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시 : '20. 1. 21.
일행 : 5 명
이동거리 : 6.00 km / 소요시간 : 03:05. / 이동시간 : 02:22.
평균속도 : 2.70 km⁄h / 최고속도 : 48.70 km⁄h
최저고도 : 80.00 m / 최고고도 : 163.00 m
* 가마오름, 釜岳(부악)
한경면 청수리 1202번지 일대
표고 : 140.5m / 비고 : 51m / 둘레 : 2,059m / 면적 : 154,486㎡ / 저경 : 646m
오름 모양이 가마솥을 엎어 놓은 모양과 같이 생겼다 하여 가마오름이라 부르고 있다.
주봉인 남쪽봉우리를 중심으로 북쪽으로 뻗은 등성마루에는 언덕같은 봉우리가 솟아 있고,
완만한 동사면은 북동쪽으로 말굽형 화구를 이루며 얕고 넓게 벌어져 있으며 붉은 송이로 이루어져 있다.
해송과 잡목이 어우러져 숲을 이루고 있으며, 풀밭에는 술패랭이꽃이 여기저기 보인다.
한경면 수룽이마을(산양리 수룡동) 뒷산으로 마을 남동쪽 약 500m지점에 위치한 오름.
10:13.
10:19.
10:21.
10:22.
10:23.
10:24.
10:24.
10:27.
10:28.
10:30.
10:31.
10:32.
10:37.
10:38.
10:45.
10:51.
10:52.
10:54.
10:57.
* 새신오름, 新西岳(신서악), 鳥巢岳(조소악)
한경면 청수리 3369번지 일대
표고 141.2m / 비고 41m / 둘레 1,814m / 면적 214,735㎡ / 저경 622m
나지막한 언덕 형태.
오름 정상에는 마을에서 암메(암메창)라 부르는 둥그런 화구가 넓게 우묵져 깊이가 약 20m 정도의
평지에 가까운 원형 분화구를 이루고, 화구 안에는 농경지와 초지, 그리고 묘지가 조성되어 있다.
한경면 산양리 산양초등학교(폐교) 북동쪽 300m 지점의 도로변에 위치
문헌이나 묘비에 鳥巢岳(조소악)으로 표기되어 있다.
'새신'의 새는 鳥(새)를 뜻하고, '신'은 '싯다'의 매김씨 꼴로서 살고 있음을 뜻하는 것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새신오름이란 새가 깃들여 사는 산이란 뜻으로 한자이름 '鳥巢(조소)'는 한자의 뜻을 빌어
표기한 것으로 보고 있다.
<"오름나그네" 김종철>
11:00.
11:00.
11:02.
11:13.
11:15.
11:15.
11:16.
11:16.
11:16.
11:17.
11:18.
11:55.
11:56.
12:01.
12:04.
12:05.
12:12.
12:18.
* 굽은오름, 구분오름, 拘奔岳(구분악)
한경면 조수2리 3666번지 일대
표고 : 96m / 비고 : 26m / 둘레 : 2,667m / 면적 : 296,443㎡ / 저경 : 820m
동쪽 봉우리와 서쪽봉우리 사이의 펑퍼짐한 등성마루에는 둥글 널찍하게 움푹패어 웅덩이가 있고,
그 북쪽사면에는 골짜기가 패어 있다.
동쪽 봉우리(주봉)는 남동쪽으로 넓게 벌어진 말굽형화구를 이루고,
서쪽 봉우리는 원추형을 이룬 복합형 화산체로서 군데 군데 묘들이 산재해 있고,
해송이 주종을 이루는 풀밭을 이루고 있다.
12:41.
12:43.
12:50.
12:51.
13:03.
13:12.
14:52.
'🤍 나의 日常 > ├ 오름 테우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 2. 4. - 명월, 초낭, 봉성 눈, 장전 눈, 바굼지(파군봉). (0) | 2022.06.20 |
---|---|
'20. 1. 21. - 돈두미 (0) | 2022.06.20 |
'19. 12. 13. - 행원 연대봉 (0) | 2022.06.19 |
'19. 12. 12. - 넙게오름(서광), 신산오름(창천) (0) | 2022.06.19 |
'19. 11. 28. - 남산봉~본지오름~걸리오름. (0) | 2022.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