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흘리(善屹里) 벵뒤굴(窟)
1999년 10월 6일 제주도 기념물로 지정.
2008년 1월 15일 천연기념물로 승격.
총 면적 266,728㎡.
'벵뒤'는 들판을 가리키는 제주 방언이며, 비교적 평탄한 용암대지에 발달하여 지명이 유래되었다.
용암동굴은 화산 활동에 의해 형성된 화산동굴의 한 종류이다.
용암동굴은 화산이 폭발하여 용암이 지표면을 흘러내릴 때 그 용암류 속에서 형성된 동굴.
지표면으로부터의 침식작용이나 풍화작용을 받지 않은 지각·지층의 원래 모습과 지하수 생물의 형태를
그대로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학술적 연구 가치를 지니고 있다.
벵뒤굴은 총 길이가 4,481m에 이른다.
용암굴의 형성과정은 여러 단계를 거치며 성장한다.
거문오름에서 분출한 용암류가 북동·북서 방향으로 분기 또는 합류하는 현상이 수없이 반복되면서 동굴이
형성되었다.
여기에 2차, 3차 용암류가 먼저 만들어진 동굴을 가로지르면서 수직적·수평적으로 복잡하게 얽히게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벵뒤굴은 용암류가 평평한 대지상에서 복잡한 유로를 가지며 연속적으로 흘러 형성된,
세계적으로 가장 복잡한 미로형 용암동굴이 되었다.
지표면 가까이 생성되어 있어 동굴 천장과 지표가 매우 얇아 함몰된 입구가 23개가 있다.
동굴 내부에는 곳곳에 2층·3층의 동굴구조와 용암석주, 용암교 등과 같은 동굴지형이 잘 발달되어 있다.
만장굴 등과 함께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용암동굴 중 하나이기도 하다.
세계자연유산 동굴 바닥엔 불구덩이 용암수로, 천장엔 용암석주
동굴 천정에 용암석주, 용암석순 등이 달려 있다.
동굴 아래에는 용암이 흘렀던 용암수로가 발달해 있다.
용암수로는 뜨거운 용암이 흘러내려 가면서 가장자리가 식어 굳어진 것이다.
이때 용암 중심부는 가장자리에 비해 늦게 식으며 마치 수로와 비슷한 형태가 된다.
벵뒤굴에서 벵뒤는 제주어로 산간 지역에 널따란 벌판, 평평한 대지를 뜻한다.
약 1만 년 전 인근 거문오름에서 분출한 용암이 지대가 평평한 곳을 흐르면서,
여러 갈래로 갈라져 미로형 동굴을 형성했다.
거문오름에서는 여러 차례 걸쳐 용암이 분출하면서 벵듸굴을 지나 월정 해안까지 약 14km를 흘렀다.
용암을 따라 흐른 용암길은 현재 거문오름용암동굴계로, 세계유산에 등재돼 있다.
국내 최대의 미로형 동굴
벵뒤굴은 제주시 조천읍 선흘2리 윗밤오름과 우전제비, 거문오름 사이 용암대지에 위치한다.
동굴은 해발고도 300~350m 사이에 지표면 가까이 형성돼 있는데다 천정이 얇은 편이다.
이로 인해 천정이 무너진 곳만 23곳에 이른다.
출입이 가능한 곳만 18곳
벵뒤굴은 천정이 함몰돼 외부와 뚫린 곳이 현재 23곳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중 출입이 가능한 곳만 18곳에 이른다.
그러나 중산간 오지에 위치하고 있어 일반인들은 입구 찾기가 쉽지 않다.
개방이 안된 동굴이기 때문에 출입이 가능한 입구 18곳중 비교적 접근이 쉬운 입구 3곳은 철제시설에
의해 출입이 금지되고 있다.
벵뒤굴 주위는 상록수림과 곶자왈 숲이 우거져있다.
작은 습지도 여러곳에 분포한다.
'🤍 濟州道 > 耽羅 濟州島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연기념물 제163호 제주 천지연 담팔수 자생지 (0) | 2022.12.08 |
---|---|
사진으로 보는 제주의 옛모습 (0) | 2022.05.26 |
방선문(訪仙門) (0) | 2022.05.20 |
세계가 놀란 용천동굴과 당처물동굴 (0) | 2022.05.12 |
제주의 하천 - 금성천(錦城川) (0) | 2022.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