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이 제철]
도루묵, 알알이 톡톡… 도로 ‘은어’라 부를까
도루묵
목어(木魚), 은어(銀魚), 환목어(還木魚), 환맥어(還麥魚), 도로목어(都路木魚),
도로묵, 도루무기, 돌목어.
몸길이가 보통 20cm쯤 나가는 바닷물고기이다.
몸은 심하게 옆으로 편평한데 몸의 앞쪽은 높고 뒤로 갈수로 점차 낮아진다.
주둥이와 눈이 크며 비늘이 없다.
등은 황갈색 바탕에 흑갈색 무늬가 산재하며 배는 은백색이다.
수심 100-400m의 모래지역에 서식하며 주로 무척추동물을 먹는다.
수심이 얕은 지역의 해초류 군락에서 11-12월에 산란한다.
동해 중부 이북에 서식한다.
일본 북부, 캄차카 반도 해역, 사할린 및 알래스카에 분포한다.
주로 구이와 찌개로 이용하는데 겨울철에 맛이 좋다.
도루묵이, 도루맥이, 은어 등으로도 부른다.
크기가 작지만 매우 맛이 좋은 생선이다.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 물치항에서는 매년 12월 초에 도루묵 축제를 연다.
도루묵의 어원은 조선 선조 임금 대에서 기원한다고 한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선조 임금은 피란을 가게 되었다.
피란지에서 먹거리가 없자 한 어부가 동네 앞바다에서 잡은 ‘묵’이라는 물고기를
임금께 바쳤다.
선조 임금은 이 물고기를 아주 맛있게 먹고 그 이름을 물어보았다.
‘묵’이라고 하자 그 이름이 좋지 않다고 하며 즉석에서 ‘은어(銀魚)’라는 이름을 하사
하였다.
전쟁이 끝나고 환궁한 뒤 피란지에서 맛보았던 ‘은어’가 생각나서 다시 먹어보았더니,
옛날의 그 맛이 아니었다.
그래서 선조 임금은 “에이, 도로(다시) 묵이라 불러라”라고 하셨다.
이로부터 ‘도로묵’이라는 새로운 이름이 생겨난 것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것은 잘못된 표현으로 알려져 있고,
함남 지방 방언인 돌묵어에서 도루묵의 이름이 기원한것으로 생각된다.
******************************
통통하게 살찐 도루묵구이는 별미다.
얼큰한 도루묵조림과 찌개는 밥 한 공기를 뚝딱 비우게 만드는 밥도둑이고,
막걸리에 소주를 부르는 술도둑이다.
게다가 겨울철 동해안 바닷가에서 먹으면 맛에다 낭만까지 더해진다.
강원도 바닷가 출신이라면 다른 곳에서는 좀처럼 맛보기 힘든 도루묵회에,
도루묵깍두기, 도루묵식해까지 곁들여 향수를 맛볼 수도 있다.
따지고 보니 도루묵이 그렇게까지 형편없는 생선은 아니다.
사람 따라 입맛이야 제각각 다르겠지만 ‘말짱 도루묵’이라는 말을 들을 정도로 맛없는
물고기가 아니다.
나름 특별한 맛과 멋이 있다.
11, 12월 동해안에서 주로 잡히는 도루묵은 겨울철 별미다.
찌개나 조림으로 인기가 많지만 소금만 술술 뿌려 구워 먹어도 일품이다.
입안에서 톡톡 터지는 알의 신선함과 비린 맛 없는 고소한 육질.
제철 맞은 도루묵이 초겨울 식탁의 별미로 인기를 끄는 이유다.
비늘이 없는 도루묵은 담백하면서도 쫀득하게 씹히는 맛이 일품이다.
특히 알이 가득 차는 11, 12월이 가장 맛이 좋을 때로 꼽힌다.
도루묵은 이름 때문에 손해를 많이 본 생선이다.
널리 알려진 이야기처럼 조선 선조가 피란 때 ‘묵’이라는 생선을 먹어 보고,
무척 맛이 좋아 ‘은어’라고 이름 붙였다.
전쟁이 끝나 환궁한 뒤 그 맛이 생각나 다시 먹어보니 예전과 맛이 달랐다.
임금이 “은어 대신 도로 묵이라고 부르라”고 명을 내린 이후 지금의 이름을 얻게
됐다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이 때문에 ‘말짱 도루묵’은 헛수고를 속되게 이르는 관용구가 돼 버렸다.
그러나 맛에 있어서는 ‘겨울 별미’로 꼽히는 데 손색없다.
○ 알 가득 찬 암컷 최고의 별미
도루묵찌개
동해안 항·포구마다 갓 잡아 올린 도루묵을 그물에서 떼어내 손질하는 아낙네들의
손길이 분주하다.
어판장 곳곳에는 아예 연탄불을 피워놓고 소금 뿌린 도루묵을 구워 먹는 풍경도
쉽게 눈에 띈다.
도루묵은 찌개나 조림으로 인기가 높지만,
굵은 소금을 뿌려 석쇠에 굽는 맛도 일품이다.
다른 도루묵 요리에 비해 구이는 원재료의 차이를 확연히 느낄 수 있다.
특히 산란을 앞두고 알이 가득 찬 암컷은 최고의 별미로 인정받는다.
이 시기의 도루묵은 살이 오를 대로 오른 데다 담백하고 고소한 맛이 여느 고급
생선 못지않다.
예전에는 도루묵 요리법이 훨씬 다양했다.
구이와 조림, 찌개 외에 회를 떴고 식해도 담갔다.
꼬들꼬들 씹히는 식감이 뛰어나 뼈째 썰어 먹는 세꼬시로도 인기가 높았다.
또 토막 친 도루묵을 무와 버무려 깍두기를 담그고 김장 때 대구나 동태 대신
도루묵을 넣기도 했다.
○ 강태공 쉴 새 없이 짜릿한 손맛
동해안 연안에는 산란을 위해 몰려든 도루묵 떼로 인해 ‘물 반, 고기 반’이란 말을
실감할 정도다.
주문진, 속초, 양양 수산항 등 강원도내 주요 항구 방파제에는 강태공이 몰려들어
도루묵 낚시로 쉴 새 없이 손맛을 즐긴다.
도루묵은 미끼를 쓰지 않는 일명 ‘훌치기’로 잡는다.
도루묵이 워낙 많다 보니 낚싯줄에 바늘을 여러 개 달면 한번에 2, 3마리가 달려
올라오기 예사다.
'🤍 歲月은 지금 > 12 월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제도 겨울 별미 대구(大口) (2) | 2024.12.02 |
---|---|
동해안의 겨울철 별미 - 강원도 양미리(까나리) (0) | 2024.12.02 |
수필 - '네가 과메기로구나' / 김인호 (2) | 2024.12.02 |
[지금이 제철] 포항 구룡포 과메기 (0) | 2024.12.02 |
[지금이 제철] 방어, 찬바람 불면 돌아오는 탱탱한 너 (3) | 2024.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