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살아가는 모습 / 박지원
6월 어느 날 밤, 낙서洛瑞가 나를 찾아왔다가 돌아가서 글 한 편을 지었는데,
그 글에 이런 말이 있었다.
“내가 연암 어른을 찾아갔었는데, 그 어른은 사흘이나 끼니를 거른 채, 망거도 벗고, 버선도 벗고, 창틀에 다리를 걸치고 누워서, 행랑의 천한 것들과 어울려 서로 말을 주고받고 계셨다.”
그 글에서 연암이라고 한 것은 바로 나를 말함인데,
내가 황해도 금천협 연암 골짜기에 살기 때문에 사람들이 그 골짜기 이름을 따서 내 호를 삼아 부르고 있는 것이다.
그때 나의 식구들은 모두 광릉에 있었다.
내가 본래 몸집이 비대해서 몹시 더위를 타는 데다가,
또 풀과 나무가 울창해서 여름밤의 모기와 파리 떼도 두통거리이려니와,
논에서 개구리 떼가 밤낮없이 울어대는 것도 지겨워서,
여름만 되면 늘 서울집으로 피서를 오곤 했다.
서울집이 비록 낮고 좁아터졌지만 모기나 개구리 때문에 고생하는 일은 없었다.
집에는 집을 봐주던 계집종 하나뿐이었는데,
갑자기 눈병이 나서 미친 듯 울어대더니 나를 두고 달아나 버렸다.
당장 밥을 지어줄 사람이 걱정이었다.
할 수 없이 행랑채에 사는 사람에게 부탁해서 밥을 먹게 되었다.
그러다 보니 자연히 서로 터놓고 지내게 되고,
저희들도 나를 꺼리지 않아 노비처럼 부릴 수 있었다.
혼자 조용히 살자니 마음에 한 가지 생각도 일어나지 않고,
가끔 시골집에서 오는 편지를 받더라도 다만 평안하다는 글자나 훑어보고는 팽개쳐 두었다.
이러다 보니 거칠고 게으른 생활에 버릇이 들어,
남의 경조사에 인사하는 것도 모두 그만두어 버리게 되었다.
어떤 때는 며칠씩 세수를 하지 않기도 하고,
어떤 때는 열흘이 넘도록 망건을 쓰지 않기도 했다.
손님이 와도 아무 말도 없이 조용히 앉아 있기만 하는 때도 있었다.
그런가 하면 어떤 때는 나무장수나 참외 장수가 지나가면 불러서 앉혀놓고,
그들에게 효제충신(孝悌忠信)과 예의염치에 대하여 친절을 다해 가르치기도 했다.
남들은 나를 보고 눈치 없이 한 번 말이 나오면 질리도록 오래 끈다고 불평을 하지만 그 버릇을 고칠 수가 없었다.
또 어떤 사람은 나더러 가정이 있으면서도 객지에서 나그네 노릇을 하고,
처자가 있는 데도 중처럼 혼자 산다고 비웃지만,
나는 더욱 느긋해져서 바야흐로 해야 할 일이 한 가지도 없는 것을 만족스럽게 여기며 살고 있다.
어느 날이었다.
까치 새끼 한 마리가 한쪽 다리가 부러져 비틀거리고 다니는 것이 보기에 우스웠다.
밥알을 던져 주었더니 차츰 길이 들어 날마다 찾아와 서로 친하게 되었다.
그래서 그놈과 장난을 하며,
“맹사군은 전혀 없고 단지 평원군의 식객만 있구나”라고 말했다.
왜 그랬는가 하면,
우리나라 관습에 화폐의 단위를 문(文)이라고 하기 때문에,
결국 돈은 전문(錢文)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제나라 재상 맹상군의 성이 전(田)이요 이름이 문(文)이므로,
맹상군은 곧 전문(田文)인데,
이 전문(田文)과 돈을 뜻하는 전문(錢文)의 음이 같기 때문에 그런 농담을 해본 것이다.
그리고 평원군의 식객이란 절름발이란 뜻이다.
졸다가 남은 시간이 있으면 책을 보고,
책을 보다가 또 졸아도 아무도 깨우는 사람이 없어서,
어떤 때는 하루 종일을 푹 자버리기도 한다.
때로는 어쩌다가 글을 지어 나의 뜻을 펴 보기도 하고,
그러다가 싫증이 나면 새로 배운 철현소금(鐵絃小琴)으로 두어 곡조를 뜯기도 한다.
어떤 친구가 술을 보내 주면 기쁘게 퍼마신다.
취한 뒤에는 나 자신을 스스로 예찬해 보기도 한다.
