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시 : '20. 10. 6.
일행 : 3 명
들레오름, 월평악(月坪岳), 월래악(月來岳), 월하악(月下岳)
제주시 월평동 655-2번지
표고 : 347.9m / 비고 : 40m
북쪽 사면은 해송이 주종을 이루며 숲을 이루고,
남쪽으로는 완만한 구릉지대를 이루고,
서사면쪽으로 반달모양으로 구부러져 남서쪽으로 벌어진 말굽형 화구를 이루며 골짜기를 형성하고 있다.
영주고(제주공업고등학교) 정문에서 북쪽 월평동 쪽으로 약 2백m 지점에서 오름을 오를 수 있다.
10:07. 들레오름의 동남쪽 농로에서
10:11. 오름의 동남쪽 마(馬) 목장 입구. 철조망이 쳐있다.
10:12. 오름 동남쪽.
10:13. 능선위에 올라섯다.
10:22. 오름의 북서쪽 능선의 끝.
10:24. 인증샷.
10:35. 능선의 중간쯤.
11:15. 정상부로 여겨지는곳.
11:17. 오름을 내려와서 한라산을 배경으로 ..
11:21. 힘들게 청조망을 넘어 ..
***********
봉개 오름,봉개름,봉아름,붉은 오름,봉개악(奉蓋岳)
제주시 봉개동 1811-1
표고 : 165.5m / 비고 : 36m
남서향의 말굽형으로 되어 있다.
화구 내부는 현재 마을과 학교 시설로 훼손되어 그 형체를 알아볼 수 없으나,
예전에는 화구 안에 식수를 모아 두는 봉천수 시설이 있어 논농사를 지었다고 한다.
그것이 메워져서 운동장이 되었고 둘레에 학교 건물이 섰으며 입구엔 노인 복지 회관이 세워지기도 했다.
11:53. 학교 주차장 구석쪽에 계단이 있다.
11:54. 中直大夫忠武衛 鄭公과 淑人金氏 쌍봉.
11:56. 정상부.
11:58. 삼각점 표시판인듯, 기둥만 서있다.
12:02.
************
논오름, 눈오름, 평안악(平安岳), 휴봉(休峰)
제주시 삼양1동 558-1
표고 : 52.5m / 비고 : 13m
원추형 오름의 등성이에는 소나무가 듬성듬성 자라나고 있으며,
기슭과 등성이는 감귤원과 농경지가 조성되어 있다.
일주도로와 연삼로가 만나는 삼양검문소에서 연삼로 방면으로 왼쪽에 나지막한 동산처럼 보이는 오름.
오름의 모양새나 주위 여건으로 보아 놀기에 적당해서 논오름이라 명명된 것으로 보아지며,
이를 방증이라도 하듯 등성이에 있는 묘비에는 이 오름을 평안악(平安岳)이라고 표기하고 있다.
12:26. 삼양 논오름.
12:30. 경작지로 개간은 했으나 잡초만 무성하고 ..
12:32. 정상부쯤에는 꽤 큰 봉분의 산담이 둘러진 묘가 있으나, 봉분 위에까지도 나무가 자라고 있는 .. ㅉ
12:35. 오름의 정상부 동남쪽은 바로 정상부의 코앞까지 과수원으로 변했다.
12:40. 오름을 내려와서 다시 올려다보고 ..
'🤍 나의 日常 > ├ 오름 테우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 12. 1. - 서삼봉, 권제, 오구시, 오드싱이, 인정오름 (0) | 2022.06.22 |
---|---|
'20. 10. 27. - 어후~불칸디~살쏜장올~태역장올~성진이 (0) | 2022.06.22 |
'20. 9. 29. - 이달촛대, 이달, 새별오름 (0) | 2022.06.22 |
'20. 9. 22. - 새끼오름 (0) | 2022.06.22 |
'20. 9. 15. - 서홍 검은오름 (0) | 2022.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