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pot of Jeju azbang

제주아즈방의 이런 저런 여러가지 관심사 창고

🤍 나의 日常/├ 오름 테우리 .

'20. 2. 4. - 명월, 초낭, 봉성 눈, 장전 눈, 바굼지(파군봉).

아즈방 2022. 6. 20. 09:35

일시 : '20. 2. 4. 10:00~14:40.

일행 : 3명.

 

09:10. 서귀포 중앙로타리에서 출발.

 

 

 

동광오거리 - 금악리 - 문수동(왼쪽 길가 명월리 표지석, 천수원 표지판 골목으로) - 명월오름.

 

 


 * 명월오름, 밝은오름, 명월악(明月岳)
 한림읍 명월리 1105번지 일대   
 표고 : 148.5m / 비고 : 39m  /둘레 : 1,083m / 면적 : 60,359㎡ / 저경 : 306m   
 
 원래 원형 분화구의 형태를 갖추고 있었으나, 화구로 부터의 용암유출에 의해 남향의 골짜기로 터진

 말굽형 화구를 이루고 있다.
 오름의 정상을 중심으로 북사면쪽은 해송림이 조성되어 있고,

 오름 정상과 남사면쪽은 풀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해송이 듬성듬성 식생하고 있다.   
 언듯 보기에 오름이라 여겨지지 않을만큼 야트막하며 명월리 문수동 버스정류장 옆 천수원 표지판을

 따라가면 오름에 이른다.
 
 산 모양이 달같이 환하고 반반하게 생긴 데에 연유한다고 한다.

 <"오름나그네" 김종철>

 

 

10:05. 명월오름의 동북쪽. 가족묘지이다.

 

10:09. 명월오름의 정상에서 비양도방향.

 

10:10. 정상에는 종려나무 한그루가 서있다.

 

10:11. 잔설이 남은 한라산이 멀리 보인다.

 

동명교차로 우틀 - 중산간도로 - 상대교차로에서 우회전 500m - '천주교한림성당공동묘지' 표지판 골목으로 - 초낭오름.

 

 

 * 초낭오름, 처남오름, 처나름, 천아오름, 천아악(天娥岳)
 한림읍 상대리 1689번지 일대
 표고 : 133.6m / 비고 : 49m / 둘레 : 1,811m / 면적 : 127,387㎡ / 저경 : 528m

 3개의 봉우리를 갖고 있고, 서남쪽으로 벌어진 말굽형 화구를 이루고 있다.

 북서사면에는 천주교회 공동묘지가 조성되어 있고, 그외 사면에는 묘지들이 많이 들어서 있다.
 주요식생은 해송이 주종을 이루면서 잡목이 우거지고 북사면쪽으로 참나무, 닥나무가 일부 식생되어있다.
 마을에서는 오름 오른쪽 봉우리를 인걸이오름, 왼쪽의 오름을 제열(매미)오름으로 따로 부르고 있다.
 한림읍 상대리 마을 남쪽에 위치한 오름으로 천주교 한림공동묘지를 지나 오름에 오를 수 있다

 
 천아오름은 처남오름 또는 처나름이라고 부른다.
 '처남'이란 초남(상수리나무)이고, 처나름이란 '처남오름'의 남에서 'ㅁ'이 탈락한 '처나오름'이 다시
 줄여진 호칭이라고 한다.
 <"오름나그네" 김종철>

 

 

10:31. 천주교한림성당공동묘지

 

10:35.

 

10:38. 초낭(천아)오름 정상이라고 여겨지는 곳.

 

10:39.

 

10:48.

 

11:39. 초낭오름에서 왼쪽으로 뻗은 능선의 정상부.

 

11:52.

 

중산간로 - 귀덕교(교량) 우틀 - 하천변길 약 2km - 논오름.

