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pot of Jeju azbang

제주아즈방의 이런 저런 여러가지 관심사 창고

🤍 濟州道/漢拏山 . 74

한라산 등산로 변천사

한라산 등산로 변천사 1958년부터 본격 산행.........등산로 개척단계 한라산 백록담에 오른 등반로는 어떤 변천과정을 거쳤을까? 조선시대 제주목사나 판관 등이 한라산을 오른 경우는 많지만 기록을 남긴 경우는 채 10건도 안된다. 많이 올랐다는 것은 이약동 목사 이전에는 백록담 북쪽의 제단에서 한라산 산신제를 지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오르는 경우가 많았다는 얘기다. 그렇다면 예전에는 어느 코스로 백록담을 올랐을까? 한라산 등반기중 가장 오래된 자료라 할 수 있는 1577년 임제의 ‘남명소승’ 에는 제주목 서문을 출발, 도근천 상류인 광령계곡을 지나 영실의 존자암이 등반전진기지가 된다. 이어 영실코스의 옛 등반로인 남쪽절벽을 올라 올라 백록담 정상에 도착한 후, 하산 할 때에는 백록담 남벽코스를 이..

한라산국립공원(漢拏山 國立公園)

漢拏山 國立公園 한라산(漢拏山)은 백두산, 금강산과 함께 우리나라 3대 영산으로 꼽힌다. 한라산은 해발 1,950m로 남한 최고봉이면서도 사람들을 가까이하여 친숙함을 느끼게 하는 산이다. 漢拏山의 漢은 '은하수'라는 뜻이고, 拏는 '끌어 당기다, 붙잡다' 의 뜻이다. 그러므로 漢拏山은 "은하수를 붙잡을 수 있을 정도로 높은 산" 이라는 뜻이 된다. 옛날에는 부악(釜岳), 원산(圓山), 진산(鎭山), 선산(仙山), 두무악(頭無岳), 영주산(瀛洲山), 부라산(浮羅山), 혈망봉(穴望峰), 여장군(女將軍) 등으로 불리었다. 한라산은 삼신산(三神山) 중의 하나로 한반도의 최남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남한에서 가장 높다. 또 다양한 식생분포를 이뤄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은 동.식물의 보고(寶庫)로서, 1966년 10..

국토의 상징 한라산

[개설] 한라산(1,950m)은 남한 최고봉으로 백두산과 더불어 국토를 잇는 상징적인 산이다. 한라산은 예부터 삼신산의 하나인 영주산으로 백록을 탄 신선이 사는 영산이라 알려져 왔고, 불로초를 찾아 영주산을 찾았다는 서불의 전설이 깃들어 있다. 또한 한라산의 여신 설문대할망이 솥에 빠져 죽었다는 이야기도 전해지는, 제주인의 풍부한 상상력과 영감의 보고이다. 또한 한라산은 세계 최대의 기생 화산을 거느린 산으로 360여 개의 자화산을 거느리고 있다. 그 기슭에는 2,000종에 이르는 한대·온대·아열대 식물과 3,000여 종의 곤충과 동물이 서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지질·생태·경관적 가치로 인해 2003년에는 유네스코에 의해 생물권보존 핵심지역으로 지정 되었을만큼 생태적 가치가 높은 산이기도 하다. [사라..

한라산 최고봉의 이름은 '혈망봉(穴望峰)'

'한라산총서'(2006 발행) 中 '한라산 이야기' 한라산 최고봉의 이름은 '혈망봉(穴望峰)' 백록담은 한라산의 최고봉인가? 물론 아니다. 천지(天池)가 백두산의 최고 지점이 아니듯이 백록담도 그렇다. 그럼에도 사람들은 종종 백록담을 한라산 정상인 것처럼 표현한다. 이는 정상을 일컫는 마땅한 이름이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산을 자주 찾는 산악인들이나 학자, 그리고 일반인들 사이에서는 한라산의 최고봉을 뜻하는 봉우리 이름을 고문헌에서 찾거나, 그게 없다면 도민들의 중지를 모아 새로 지어야 하는 게 아니냐는 논의가 오래 전부터 있어 왔다. 사실 명산이라 일컷는 산 중에 최고봉의 이름이 없는 산은 찾아보기 힘들다. 외국의 산들은 차치하고라도 백두산의 장군봉, 설악산의 대청봉, 지리산의 천왕봉처럼 이름을 날리는..

漢拏山 개요

개요 높이 1,950m. 남한에서 가장 높은 산. 漢拏山이라는 이름은 산이 높아 산정에 서면 은하수를 잡아 당길 수 있다는 뜻이며, 예 부터 영주산(瀛州山), 부라산(浮羅山), 혈망봉(穴望峰), 여장군 등으로도 불려왔다. 동국여지승람 에는 1002, 1007년에 분화했다는 기록과 1455, 1670년에 지진이 발생하여 큰 피해가 있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한라산 정상에는 지름이 약 500m에 이르는 화구호인 백록담이 있으며, 360여 개의 측화산, 해안지대의 폭포와 주상절리, 동굴과 같은 화산지형 등 다양한 지형경관이 발달했다. 자연환경 제주도의 윤곽과 한라산의 형태는 신생대 제3기 플라이오세에 화산활동이 시작된 이후 제4기에 이르는 수많은 용암 분출로 이루어졌다. 제3기말에 화산활동이 있었다는 것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