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pot of Jeju azbang

제주아즈방의 이런 저런 여러가지 관심사 창고

🤍 나의 日常/├ 오름 테우리 .

'15. 2. 24. - 저지오름, 마오름, 이계오름, 가메창

아즈방 2022. 5. 22. 08:43

일시 : '15. 2. 24. 09:40 ~ 13:30 / 3시간 50분

일행 : 4명 / OK트멍

코스 : 저지마을회관 →닥모르(저지오름)→오름→일체동산-현장이동산 →이계오름→가메창→ 마을회관 

       약 7km.

 

* 오늘 계획은, 닥모르(저지오름)을 거쳐서 오름, 뒷동산, 송아오름, 이계오름을 지나 가메창까지 탐방

  계획을 했었는데, 마오름을 지나 '뒷동산'으로 착각한 '일체동산'을 넘는바람에 송아오름을 지나쳐 버렸다. ^^

 

* 저지오름 / 닥몰오름, 새오름, 楮旨岳(저지악), 鳥岳(조악)
   한경면 저지리 산 51번지
   표고 ; 239.3m, 비고 ; 104m, 둘레 ; 2,542m, 면적 ; 379,316㎡, 저경 ; 621m

  저지리를 수호하면서 한경면을 대표하는 오름이다.
  보는 방향에 따라 모양새를 달리 하는 게 오름의 특징 가운데 하나인데 이는 이 오름에서 여실히 찾을 수 있다.


  저지리를 지나는 16번 도로에서 보면 동서로 균형을 이룬 긴 사다리꼴 형태를 하고 있으나 조수리 쪽에서 보면

  영 딴판인 모습이다
  다른 읍·면에 비해 한경면은 오름이 많지 않으므로 바로 이웃한 이계오름 너머 서쪽 고산리의 당오름,

  그리고 북쪽 판포리의 판포오름까지 대평원을 이루고 있음을 이 오름 정상에서 확인할 수 있다.
  "생명의 숲'으로 지정이 된 이후 산책로가 잘 꾸며져 있다.

  오름에 닥나무(楮)가 많이 자생하여 닥(楮)+모루(마루·머르 ; 능선, 등성이 진 곳),

  오름의 모양새가 새의 주둥이와 비슷하다 하여 새오름, 한자어로 대역하여 저지악(楮旨岳)·조악(鳥岳)이라 표기하고 있다.
  <"오름나그네" 김종철>


 * 마오름 / 마악(馬岳), 마봉(馬峰)
   한경면 저지리 산55-2번지 일대
   표고 : 122m 비고 : 27m 둘레 : 914m 면적 : 38,946㎡ 저경 : 272m

  남쪽으로 벌어진 화구는 침식을 심하게 받아 모양을 정확히 알기 어렵다.

  북사면 쪽으로는 소나무을 비롯하여 나무가 무성하다.
  저지오름 북서사면 기슭너머에 위치하며 저지리 수동마을 쪽에서 오를 수 있다.

  오름 형체가 말(馬)과 닮았다하여 마오름이라 부르고 있다고 하며,

  이름의 정확한 어원은 알 수가 없고 묘비에 마악(馬岳), 마봉(馬峰) 등으로 표기되어 있다.
  <"오름나그네", 김종철>


 
 * 이계오름 / 이계악(二鷄岳), 이계악(離鷄岳)
   한경면 청수리 1854번지
   표고 : 167.7m 비고 : 38m 둘레 : 855m 면적 : 48,811㎡ 저경 : 316m


  한경면을 대표하는 오름인 저지오름 서쪽에 나지막하게 남북으로 자리하고 있는 오름이다.
  오름의 기슭이 저지리에서 조수리로 연하는 지방도와 연이어지고 비고가 낮기 때문에 길가에서 보면 동산 같은

  기분이 든다.
  등성이는 비교적 완만하여 쉽게 오를 수 있고 남동쪽으로 향한 말굽형 굼부리는 오름의 몸집에 비해 넓고 큰 편이다.

  풍수지리설상 건너편의 저지오름은 새(鳥)·닭(鷄)인 반면 이 오름은 그와는 떨어져(離) 있는 알로서 이계악(二鷄·離鷄岳)

  이라 명명되었다고 한다.
  <"오름나그네" 김종철>

 

 

 

09:40. 저지리 마을회관에 차를 파킹허고 출발.

 

09:44. 마을회관에서 남쪽-청수리 방향으로 150m쯤 내려오면, 골목입구에 '저지오름 입구' 표지판이 서 있다.

 

09:45. 골목길따라 어슬렁 어슬렁 ^^ 앞에 저지오름이 보인다.

 

09:46. 골목길을 70m 정도 들어가면 삼거리를 만나고, 좌측으로 ..

 

09:48. 저지오름 기슭의 오솔길따라 .. 또똣헌 서귀포 괸당덜, 춥단다 ^^

 

09:50. 돌계단을 오르기 시작 ..

 

09:52. 돌계단길을 50여 m쯤 오르니 오름둘레길 삼거리. 여기에서 좌측으로 ..

 

09:52.

 

09:54. '올레길 13코스'이기도 해서, 올레길 리본이 메달려있다.

 

10:00. 길은 보이는데 '길없음' 표지판이 서 있으니, 확인차 올라간다 ^^

 

10:02. 재선충으로 죽어가는 소나무들을 처리하려고 차량 출입 임시도로인듯하다.

 

10:06.

 

10:06.

 

10:07. 길따라 7~8분정도 올라오니, 좌측으로 10여 m 쯤 정상 능선이 보인다. 질러 올라가기 ^^

 

10:08. 정상능선 둘레길따라 우측으로 ..