 

 

 * 눈오름, 논오름, 와악(臥岳)
 애월읍 봉성리 2952-2번지 일대
 표고 : 131.1m / 비고 : 31m / 둘레 : 1,030m / 면적 : 51,576㎡ / 저경 : 384m
 

 애월읍 봉성리 신명동 남쪽 약 1km 지점에 위치한 오름으로 북쪽으로 반달모양의 말굽형 화구를 이루고 있다.
 동, 서, 북쪽사면에 해송이 일부 식생하고 있고, 정상부를 제외한 지역에서는 오름사면을 깍아 과수원과

 경작지가 조성되어 있다.
 봉성리 마을에서도 오름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찾는 데 힘이 드는 오름중의 하나다.
 제일 현명하게 찾는 법 - 마을 노인들에게 길을 물어서 찾아가는 방법이 제일 빠르다.

 

 

12:13.

 

12:14.

 

12:15.

 

12:16.

 

12:18.

 

12:23. 봉성 눈오름의 정상부.

 

12:31. 오름 능선의 60%는 경작지로 변해버렸다.

 

12:34.

 

봉성보건진료소 - 중산간도로 - 용흥교차로 - '장전마을'끼고 소로 300m 우틀 - 100m 비닐하우스, 좌측 경작지 너머 눈오름.

 

 

 * 눈오름, 누운오름, 논오름, 와악(臥岳)
 애월읍 장전리 1756번지 일대
 표고 : 127.5m / 비고 : 13m / 둘레 : 606m / 면적 : 20,780㎡ / 저경 : 384m
 
 애월읍 장전초등학교 서쪽 약 1.5Km 지점, 도로연변 귤밭 너머에 나지막히 누워있는 오름으로,

 동쪽으로 벌어진 말굽형 화산체이다.
 오름 동쪽의 화구 안사면은 분지형태를 띠면서 감귤원과 농경지가 조성되어 있고,
 해송이 주종을 이루면서 가시덤불이 우거져 숲을 이루고 있다.
 
 나지막이 누워 있대서 누운오름이다.

 흔히 논오름 또는 老恩峰이라고 불리고 있으나 산의 생김새로 보아 이는 누운오름의 와전인 듯하다.
 <"오름나그네" 김종철>

 

 

12:53.

 

12:55.

 

13:02.

 

13:03. 장전 눈오름의 정상부.

 

13:11.

 

중산간도로-광령3리교차로 좌틀-애조로(하귀교차로) 직-휴먼시아APT)-직전 좌틀- 월영사 주차장(바굼지오름 기슭)

 

 

* 바굼지오름, 破軍峰(파군봉)
 애월읍 하귀1리 688-1 번지
 표고: 84.5m / 비고: 50m / 둘레: 1,092m / 면적: 59,269m / 저경: 370m

 오름은 상당기간 침식을 받아 오름 원래의 형태는 알아볼 수 없으나,

 오름의 구성물질이 화산쇄설성퇴적층과 용암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오름을 중심으로 주변에 커다란 응회환이 형성되었던 것이 침식되어 일부분만 남아 있는 것으로 추정 된다.
 과거 삼별초의 격전지로서 여·몽연합군 삼별초군을 격파한 곳이라 하여 파군봉이라고도 불리고 있으며,

 항파두리성은 2,5km쯤 떨어진 남쪽에 위치해 있다.
 애월읍 하귀1리 일주도로 변에서 남동방향으로 700여m 지점에 위치한 오름.

 일주도로 변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하귀1리 마을회관 옆으로 나 있는 도로를 따라가면 오름 기슭에 이른다.

 오름의 형태가 바굼지(바구니의 옛말)처럼 생겼다하여 바굼지오름이라고 한다.

 <"오름나그네" 김종철>

 

 

13:35.

 

13:36.

 

13:45.

 

13:49. 바굼지오름(파군봉)의 정상부.

 

13:54.

 

13:55.

 

13:55.

 

14:27.

 

14:28. 내리막길 앞으로 월영사가 내려다 보인다.

 

14:40. 월영사를 출발하여 평화로를 거쳐 15:30에 서귀포 도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