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pot of Jeju azbang

제주아즈방의 이런 저런 여러가지 관심사 창고

🤍 其 他/연주 현씨 .

'연주현씨 찬가(延州玄氏讚歌)'

아즈방 2023. 4. 3. 10:16

 

평안도 약산동대 연주성에서 ...


* '연주현씨 찬가' 창작배경.
- 이 노래 '연주현씨찬가'는, 올해(2023년)로 창립 70주년을 맞는 연주현씨대종회(회장 현경대)의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었음.
  악보의 원곡은 본래 현제명 선생님이 작곡한'조선의 노래'이고, 
  가사는 현행복님이 개사하여 새로 덧붙여 만듦.

- 이 노랫말의 기본 구성은 우리 가문의 시조이신 고려대장군 諱 覃胤(담윤)公의 구국정신과 빛난

  위업의 전통을 그 배경으로 삼고있음.
  아울러 玄씨 성을 지닌 모든 이들에게 자긍심을 고취 시키며,
  명가의 혈통을 이어나갈 역량의 함량과 친족간 친목을 돈독히 함을 주요 내용으로 함.

- 가사의 내용 중에는 우리의 성씨 玄이란 글자의 본뜻인 '가믈토다'란 의미를 특별히 주목하게 만듦.
  이는 바로 "老子道德經(노자도덕경)"  '제1장'에서,
  "玄之又玄 衆妙之門(현지우현 중묘지문)

   - 가믈코 가믈토다! 뭇 오묘함이 모두 그 문에서 나온다"라고 함과,
  천자문(千字文)의 서두에서 "天地玄黃 - 하늘은 가믈코 땅은 누르다"라고 함을 새삼 상기시키는

  효과를 지님.

- 이 노래 악보상의 조성은 사장조(G Major)이지만,

  실제 가창시에는 바장조(F Major)로 낮춰 노래해도 무방함.

- 박자표가  '4/4'로서 행진곡풍에 해당하기에 그 노랫말의 의미를 생각하며 활기가 넘치고 장엄하게

  부르기에 적합함.

- 악보상의 기보가 혼성4부(소프라노, 앨토, 테너, 베이스)로 편성된 형태로 되었기에 합창 악보로도

  그 활용이 가능함.

- 이 노래 끝부분 가사 중 '현무둔재(玄無鈍才)'는 "현씨는 우둔한 사람이 없다"는 뜻으로서,
  이는 현재 대전의 뿌리공원 내에 세워진 <연주현씨조형물>에 새겨 전하는 내용이기도 함.

 * 글 : 현행복

'🤍 其 他 > 연주 현씨 .' 카테고리의 다른 글

始祖 覃胤  (0) 2021.1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