小暑
양력 7월 7 · 8일 쯤
24절기의 11번째.
夏至와 大暑 사이에 들며 음력으론 6월, 양력으론 7월 7일 무렵이다.
태양이 황경 105도의 위치에 있을 때이다.
소서는 ‘작은 더위’라 불리며, 이때를 중심으로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된다
이 시기는 여름장마철로 장마전선이 한반도 중부지방을 가로질러 장기간 머무르기
때문에 습도가 높고 비가 많이 내린다
예전에는 이때쯤이면 하지 무렵에 모내기를 끝낸 모들이 뿌리를 내리기 시작하는
시기로, 농가에서는 모를 낸 20일 뒤 소서 때에 논매기를 했다.
또 이때 논둑과 밭두렁의 풀을 베어 퇴비를 장만하기도 하고,
가을보리를 베어낸 자리에 콩이나 조, 팥을 심어 이모작을 하기도 하였다.
충남 공주시 반포면의 모내기는 보통 ‘하지 전 3일, 하지 후 3일’이라고 하는데,
대략 소서 때가 모를 심는 적기이다.
두레를 행하던 당시에는 어느 논이나 보리를 심기 때문에,
모를 내는 시기가 지금보다 훨씬 늦었다.
김매기는 모를 매고서 약 보름이나 한 달 정도 있다가 시작하였다.
절기상으로 초벌은 하지와 소서를 지나서 하게 된다.
소서에는 위와 같은 속담이 있다.
소서 전에 모내기를 마쳐야 벼가 잘 자라 그 해에 풍년이 들기 때문에,
모든 일손을 동원해서라도 모내기를 마쳐야 하는 것을 강조하는 속담이다.
이 무렵은 더위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때여서 과일과 채소가 많이 나며,
밀과 보리도 이때부터 먹게 된다.
대체로 음력 6월은 농사철치고는 한가한 편으로 밀가루 음식을 많이 해 먹는다.
중국에서는 소서 무렵의 15일을 3후(三侯)로 나누었는데, '高麗史'의 기록에,
"소서는 6월의 절기로,
初候에는 따뜻한 바람이 불어오고,
次候에는 귀뚜라미가 벽에서 살며,
末候에는 매가 새를 잡기 시작한다" 고 하였다.
'🤍 歲月은 지금 > 7 월 .' 카테고리의 다른 글
漢詩 - 六月流頭(유월유두) (0) | 2025.07.09 |
---|---|
9일 - 유월유두 (음력 6월 15일) (3) | 2025.07.09 |
수필 - '방아다리에 부는 바람' / 반숙자 (1) | 2025.07.05 |
詩 - '장마 지나간 옥상' / 박영희 (0) | 2025.07.04 |
지금이 제철 / 서남해안 자연산 농어 (0) | 2025.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