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슬개오름, 모살개오름, 摹瑟峰(모슬봉)
대정읍 상모리 3540-2번지 일대
표고 : 180.5m / 비고 : 131m / 둘레 : 5,276m / 면적 : 453,030㎡ / 저경 : 1,732m
동일 등고선 상의 어느 지점으로부터도 정상까지의 높이는 물론, 사면의 길이가 서사면 상부 쪽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사면으로 둘러져 있는 대칭적 경사를 이루는 전형적인 원추형 화산체이다.
이러한 형태의 화산체는 아이슬랜드식 화산체(icelandic volcano)와 그 외형이 아주 유사하지만,
화산체상에서 층서구별을 할 수 있는 노두가 존재하지 않고,
그 지질 단면상에 용암유출 단위가 인정되어야만 아이슬랜드식 화산체로 정확히 구분하는 것이 가능
할 것으로 사료되지만 아직까지 이에 대한 근거자료가 부족하여 상세히 분류하는 것은 다음으로 미뤄둔다.
<제주의 오름>
오름 꼭대기에는 조선시대에 봉수대가 있어서 남동으로 貯別(저별-송악산)봉수, 북서로 遮歸(차귀-당산)
봉수에 응했었다고 한다.
오름 정상에는 레이다 기지가 설치되어 있어 출입이 통제된 곳이나 묘소들이 정상 부근까지 있어서 정상
철책까지 오를 수 있다.
아이슬랜드식 화산체(icelandic volcano)
일윤회성의 단성화산으로 중심분출에 의한 비교적 소형의 순상 화산체
모슬개(모슬포)에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인데,
'모슬개' 의 '모슬' 은 '모래'의 제주방언 '모살' 의 와음이며,
모슬봉(摹瑟峰)은 한자의 음을 빌어 표기한 것이다.
<"오름나그네" 김종철>
가시오름 정상에서 - '16. 11. 29.
'🤍 濟州道 > 濟州의 오름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출봉 ( 179m/ 174m) / 동부 / 성산읍 성산리 (0) | 2022.04.12 |
---|---|
은월봉 ( 179.6m / 75m) / 동부 / 구좌읍 종달리 (0) | 2022.04.12 |
밝은오름 ( 182.5m / 43m) / 서부 / 한림읍 상명리 (0) | 2022.04.12 |
낭끼오름 ( 185.1m/ 40m) / 동부 / 성산읍 수산리 (0) | 2022.04.12 |
안오름 ( 186m / 21m) / 북서부 / 애월읍 고성리 (0) | 2022.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