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pot of Jeju azbang

제주아즈방의 이런 저런 여러가지 관심사 창고

🤍 나의 日常/├ 오름 테우리 .

'17. 4. 4. - 큰노리손이, 족은노리손이, 큰칡오름, 돔바름

아즈방 2022. 6. 5. 10:53

일시 : '17. 4. 4. 10:00~

일행 : 5 명 / 카페 '트멍보멍'

 

* 노리손이, 노리오름, 장악(獐岳), 장손악(獐遜岳) 
  제주시 봉개동 산294-22번지 일대    
  큰노리손이 - 표고 : 426.6m / 비고 : 52m / 둘레 : 1,044m / 면적 : 69,733㎡ / 저경 : 328m 

  족은노리손이 - 표고 : 413.8m / 비고 : 28m / 둘레 : 467m / 면적 : 14,756㎡ / 저경 : 149m
   
동·서 두 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크고 높은 동쪽 봉우리를 큰노리손이, 서쪽 봉우리를 족은노리손이라 부름.
큰노리손이는 붉은색 송이로 이루어진 원추형 화산체이며,

족은노리손이는 화산암 전석이 많은 독립화산체이나,
두 오름 모두 심한 침식을 받아 원래의 형태를 알아 볼 수 없음.
두 오름 사이에는 좁은길이 나 있고 주변은 공동묘지들이 조성되어 있으며,

전사면에 걸쳐 해송이 부분적으로 조림되어 있다. 
명도암관광휴양목장을 조금 지나 명도암유스호스텔 가기 전 북쪽으로 난 비포장도로로 진입하여 오를 수 있다.   
 
노루는 제주 방언으로 '노리'가 됐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옛말 그대로 노로라고도 한다.

(노리손이 : 노루를 사냥한 오름)  


* 큰칡오름, 칠오름, 갈악(葛岳), 七岳(칠악) 
  제주시 봉개동 466-2번지 일대    
  표고 : 336.6m / 비고 : 47m / 둘레 : 870m / 면적 : 53,095㎡ / 저경 : 305m 
  
북·남쪽 두개의 독립된 봉우리로 이루어진 쌍둥이(twin)의 원추형화산체.
큰오름은 붉은 송이(scoria), 족은오름은 검은 송이로 구성되어 있으며,

북쪽사면은 해송 등이 우거지고 주변에는 공동묘지가 조성되어 있다.
북동측에 대형 분화구인 고냉이술을 끼고 있는데,

외륜의 형태가 뚜렷하고 화구안에는 소형의 화구구(火口丘)들로 메워져 있으며,
일부 경작지를 제외하고는 잡목숲으로 이루어짐. 
동부산업도로 명도암마을 입구 조금 지나 칠오름농장 표지판이 있는 시멘트길로 진입하여 오름에 오를 수 있다.   
 
칡이 많은데서 칡오름, 한자로는 葛岳(갈악)으로 표기하고 있고,

마을에서는 주변에 많은 오름들 중에서 일곱 번째 봉우리에 해당되어 일명 칠(七)오름이라고 부르기도 함.


* 돔배오름, 돔바름, 丁岳(정악)
  조천읍 교래리 산62, 산63번지
  표고 : 466m / 비고 : 36m / 둘레 : 1,275m / 면적 : 117,259㎡ / 저경 : 428m


완만하게 비탈지며 우묵한 굼부리에는 斜面은 억새, 바닥은 잔디밭, 드문드문 소나무가 서 있는 가운데,
남북 약 150m, 동서 200여m의 원형 화구이나, 이를 에운 등성마루가 서쪽으로 낮아져 있는데다

둔덕 일부가 파괴, 작은 골이 패어 있어서 일견 말굽형으로 보이기도 한다.
서남쪽 사면에 해송이 조림되어 있고, 동북쪽사면은 자연림의 숲을 이룬다.
오름 남쪽 기슭을 끼고 도는 내(川)는 흙붉은오름에서 발원하는 한라산 동쪽의 최대, 최장의 천미천(川尾川)으로,

산굼부리, 까끄래기오름 북쪽 기슭을 끼고 동쪽으로 흘러 성읍리를 거쳐 표선면과 성산읍의 경계를 이루면서
바다로 흘러간다. 돔배오름 기슭의 냇가 바닥에는 용암류 표면에 흐름 자국이 원형 그대로 남아 있다. 

편편하게 가로 누운 것이 마치 돔배(도마) 모양으로 보인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
 '돔바름' 이라는 것은 돔배오름이 줄여진 것이며  한자 이름도 원래는 '도마 조' 자를 쓴 조악이다.

 흔히는 丁岳(정악)으로 많이 쓰여지고 '정오름'이라고 불리기까지 하나 이는 원명의 뜻과는 동떨어진 호칭이다. 

 

 

09:57.

 

09:58.

 

09:59.

 

10:01.

 

10:02.

 

10:04.

 

10:08.

 

10:26.

 

10:47.

 

11:29.

 

11:31.

 

11:32.

 

 

 

11:49

 

11:51.

 

11:51.

 

11:52.

 

11:53.

 

11:55.

 

11:56.

 

11:57.

 

11:58.

 

11:59.

 

11:59.

 

11:59.

 

11:59.

 

12:45.

 

 

 

13:06.

 

13:07.

 

13:13.

 

13:14.

 

13:17.

 

13:19.

 

13:21.

 

13:22.

 

13:22.

 

13:22.

 

13:54.

 

13:56.

 

14:01.

 

14:03.

 

14:07.

 

14:10.

 

 

14: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