 

10:09. 좌측으로 분화구 사면이 보인다.

 

10:09. 분화구 사면에 듬성 듬성 보이는 파란물체는 아마도 재선충으로 고사한 소나무들을 베어서 임시로 쌓아논 모양이다.

 

10:10.

 

10:12.

 

10:13. 동북쪽쯤의 능선길에서 금악, 멀리 한라산도 희끄무리하게 보인다.

 

10:14. 능선 북쪽 정상부에 있는 전망대.

 

10:16. 황사때문에 조망이 희끄무리해서 아쉽지만 .. 좌측은 금악, 멀리 가운데 한라산, 우측으로 정물, 당, 도너리 오름.

 

10:16. 북쪽. 월령의 정월오름인가 ?

 

10:17. 서북쪽으로 비양도.

 

10:17. 서쪽으로 판포(널개)오름 ?

 

10:18. 서쪽 바싹 가까이 보이는게 다음 건너갈 마오름인듯하고 ..

 

10:18. 서남쪽으로 고산 당오름, 수월봉.

 

10:18. 남남동쪽으로 산방산, 단산, 모슬봉도 희끄무리하게 보인다.

 

10:19. 화구 안쪽으로 내려가는 계단길.

 

10:19. 화구쪽. 재선충으로 말라죽어가는 소나무들이 안타깝고, 볼상 사납다. 처음부터 완벽하게 방제를 제대로 하였더라면 ..

 

10:19. 어쨋거나 .. 화구 안으로 계단 따라 내려간다.

 

10:20. 누렁이 한마리도 우리와 동행 ^^

 

 

11:18. 화구에서 다시 능선으로 올라와서, 서쪽 계단길 따라 하산..

 

11:19. 오름 둘레길을 만나서 오른쪽-북쪽으로 조금 가다가 '올레길'표식따라 왼쪽으로 ..

 

11:21. 저지오름 서북쪽의 주차장. 간이 화장실도 있다.

 

11:25. 주차장에서 150여 m쯤 내려가서 삼거리. 좌측 올레길을 버리고 우측으로 ..

 

11:26. '아, 여기에 오름 표지서이 서 이신게 !'

 

11:36. 10여분쯤 농로따라 서쪽으로 .. 왼쪽으로 마오름 같아 보이는데 ..

 

11:39. 마오름 북쪽사면에 있는 묘지를 지나고 ..

 

11:44. 덤불사이로 오르미 흔적을 찾아보지만 .. ^^

 

11:45. 어찌 어찌 정상이라 느껴지는곳에서 인증샷 ^^

 

11:46. 동쪽으로 지나온 저지오름이 건너다 보인다.

 

11:48. 20여 m쯤 보이는 소나무 거목이 재선충때문에 베어져 여러 토막으로 드러누워 있다.

 

11:53. 송아오름 쪽으로 방향을 잡기는 하였는데 ..

 

11:53. 농로 건너 보이는 동산이 '뒷동산'인가 ?

 

11:58. 올라서 보니 억새왓 .. 농로따라 더 밑으로 내려갔어야 '뒷동산'인데.. 여긴 '일체동산'이네 .. 쩝

 

11:58. 동쪽으로 저지오름이 보이고 .. 이제야 황사가 걷히고 파아란 하늘이 보이기 시작한다.

 

11:59.

 

12:07.

 

12:11. '일체동산'에서 농로를 건너고 '현장이동산' 사면을 ..

 

12:14. '현장이동산'을 건너서 동쪽으로 ..

 

12:14. 저지오름을 가운데 두고 걸으니 잃어버릴 염려는 없다 ^^

 

12:17. 동남쪽으로방향을 잡고 두번째 밭 구석에 '길잡이 허수아비' 방향으로 ..

 

12:18.

 

12:19.'현장이동산' 동남쪽 기슭 송이밭 한 켠에 굴로 보이는 곳을 발견하고 ..

 

12:20. 깊이가 10여 m쯤 되어 보이는, 인공굴 같기도 하고 ..

 

12:22. 굴을 뒤로 하고, 이 밭을 나오면 저지-조수로 이어지는 포장도로(녹차분재로)를 만난다.

 

12:25. 길에 바싹 붙어있는 '이계오름'으로 오르기 위해 길 옆 또랑을 건넌다.

 

12:39. 이계오름은 덤불투성이여서 사방 분간도 못하고 .. 동남쪽으로 내려와서 ..

 

12:41. 이계오름 동쪽의 경작지에서 다시 건너다 보고 ..

 

12:43. '가메창'가는 길로 생각하고 들어선 골목. 우측에 보이는 담 널어진 소나무 분재밭으로 들어갔어야 하는데 .. ^^

 

12:47. 어쨋거나, 과수원 옆 담넘어 들어서니 덤불 .. 건너 화구가 보인다.

 

12:54. 가메창. 오름중에 비고가 제일 낮다는(6m)동산(?)안에는 외형보다 더 깊은(16m) 화구.

 

13:03. 덤불을 헤집고동쪽으로 능선따라 남쪽으로 건너오니, 화구 바닥까지 길이 있는걸  .. ^^

 

13:04. 예전에는 경작지였다는데 지금은 덤불밭으로 변해 있다. 건너 저지오름.

 

13:06. 나올때는 소나무 분재밭으로 .. 길건너에는 '이계'오름.

 

13:07. '가메창'을 찾을 오르미들에게 입구를 알려주기 위한 배려 ^^

 

13:17. 마을 골목에 서 있는 고목

 

13:30. 저지마을회관으로 돌아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