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pot of Jeju azbang

제주아즈방의 이런 저런 여러가지 관심사 창고

🤍 濟州道/濟州의 오름 .

오름의 분포 및 형태

아즈방 2022. 3. 8. 11:54

 

** 오름의 분포 및 형태

제주도에는 총 368개의 오름이 있으며 주로 한라산 산록인 중산간 지역에 집중 분포

하고 있다.
시군별로는 북제주군 151개, 남제주군 121개, 제주시 59개, 서귀포시 37개 순이며,

읍면별로 애월읍 50개, 구좌읍 40개, 표선면 31개, 안덕면 31개, 조천읍 30개 순이다.
제주도에 오름은 한라산 정상부근에서부터 해안가에 이르기까지 어느 곳에서나 찾아

볼 수 있다.
또한 오름의 형태가 다양하여 그 외형적 특성을 보면,

말굽형 오름, 원추형 오름, 원형 오름, 복합형 오름으로 나눌 수 있다.
- 총 368개 오름중에서 말굽형오름이 가장 많아 174개이며,

원추형 102개, 원형 53개, 복합형 39개 순이다.

 

 

말굽형 오름

분화구의 일부분이 용암유출과 같은 요인에 의해 한쪽 부분이 침식되어 형성된 오름.     

화구 모양이 말굽과 같다하여 말굽형으로 분류하고 있다.

 

원추형 오름

분화구가 매워져 있거나 심하게 침식되어 뾰족한 형태의 오름을 말한다.

 

원형 오름

산정상부에 원형 분화구(굼부리)를 갖고 있거나 산굼부리와 같이 분화구만으로

이루어진 것을 말한다.

 

복합형 오름

화구가 2개 이상으로 조합되어 있는 형태로서,

원형 분화구와 말굽형 분화구를 2개 이상에서 5개까지가 한 화산체에 밀집되어 있는

형태를 말한다

※ 오름 정상부 분화구내 물이 차 있어서 호수 등 습지 형태의 山頂火口 湖를 갖는

   오름이 9개나 있다.

- 물영아리, 물장오리, 원당봉, 어승생악, 금오름, 세미소, 물찻, 사라오름, 동수악.

   

지역별 오름 현황

'🤍 濟州道 > 濟州의 오름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구목(1,813m) / 한라산 정상 서북부 / 제주시 오라동  (0) 2022.03.09
오름, 얼마나 아시나요?  (0) 2022.03.08
오름 분포도  (0) 2022.03.08
오름 구별 방법  (0) 2022.02.07
오름이란 ?  (0) 2022.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