내가 나만을 위하는 것은 양주와 같고,
모든 사람을 고루 사랑하는 것은 묵적과 같고,
자주 쌀독이 비는 것은 안연과 같고,
꼼짝 않고 앉아 있는 것은 노자와 같고,
마음이 넓어서 사물에 구애받지 않는 것은 장자와 같고,
참선하는 것은 석가모니와 같고,
이것저것 따지지 않는 것은 유하혜와 같고,
술을 잘 마시는 것은 진(晋)나라 죽림칠현의 한 사람인 유령과 같고,
남의 집에 밥을 얻어먹는 것은 한신과 같고,
잠을 잘 자는 것은 진박과 같고,
거문고를 잘 타는 것은 자상호와 같고,
책을 저술하는 것은 양웅과 같고,
스스로를 훌륭한 사람에 비기는 것은 제갈공명과 같으니,
나는 거의 성인에 가깝지 않은가!
다만 키만 크고 무능하기로는 조교에게 겸손해야 하고,
3일을 굶고도 염치를 찾는 것으로는 오릉중자에게 양보해야 하니,
그것이 부끄럽고 부끄럽구나.
그리고는 혼자서 크게 한바탕 웃는다.
그때 나는 정말로 사흘째 굶고 있었는데,
행랑살이하는 사람이 남의 지붕을 이어주고 품삯을 받아 와서야 겨우 저녁밥을 지었다.
행랑방 어린애가 밥투정을 하느라 울면서 먹으려 들지 않자,
행랑살이하는 사람이 성이 나서 밥사발을 엎어 개에게 주고는,
고래고래 소리를 지르면서 ‘죽으라’고 욕을 퍼부었다.
그때 내가 막 밥을 먹고 곤해서 드러누웠다가,
송나라 장영이 촉 지방의 수령으로 있을 때 어린애를 목베어 죽인 일을 예로 들어서 깨우쳐 주고,
또 평소에 가르치지 않고 도리어 욕만 퍼부으면 커서 은혜를 모르는 불효자가 된다고 말해 주었다.
고개를 들어 하늘을 보니 은하수는 지붕 위에 드리워 있고,
별똥별이 서쪽으로 흐르며 하늘에 하얀 직선을 그린다.
행랑살이하는 사람과의 대화가 채 끝나지 않았는데 낙서가 오더니,
“어르신께서는 혼자 누워서 누구와 이야기하십니까?” 하고 물었다.
그가 이른바 “행랑의 천한 것들과 이야기를 주고받더라”고 적은 것은,
바로 이런 내용이다.
또 낙서의 글에는 눈 오는 날 떡을 구워 먹던 때의 일을 말하고 있는데,
그것은 내가 옛집에 살고 있을 때의 일로,
낙서의 집과 우리 집이 서로 마주하고 있어서, 그가 어려서부터 나를 잘 보아 왔기 때문이리라.
그때만 해도 나를 찾아오는 손님들도 많았고,
나도 세상에 대해서 펴고자 하는 뜻이 적지 않았다.
그런데 금년 내 나이 40도 채 못되어 벌써 머리털이 하얗게 센 것을 보고서,
그가 느낀 바가 적지 않았던 모양이다.
그러나 나는 이미 병들고 피곤해졌으며,
기백은 쇠하여 꺾였고,
세상에 대한 의욕도 조용히 사라져 버렸으니,
다시는 옛날 그때로 돌아갈 수가 없다.
이에 그를 위해 글을 지어 보답하고자 하는 것이다.
1) 평원군 - 조나라의 왕자로 식객이 많기로 유명했다.
그의 식객 가운데 다리를 저는 사람이 있었다.
2) 양주 - 춘추전국 시대의 사상가. 자는 자거(子居). 극단적이 이기주의와 개인주의를 주창했다.
3) 묵적 - 춘추전국 시대 노나라의 사상가 무자, 겸애숭검(兼愛崇儉)의 사상을 주창했다.
4) 진박 - 송나라 때 도사로 한번 잠들면 100여 일을 잤다고 한다.
5) 양웅 - 전한 때의 학자
6) 조교 - <맹자>에 나오는 인물.
7) 오릉중자 - 제나라 사람으로 지나치게 청렴한 사람이었다.
'🤍 文 學 > 隨筆 .' 카테고리의 다른 글
'開化의 等級' / 兪吉濬 (1856∼1914) (0) | 2022.01.24 |
---|---|
'高句麗論'(고구려론) / 정약용 (1762∼1836) (0) | 2022.01.24 |
'廣文者傳' / 박지원 (0) | 2022.01.24 |
'馬駔傳(마장전)' / 朴趾源(1737~1805) (0) | 2022.01.22 |
'舟翁說' (늙은 뱃사람과의 문답) / 權 近 (0) | 2022.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