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시 : '20. 3. 3. 10:00~15:30 / 7.5km.
일행 : 3명
것구리, 거꾸리, 꾀꼬리, 鶯岳(앵악), 鶯峰(앵봉), 원오름, 普門岳(보문악), 倒轉岳(도전악)
조천읍 대흘리 산33번지
표고 : 428.3m / 비고 : 58m / 둘레 : 1,487m / 면적 : 110,674㎡ / 저경 : 500m
남동쪽의 정상을 중심으로 완만한 기복의 양쪽 등성이가 굼부리를 싸안았으며,
북서쪽으로 벌어진 말굽형 화구는 수당목장으로 이어지면서 초원을 이루고 있다.
굼부리 안에는 산비탈에서 조금씩 흐르는 물이 고여 못을 이루고 있다.
북쪽 기슭에는 남양홍씨 선조묘인 보문사(普門祠)가 자리잡고 있는데,
그 경내 한쪽 기슭에는 '원물'이라 부르는 샘이 있는데 지붕과 돌담이 둘러져 보호되고 있다.
오름 전사면은 해송과 삼나무가 주종을 이루며 숲을 이루고,
화구 안에는 산담이 둘러진 묘들과 함께 농경지가 조성되어 있다.
번영로 대흘교차로에서 남쪽 교래방면으로 진행하면 오름의 표지석이 있으며,
북동쪽 기슭으로 오를 수 있다.
鶯의 중세국어의 훈은 '곳고리'이고, 제주도방언으로는 '궷고리. 꿰꼬리'이다.
鶯은 '것고리' 또는 '것구리'를 '괴꼬리>꾀꼬리'로 잘못 이해하여 표기한 것이다.
巨口里岳, 倒轉岳, 倒顚岳, 鶯岳, 鶯峰 등은 모두 '것구리오름'의 한자 차용표기에 불과하다.
곧 산이 서로 거꾸로 누워있다(한라산 쪽인 남쪽이 낮고 바다쪽인 북쪽은 높다)는 데서 붙인 것이다.
굳이 해독하자면 '갓고로 업더딘 오롬' 정도가 될 것이다.
이 오름 주변 비석에는 '普門岳/보문오름'이라고 표기한 것도 있는데,
이는 이 곳에 普門寺라는 절이 있었던 데서 유래한 것이다.
<"제주도 오름과 마을 이름" 오창명>
10:05. 것구리오름 북쪽에 있는 남양홍씨 선조묘 보문사(普門祠) 입구에 차를 주차허고 ..
10:07. 것구리오름을 향해서, 교래리-남쪽 방향으로 시멘트포장길 따라 ..
10:09. 보문사(普門祠) 입구에서 시멘트포장길 따라 250m쯤 올라오면 것구리오름 표지석이 서있다.
10:10. 표지석 뒤편으로 내려서면 지붕과 돌담이 둘러져 있는 '원물'이 있다..
10:15. 표지석에서 길따라 150m쯤 더남쪽으로 가면, 오름의 동쪽 들머리가 보인다.
10:18. 삼나무숲 사이를 가파르게 올라서고 ..
10:25. 삼나무숲을 벗어나면 잡목이 우거진 사이로 .. 통신탑이 보인다.
10:30. 것구리오름의 정상부. 들머리에서 올라온 경사도를 짐작하면 비고가 100m는 넘을듯한데 ..
비고 58m는 납득이 안간다. 남쪽 높은지대에서 잰건가.. ?
11:01. 30여분 쉬고서 올라온 반대, 서남쪽으로 ..
11:08. 길은 서쪽으로 돌면서 완만한 능선을 오른쪽으로 끼고 내려간다.
11:09. 능선따라 길은 북쪽으로 틀다가 다시 북동쪽으로 화구안을 향하여 급하게 내려간다.
송이길이 아니고 붉은 진흙길, 뚱땡이는 한번 미끄러지고 ..ㅎㅎ
11:14. 것구리오름의 화구바닥은 평평한 초원이다.
