, 죄를 용서해 주려해도 착한 일을 조금도 하지 않았다.
그래서 천하 사람이 모두 너를 죽이려고 생각할 뿐만 아니라,
땅 속에 있는 귀신까지도 남몰래 베어 죽이려고 의논하리라.
무릇 잠깐 동안 숨이 붙어 있다고 해도 벌써 정신이 죽었고 넋이 빠졌으리라,
사람의 일이란 제가 저를 아는 것이 제일이다.
내가 헛된 말을 하는 것이 아니니, 너는 모름지기 새겨 들으라.
요즈음 나라에서 많은 덕을 베풀어 더러운 것도 받아들이고,
두터운 은혜를 베풀어 잘못을 따지지 않고 모르는 체하고 지나갔다.
그래서 너를 장령으로 임명하고 너에게 지방병권을 주었다.
그런데 너는 오히려 짐새와 같은 독심만을 품고 올빼미의 소리를 내면서,
걸핏하면 사람을 물어뜯고 툭하면 주인을 보고 짖어댄다.
그래서 결국 자신은 임금의 덕화를 등지고 군사는 궁궐에까지 몰려들어 공후(公候)들은 위태로운 길로
달아나고 임금의 행차는 먼 지방으로 떠나게 되었다.
그래도 너는 일찍이 옳은 길로 돌아올 줄을 모르고, 모질고 흉악한 짓만 더 한다.
그런데도 임금께서는 은혜를 베풀어 네 죄를 용서하셨는데, 너는 나라의 은혜를 저버렸다.
반드시 죽을 날이 멀지 않았으니, 어찌 하늘을 무서워하지 않느냐?
하물며 주나라 솥은 물어 볼 것이 아니며,5) 한나라 궁궐은 어찌 너 같은 자가 넘볼 것이겠느냐?
너는 도대체 어떻게 할 작정이냐?
너는 듣지 못하였느냐?
노자가《도덕경(道德經)에 이르기를, "회오리바람은 하루 아침을 가지 못하는 것이요,
소낙비는 하루 동안을 내리지 않는다." 하였으니,
하늘의 일도 오래 가지 못하거늘 하물며 사람의 일이랴?
또 듣지 못하였느냐?
《춘추전》에 이르기를, "하늘이 잠깐 나쁜 자를 도와주는 것은 복되게 하려는 것이 아니라,
그의 흉악함을 쌓게 하여 벌을 내리려는 것이다." 하였다.
이제 너는 간사한 것을 감추고 사나운 것을 숨겨서 악이 쌓이고 재앙이 가득한데도,
위험한 것을 스스로 편하게 여기고 미혹하여 뉘우칠 줄 모른다.
옛말에,
'제비가 장막 위에다 집을 지어 놓고 마음놓고 날아들고, 물고기가 솥 속에서 노니면 곧 삶아지게 될 것'
이라 하였다.
내가 웅장한 전략을 가지고 군대를 모았더니,
날랜 장수가 구름같이 날아들고 용맹스런 군사들은 비 쏟아지듯 모여 들었다.
그래서 높고 큰 깃발은 초나라 요새의 바람을 에워싸고 군함은 오나라 강의 물결을 막아 끊었다.
이곳에는 진나라 도태위6) 같은 장수가 있어 적을 부수는 데 날래고,
수나라 양소7)와 같은 병법가도 있는데 법을 엄숙하게 시행하여 신이라 일컫는다.
이들은 널리 팔방을 돌아보고 거침없이 만 리를 오간다.
그러나 너희들을 무찌르는 것은 맹렬한 불이 기러기 털을 태우는 것과 같고,
태산을 높이 들어 참새 알을 눌러 깨는 것과 무엇이 다르겠느냐?
뿐만 아니라 서풍이 불어 초목을 모두 말려 죽여 위엄을 도와주고,
새벽 이슬은 답답한 기운을 상쾌하게 하여 준다.
파도도 일지 않고 도로도 통하였으니,
석두성(石頭城)에서 뱃줄을 풀매, 손권(孫權)이 뒤에서 호위하고,
현산(峴山)에 돛을 두예(杜預)가 앞장선다.8)
열흘이나 한 달이면 반드시 경도를 수복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살리기를 좋아하고 죽임을 싫어하는 것은 상제(上帝)의 깊으신 인자함이요,
법을 굽혀서라도 은혜를 펴려고 하는 것은 큰 조정의 어진 제도이다.
