從(종)이라는 글자는 ‘4촌從’ 字로 된다.
이 ‘四寸從’ 자는 친당(親黨), 본당(本黨)에서만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척당(戚黨)에서는 ‘사촌 從’ 字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된 것이다.
종형(從兄), 종제(從弟), 종자(從姉), 종매(從妹), 종숙(從叔), 종고모(從姑母), 종조(從祖), 종조모(從祖母)에서부터
재종(再從), 삼종(三從)이 나오게 되는 것이다.
재종은 6촌으로 되고, 삼종은 8촌으로 되는 것이다.
종질(從姪), 종질부(從姪婦), 종손(從孫), 종손부(從孫婦)에서부터 재종(再從), 삼종(三宗) 이 나오게 된다.
삼종이 있으니 사종이 있는 줄 알고 사종이라는 사람들이 많은데, 사종이란 말은 없는 말이다.
‘외사촌 형, 외사촌 아우, 외사촌 누나 . 외사촌 누이, 외 오촌’으로 걸림 말이 이룩되는 것이다.
‘고종형(姑從兄)’, ‘고종아우(姑從弟)’라고 하면 말이 되나,
‘고종사촌’이라고 버릇이 되어 말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이것을 두고 접(接)말이라 한다.
표준말로는 ‘군말’이라고 한다.
척당에서 종(從)을 피하려고 하다가 보니,
양쪽이 서로 편하게 되는 표형(表兄). 표제(表弟)라는 말을 사용하게 된 것이다.
이 표(表)자는 척당사촌 표(表)字로 된 것이다.
4촌을 부르는 부름말과 걸림 말은 친형제와 같다.
‘형과 아우’란 남녀의 성(性)이 같은 형제끼리 이룩되는 이름이다.
그리하여 남형제(男兄弟) 또 여형제(女兄弟)라는 말이 널리 사용되는 것이다.
금세 와서 자매(姉妹)라는 말이 여형제를 대변하는 말로 빠르게 변하고 있다.
누나 姉(자)와 여동생 妹(매)字로 남자들만이 사용하는 말이 된다.
다시 말해서 남자 일방통행(一方通行) 말이 된다.
옛날에는 없던 말이 된다.
형부(兄夫)라는 말에서 형(언니)의 부(夫)자는 남편이라는 말이다.
자매(姉妹)라는 말에서 형부라는 말로 풀어 보았을 때 자부(姉夫)라는 말로 되겠는데, 누나 남편이 되는 것이다.
또 자매라는 말에서 제부(弟夫)라는 말로 풀어 보았을 때 매부(妹夫)라는 말로 된다.
이것은 여동생 남편으로 된다.
남자형제가 쓰는 말로 된다.
자매라는 말이 표준말이기는 하나 ‘여행제’라는 말을 자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부(姉夫)라는 말은 누나 남편을 지칭하는 말이 확실하나,
자형(姉兄)으로 부르는 것은 자부(姉夫)라는 말이 아들의 아내(며느리)를 뜻하는 자부(子婦)라는 말과 소리 부딪힘과
같은 음이 나기 때문에 姉兄(누나와 형)이라는 말이 어폐가 있지만,
누나의 남편을 자형으로 부르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4촌 형과 아우를 부르는 부름말은 형은 아우라고 부르고 아우는 형을 형이라고 부르게 된다.
누가 자상하게 묻는 이가 있으면 다음과 같이 말을 하게 된다.
우리종제(從弟)입니다. 우리 재종제(再從弟)입니다. 우리 삼종제입니다.
촌수 말은 쓰지 않은 것이 좋다.
아우는 형에게 ‘형 또는 형아’라고 부른다.
형은 아우에게 ‘자네’라는 말에다가 ‘하게, 말’을 사용해야 된다.
걸림말 사용에 있어서 ‘내 아우 일세’라는 말에서 ‘내’라는 말이 불가함을 알아야 되고,
‘우리 제씨(弟氏)일세’라는 말에서 그 씨(氏)라는 말이 남을 공경하는 접미사이기 때문에 불가함을 알아야 한다.
‘아우’라는 앞에 ‘내’가 올 수 없음은 그 아우가 아버지의 아들, 숙부의 아들이기 때문에 그러하고,
‘아우 弟’라는 말 뒤에 ‘氏’가 오게 되면, 남의 아우가 되기 때문에 그러하다.
4촌 아우를(從弟) ‘00아우’로 부르게 된다.
까닭은 2촌 아우와 구별 짓기 위함이거늘, 고종아우, 외사촌아우 역시 ‘△△아우’로 불리어 진다.
그 ‘△△’은 ‘고종’ 또는 ‘외사촌’이라는 걸림말이 되기도 하고 살고 있는 땅이름이 되기도 하다.
척당(戚黨)의 걸림말 가운데 착각을 일으키기 쉬운 것이 내종(姑從)과 외종(外從)이다.
내종이라고 하면 외사촌이 되고, 외종이라 하면 고종이 되는 바, 글자 맞추다보면 거꾸로 되어 버린다.
이러한 혼란을 없애기 위하여 내종이라는 말을 버리고 ‘외사촌’이라는 걸림말을 사용할 것이며,
외종이라는 걸림말을 버리고 ‘고종’이라는 걸림말을 사용하면 좋으리라고 생각 된다.
척당아우의 걸림말은 ‘아우’라는 말을 사용하지 아니 하고 ‘외사촌, 외육촌, 고종, 종고종’이라는 말을 사용하게 된다.
'🤍 文 學 > 칼럼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피 한 잔' (1) | 2023.05.21 |
---|---|
[손성진 칼럼] 대통령 지지율의 양면 (0) | 2022.07.19 |
'뽕짝에 대해서' (0) | 2022.05.25 |
孔子穿珠 (공자천주) / 안병화의 시사 한자성어 <3> (0) | 2022.05.22 |
道聽塗說 (도청도설) / 안병화의 시사 한자성어 <2> (0) | 2022.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