11:15~11:35. 것구리오름의화구안을 가로질러 골목길 북쪽으로 골목길따라 450m쯤 걸으면 번영로.
번영로따라 서쪽으로 800m쯤 가면 굴다리 밑으로 건너 세미오름 입구가 나온다.
새미오름, 샘이오름, 세미오름, 거슨세미, 천미악(泉味岳), 천악(泉岳), 사미악(思美岳)
조천읍 대흘리 산27-1번지
표고 : 421m / 비고 : 126m / 둘레 : 1,988m / 면적 : 261,938㎡ / 저경 : 681m
남-북서 방향으로 가로누워 있는 오름.
산등성이는 남에서 북으로 곧게 뻗어 있고 서쪽으로 완만하고 평평한 등성마루를 이루면서 남서쪽으로
완만하게 벌어져 말굽형 화구를 이룸.
샘이 있어 '세미오름'이라 부르는데 샘은 오름 북동쪽(와산리 쪽) 기슭에 타원형으로 돌담이 둘러져 보호
되고 있음.
예전에 院이 있던 오름자락(꾀꼬리오름과의 사이 한길가)에는 지금도 院洞, 원터 등의 지명이 남아있고,
동녘자락에는 종남밭이라 불리는 곳도 있다.
오름 상단부 및 남서사면에는 해송과 삼나무가 조림되어 숲을 이루고 있으며,
그 외 지역은 잡목들이 어우러진 풀밭(억새, 잔디) 오름으로 오름기슭에는 상수리나무 군락이 있다.
번영로의 남조로와 교차하는 지점(검문소)에서 동쪽 약 700m 지점에 진입로가 있고 표지석 있는 곳에서
오르면 된다.
11:38. 세미오름 입구.
11:39. 오름쪽으로 야자매트가 깔려있는 들머리.
11:46. 초입의 사면은 꽤 가파르다. 일주일을 절주해서 모아논 기운으로 펄펄 나는 '소나이' ^^
11:49. 막내님은 뒤에서 낑낑대고.. ^^
11:50. 가파른 사면을 올라서자, 능선길따라 건너편에 더 높은곳이 기다린다.
11:57. 세미오름의 정상부.
12:03. 동북쪽으로 함덕과 서우봉 일대가 막힘없이 조망된다.
12:04. 40여분 쉬멍, 말 골멍, 쏘맥으로 목 축이멍 .. ^^
12:44. 산불지킴이에게 부탁해서 셋이 인증샷.
12:49. 능선따라 북, 북서, 남 ..
12:00~ 걸어서 번영로따라 동쪽 대흘 교차로쪽으로 ..
13:20~13:30.
대흘교차로에서 남양홍씨선조묘까지 300m쯤 걸어 올라가서 차를타고 와산 당오름으로 이동.
당오름, 당악(堂岳)
조천읍 와산리 7-1번지
표고 : 306.4m / 비고 : 56m / 둘레 : 1,657m / 면적 : 138,170㎡ / 저경 : 582m
북쪽에서 바라보면 오름의 형태가 뚜렷하나 남쪽에서 바라보면 구릉지대처럼 보이며,
남쪽으로 넓게 벌어진 말굽형화구를 지녔다.
전사면이 울창한 자연림의 숲을 이루고 있으며 화구 내에는 농경지가 조성되어 있다.
이오름의 북동쪽 기숡에 당(堂)이 있어 당오름으로 불린다.
포장된 농로가 정상까지 개설되어 있다.
13:34. 와산 당오름의 화구.
13:38. 화구가 평지인 탓(?)에 경작지로 변해있다.
13:41. 당오름의 정상부 바위지대.
13:43. 당오름의 정상부.
13:46. 화구안은 남쪽, 서남쪽으로는 평평한 구릉지대로 보이지만,
북쪽, 동북쪽(사진의 왼편)은 잡목과 가시덤불로 덮힌 급경사 사면이다.
13:49. 화구의 서남족으로 돌아와서, 보리밭 건너 정상부를 조망.
13:55~14:10. 차를 타고 와흘 구그네오름으로 이동.