나라의 도적을 정복하는 이는 사사로운 분함을 생각지 않는 것이요,
어둔 길에 헤매는 자를 일깨우는 데는 진실로 바른 말을 해주어야 한다.
나의 한 장 편지로 너의 거꾸로 매달린 듯한 다급한 것을 풀어 주려는 것이니,
고집하지 말고 일의 기회를 잘 알아서 스스로 계책을 잘하여 잘못된 일을 고치라.
만일 땅을 나누어 봉하여 나라를 세우고 집을 계승하여, 몸과 머리가 동강나는 것을 면하고,
우뚝한 공명을 얻으려 한다면,
마주보고 있는 번에게 신임을 받지 말아야 영화로움을 후손에까지 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아녀자의 알 바가 아니라, 실로 대장부의 일인 것이다. 일찍이 의심하지 말고 회답할지어다.
나의 명령은 천자를 머리에 이고 있고,
믿음은 강물에 맹세하여 반드시 말이 떨어지면 그대로 하는 것이요,
원망만 깊게 하지는 않을 것이다.
만일 미쳐 날뛰는 도당에 이끌리어 취한 잠에서 깨지 못하고,
사마귀가 수레바퀴에 항거하듯 융통성 없게 행동한다면,
그 때는 곰을 잡고 표범을 잡는 군사로 한 번 휘둘러 없애 버릴 것이니,
까마귀처럼 모여 소리개같이 덤비던 군중은 사방으로 흩어져 도망갈 것이다.
몸은 날카로운 도끼에 기름 바르게 될 것이요,
뼈는 가루가 되어 전차 밑에 깔리게 되며,
처자도 잡혀 죽으려니와 종족들도 베임을 당할 것이다.
동탁(董卓)의 배를 불로 태울 때9) 가서는 후회해도 소용이 없을 것이다.
너는 모름지기 나아갈 것인가 물러날 것인가를 잘 헤아리고, 잘된 일인가 못 된 일인가 분별하라.
배반하여 멸망을 당하는 것보다는 차라리 귀순하여 영화롭게 되는 것이 낫다.
그러면 바라는 것은 반드시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친한 장사를 찾아 갑자기 변할 것을 기약할 것이요,
어리석은 사람의 생각으로 여우처럼 의심만 하지 말라.
《동문선》권 49
--------------------------------------------------------------------------------------
이 글은 몇 가지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첫째 우리 나라 사람이 중국에 가서 중국 사람을 대신하여 지은 것이란 점,
둘째 난을 일으킨 반역자에게 보내는 편지라는 점,
셋째 이국땅 중국에서 문장으로 우리 나라를 빛낸 화국문장(華國文章)의 효시로 일컬어진다는 점이다.
이러한 사실을 염두에 두고 읽으면서, 어떠한 점이 뛰어난가를 눈여겨보자.
당나라 말기 황소가 난을 일으키자 최치원이 도통사(都統使) 고변(高)을 대신하여 지은 격문이다.
최치원이 당나라에서 귀국한 이듬해 자신이 편찬하여 헌강왕에게 올린 다섯 편의 저서 가운데 하나인
《계원필경집》20권 중 제 11권 첫머리에 수록되어 있다.
당나라 때에 있었던 유명한 민란인 황소의 난 때 그 괴수 황소에게 항복을 권유하기 위하여 보내는
격문을 대필한 것이다.
내용은 도와 권을 내세워 천하의 대세가 돌아가는 이치를 밝히고,
당나라 조정의 바르고 강성함과 황소 무리의 비뚤어지고 무모함을 대비시켜 사태를 올바로 파악하여
항복하도록 회유와 협박을 번갈아 가며 권유한 것이다.
이 글은 내용 가운데,
"천하 사람이 모두 너를 죽이려고 생각할 뿐만 아니라,
땅속에 있는 귀신까지도 남몰래 베어 죽이려고 의논하리라."는 구절을 읽다가,
황소는 너무나 놀란 나머지 저도 모르게 상 아래로 굴러 떨어졌다는 일화가 문학사 및 시화 등에서
빈번히 인용되고 있다.
이 글을 보고 반역자 황소가 그 정도로 놀랐다면, 그보다 더 한 찬사나 평가는 없을 것이다.
