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pot of Jeju azbang

제주아즈방의 이런 저런 여러가지 관심사 창고

🤍 나의 日常/├ 오름 테우리 .

'17. 3. 21. - 명도암 안세미, 밧세미, 열안지오름.

아즈방 2022. 6. 5. 10:22

일시 : '17. 3. 21. 10:30~12:50 / 2시간 20분(휴식 40분 포함) / 3.2km

일행 ; 3 명 / 나, 명선, 영중

 

* 안세미, 명도오름, 안생이, 조리새미오름, 형제봉, 明道岳(명도악)
   제주시 봉개동 산2번지 일대
   표고 : 396.4m / 비고 : 91m / 둘레 : 1,718m / 면적 : 174,311㎡ / 저경 : 584m
 

북동쪽으로 벌어진 대형의 말굽형 화구.
오름사면은 전체적으로 해송, 상수리나무, 삼나무, 아카시아나무 등으로 이루어진 울창한 숲을 이룸.
동쪽사면 기슭에는 대나무숲이 있고 화구 안부쪽은 자연림을 이룸.
화구방향 오름 기슭 자락에 보호시설이 잘 갖추어진 '조리세미(명도암물)' 라는 샘이 있다.



* 밧세미, 밭생이, 형제봉
  제주시 봉개동 산3번지 일대
  표고 : 391.7m / 비고 : 92m / 둘레 : 1,296m / 면적 : 114,322㎡ / 저경 : 418m 
 

북동쪽으로 벌어진 말굽형 화구로 안세미오름과 낮은 고갯길을 끼고 이웃하여 있다.
안세미오름과 규모는 다르나 남쪽 멀리서 보면 닮은 형체를 이룸.

화구 쪽으로는 자연림을 이루면서 화구방향 북동쪽에는 조그만 못이 있다.
주요식생은 해송, 상수리나무 등 잡목의 숲.


* 열안지, 연난지, 列雁地岳(열안지악), 燕卵旨(연난지), 列雁山(열안산) 
  제주시 봉개동 산778-1번지 일대   
  표고 : 328.7m  비고 : 54m  둘레 : 969m  면적 : 55,701㎡  저경 : 371m    
  

화구가 침식되어 원래의 형태가 말굽형인지 원추형인지 구분이 곤란하나 전체적인 형태로 보아 북쪽으로

벌어진 말굽형으로 추정.
경사진 북사면에는 해송이 조림되어 숲을 이룸.
남사면은 경작지의 경계로부터 덮인 풀밭오름.
남북사면 기슭에는 명도암 마을의 개척자인 고이지(高以智)의 묘가 있음.
명도암 마을안길 농로변에 위치한 안세미오름 북쪽에 위치.

 

 

 

10:36. 안세미오름의 등산로 입구에 있는 명도암못이다.

 

10:37. 오름 등산로와 둘레길이 연계되어있다.

 

우리는 오렌지 점선 등산로 따라, 분화구를 들어서서 왼쪽 능선으로 정상을 거쳐, 밧세미오름으로 ..

 

10:39. 명도암물의 1번물, 예전엔 식수였겠으나, 지금은 식용수로 부적합하단다.

 

10:39. 명도암물의 2번물, 채소를 씻는 용도였겠다.

 

10:40. 샘 입구를 지나 분화구쪽으로 들어선다.

 

10:41. 삼나무가 우거진 화구 길.

 

10:45. 화구로 들어선 다음 왼쪽 능선으로 오르기 시작.

 

10:48. 달래가 지천인데, 채취는 하지 말라네 ..

 

10:50. 달래는 채취하지 말고, 꿩마농은 파도 되는건가 ? ㅋㅋ

 

10:51. 정상 가까이에 오름 안내판이 서 있다.

 

10:52. 명도암(明渡庵, 明道岩)은 조선 중기 제주 출신의 문인 김진용(金晉鎔) 선생의 호.

 

10:53. 오널 '호랭이'가 신이 났다 ^^

 

정상에서 남쪽으로 보이는 전망 안내판.

 

10:55. 오름지기가 찍어주어서, 나도 끼였다. ^^

 

10:56. 미세먼지로 인해서 조망은 별로 ..

 

10:57. 안세미오름의 지킴이, 정상수(頂上樹).

 

10:57. 미세먼지에 구름까지 ..

 

10:57. 화구 너머 제주시내

 

10:57.

 

10:59. 능선따라 서쪽으로 ..

 

11:02. 오른쪽으로 가면 화구의 서쪽 능선따라 명도암물로 내리는 길, 왼쪽은 밧세미 오름쪽으로 내려가는길.

 

11:03. 나무 사이로 밧세미의 모습이 건너다 보인다.

 

11:10. 45도의 경사면을 옆으로 비껴, 갈 지(之)자로 내려가는 길이다.

 

11:11. 안세미오름을 내려서고, 농로를 건너면 밧세미오름이다.

 

11:12. 밧세미오름 관리단체명의 표지판과, 그 뒤로 길의 흔적은 있지만, 인공의 산책로는 없다.

 

11:13. 정상을 향해서 가파르게 올라가는 길.

 

11:18. 제법 가파르다.

 

11:21. '뚱땡이'는 한 참 쳐젓네 ..

 

11:31. 밧세미오름의 정상부로 여겨지는곳에서 간식과 쇠주를 펼쳐놓고 .. ^^

 

12:06. 30분 남짓 먹고, 마시고, 쉬었으니, 이젠 출발 ..

 

12:09. 서북사면, 화구 능선따라 내리는 길은 가시 넝쿨로 더 험하다.

 

12:09.

 

12:11. 화구 건너 정상부를 올려다 보고 ..

 

12:11. 안세미오름도 건너다 보인다.

 

12:20. 다 내려서서 뒤돌아 보고 .. 화구쪽으로도 다닌 흔적이 있고, 우리는 오른쪽에서 내려왔다.

 

12:21. 안세미와 밧세미를 갈라놓은 농로.

 

12:22. 밧세미오름의 서쪽 농로를 따라 열안지오름으로 ..

 

12:27. 열안지오름이 건너다 보인다.

 

12:29. 열안지오름.

 

12:32. 열안지오름의 남쪽사면에 있는 '工曹參判 愼公'의 후손 묘역 입구.

 

12:35. 열안지오름의 서쪽, 재선충방제작업로를 따라 ..

 

12:39. 열안지 오름의 정상부이다.

 

12:41. 산담에 올라서서 잠시 안세미오름을 건너다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