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석(立石)오름
남원읍 하례리 산2-1번지일대
표고 1,189m / 비고 39m,
이 오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고 있다.
한라산 국립공원 내에는 모두 46개의 오름이 있는데,
대부분 비고가 높기 때문에 등산로 또는 국도에서 식별이 가능하다.
이 오름은 한라산 깊은 산 속에 꼭꼭 숨어있으면서 몸체에 비해 워낙 비고가 낮아
식별하는 데에 어려움이 뒤따르는 오름이다.
국립공원 내에 위치하여 출입이 통제되고 있다.
오름 이름의 유래는 주변에 입석마을, 즉 천진원쪽에 입석마을이 4.3 이전에 있었다고
하며, 이마을 이름에 기인하여 "한라산 40년지기"란 책(비매품)에서 저자가 1980년
초에 오름이름을 명명 하였다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그위치가 해발 1500m이고, 해발1800m 표지석에서 남동쪽으로 약1.5km라고
하고 있으며, 이는 국토지리원의 1/25,000 자연생태도에 표시되어 있는 위치와 일치하나,
여기서 또한 해발 1189m, 비고39m 라고 하고 있으니,
실제 오름 위치는 가까이 가기 전에는 육안으로 확인이 안되는 깊숙이에 있는 오름이다
따라서, 1/25,000지도, 다음, 네이버 지도등은 그 위치가 잘못 표시 된것 같다.
* 인터넷상에서 퍼온 글.
'🤍 濟州道 > 濟州의 오름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형제 큰오름 (1,142.5m) / 한라산 서부 / 애월읍 광령리 (0) | 2022.03.29 |
---|---|
어승생 ( 1,169m/ 350m) / 한라산 북부 / 제주시 해안동 (0) | 2022.03.29 |
성널 (1,215m) / 한라산 동부 / 남원읍 한남리 (0) | 2022.03.29 |
왕 (1,223m) / 한라산 서부 / 서귀포시 중문동 (0) | 2022.03.29 |
돌 (1,278.5m / 54m) / 한라산 동부 / 제주시 월평동 (0) | 2022.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