그래서 이역 만리 중국에서 문명을 크게 떨쳐 재주를 인정받았을 뿐만 아니라,
우리 나라 사람의 글짓는 솜씨를 만방에 과시한 쾌거로 받아들여졌다.
따라서 역대의 평자들이 사람을 감동시키고 귀신을 울리는 솜씨가 아니면 글을 지을 수가 있겠느냐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던 것이다.
이 글은 사륙변려문으로 화려한 형식미는 당시에 크게 인정을 받았고,
후세의 한학자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사상과 정서의 표출보다는 작품의 외면적 형식에 치우쳤다는 것이 결함으로 지적되고 있다.
지나치게 빈번히 대장법10)을 사용하고 있으며, 많은 고사성어를 인용하여 내용이 어렵다.
이것은 최치원이 당나라에 유학한 시기가 만당시절이어서 형식미를 추구하던 만당풍11)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글은 문학사상 신라에서 가장 뛰어난 문장으로 평가되고 있다.
2) 묘는 순임금에게 복종하지 않아서 토벌을 당한 나라요,
호는 하나라에 복종하지 않아서 토벌을 당한 나라이다.
3) 유요는 흉노(匈奴)의 후예로 서진(西晉)에 반란을 일으켰고,
왕돈은 동진(東晉) 때에 반란을 일으켰다가 실패한 사람이다.
4) 안녹산과 주자는 모두 당나라 때 난을 일으켰던 사람들이다.
5) 주나라..아니며, : 우(禹)왕이 구정(九鼎)을 만들어 후세에 전하며 오는데 제왕(帝王)이 그것을
수도(首都)에 두어 왔다.
주나라가 쇠약한 말기에 강성한 제후인 초(楚)왕이 사람을 보내어 구정이 가벼운가를 물었다.
그것은 곧 자기가 천자가 되어 구정을 옮겨가겠다는 뜻이었다.
따라서 솥을 옮긴다는 것은 나라를 빼앗는다는 뜻으로 쓰인다.
6) 도태위(陶太尉) : 도간(陶侃)을 말하는데, 그는 두도, 소준들의 반역자를 평정한 명장이었다.
7) 양소(楊素) : 양소가 진을 칠 때에 배를 타고 양자강으로 내려가는데 어찌나 위엄이 있던지,
사람들이 보고 강신(江神)과 같다고 하였다는 말이 전한다.
8) 석두성……앞장선다. : 석두성은 삼국시대 오왕(吳王) 손권이 도읍했던 곳이며,
진나라 장수 두예가 오나라와 대치하여 현산에 있었다.
9) 한나라 역적 동탁이 죽음을 당한 뒤에 군사들이 그의 배꼽에다 불을 켰더니,
살이 찌고 기름이 많아서 3일 동안이나 탔다고 한다.
10) 대장법(對仗法) : 시문을 지을 때 두 구씩 짝을 맞추는 것, 대우법(對偶法)과 같은 말.
11) 만당풍(晩唐風) : 문학사에서 당나라 시기를 초당(初唐)·중당(中唐)·성당(盛唐)·만당(晩唐) 넷으로
나눈다.
만당풍은 이 가운데 만당시기에 지어진 시문의 풍격을 말하는데,
형식주의적이고 유미주의적인 경향으로 치우친 것이 특징이다.
崔致遠(857~ ? )
신라 후기의 문인, 학자. 자는 고운(孤雲), 해운(海雲).
경주 崔씨의 시조.
12살 때 당나라에 가서 18살 때 진사에 급제하고 벼슬을 했다
28살에 귀국해서 병부시랑(兵部侍郞)등의 벼슬을 지냈다.
879년 황소의 난 때 고변의 종사관으로서 〈토황소격문〉의 기초를 작성해 문장가로서 이름을 떨쳤다.
894년 문란한 국정을 통탄해 하며 시무책 10조를 진성여왕에게 상소하고, 그 후 유랑하다 해인사에서
여생을 마쳤다.
《계원필경집(桂苑筆耕集)》등의 저서가 있다.
'🤍 文 學 > 隨筆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살아가는 모습' / 박지원 (0) | 2022.01.24 |
---|---|
'廣文者傳' / 박지원 (0) | 2022.01.24 |
'馬駔傳(마장전)' / 朴趾源(1737~1805) (0) | 2022.01.22 |
'舟翁說' (늙은 뱃사람과의 문답) / 權 近 (0) | 2022.01.17 |
수필의 갈래적 성격과 종류 (0) | 2021.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