구그네 오름, 기시네오름, 설레오름
조천읍 와흘리 957번지
표고 : 237.4m / 비고 : 47m / 둘레 : 792m / 면적 : 38,935㎡ / 저경 : 294m
완만한 사면에 약간 동서로 치우친 등성마루는 남북으로 긴 형태를 이루며,
중앙이 솟아오른 원추형 화산체.
북서사면은 해송이 주종으로 숲을 이루고,
남사면은 억새풀이 우거진 가운데 해송이 일부 식생하고 있다.
남쪽으로 목장이 잘 조성되어 있어 이곳 정상에서 한라산쪽을 바라보는 풍경은 그림처럼 아름답다.
번영로 제피로스골프장 입구 사거리에서 와흘리 방면으로 내려가면 오름 자락에 닿는다.
구그네오름이란 산 모양이 마치 '구그네('고무래'를 말하는 제주도방언)'를 닮았다는 데서 유래한다고
하며, 기시네오름, 설레오름 등으로 불리고도 있으나 그 어원은 알 수 없다.
14:15. 와흘 구그네오름의 서쪽 길가에서 ...
14:18.
14:26. 오름의 주변을 전부 목장초지로 조성하여놓았고, 울타리를 쳐 놓아서 출입을 제한하고 있다. 쩝 ..
14:30~14:40. 차를 타고 남조로 따라 교래리 휴양림으로 이동.
늡서리
조천읍 교래리 산119번지일대
표고 : 488.9m / 비고 : 59m / 둘레 : 1,691m / 면적 : 115,505㎥ / 저경 : 468m
원형 분화구에서 반 이상의 부분이 침식되어 떨어져 나가 초승달 모양만 남아있는 말굽형 화구로서
침식부는 북동쪽으로 화구륜(火口輪)을 자르며 도로가 나있다.
화구 안에는 평지로 개간되어 있으면서 잡초가 자라고,
전 사면은 자연림의 숲을 이루면서 그 아래로 복수초가 소군락을 이루고 자주괴불주머니가 식생하고 있다.
조천읍 교래리 바농오름 남동쪽에 위치한 오름으로 돌문화공원 남쪽으로 인접해 있다.
‘늡서리’의 어원은 알 수 없으나, 묘비에는 한글로 늡서리오름, 한자로는 晩霜峰(만상봉)이라 표기되어 있는데,
이것은 ‘늡서리’를 ‘늦서리’로 잘못 인식하여 표기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오름나그네" 김종철>
14:41. 교래휴양림의 옆 산책로 입구.
14:47. 늡서리오름의 북쪽 들머리.
14:48. 오름 능선에 길이 없는 줄 알았는데, 표지판도 있고 길도 나있고 .. ?
14:49. 60m쯤 올라가니 시설물(물탱크)이 있고, 길은 끝. 시설물 우측으로 돌아서 ..
14:58. 잡목사이로 노루길따라 그럭저럭 진입.
반달모양의 평평한 능선부의 중간 정상부쯤이라고 짐작되는곳.
14:59. 늡서리오름의 정상부로 생각허고 인증샷.
15:00.
15:03. 더 이상 전진이 어려워서 오른쪽(서쪽) 사면으로 내린다.
15:13.
15:16. 늡서리오름의 둘레길 따라 들머리쪽으로 회귀.
15:35. 차를 타고 의귀리(구멍가게), 한남리(가을파지도 과원), 위미리를 지나 서귀포로 ..
16:45. 구터미널 앞 광장갈비에서 늦은 점심.
'🤍 나의 日常 > ├ 오름 테우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 3. 31. - 산세미, 천아오름, 동광 밝은오름. (0) | 2022.06.21 |
---|---|
'20. 3. 17. - 구두리, 가문이, 여문영아리 (0) | 2022.06.20 |
'20. 2. 18. - 검은덕이, 알, 궤물오름. (0) | 2022.06.20 |
'20. 2. 4. - 명월, 초낭, 봉성 눈, 장전 눈, 바굼지(파군봉). (0) | 2022.06.20 |
'20. 1. 21. - 돈두미 (0) | 2022.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