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 어
코로 터져 나오는 냄새와 눈물에도 끊을수 없는 맛 !
푹 삭힌 홍어에 한번 맛들이면 어떤 음식을 먹어도 만족감을 느끼지 못할 정도.
홍어는 생김새와 맛, 먹는 방법 등이 일반적인 물고기와 많이 다른데다,
생식방법 또한 특이해서, 예부터 사람들의 입에 많이 오르내린 물고기 중 하나이다.
몸길이 150㎝까지 자라는 홍어는,
입이 뾰족하고 머리 앞부분의 각도가 약 90도이며,
꼬리 등쪽에는 3줄(수컷) 또는 5줄(암컷)의 가시가 있다.
배는 희고 등에는 갈색의 옅은 반점이 많으며,
중앙 부근에 검은색의 눈 모양 반점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홍어에 대해 가장 먼저 떠올리는 것이 코끝을 톡 쏘는 맛과,
'만만한 게 홍어 거시기'라는 속담이다.
홍어 등 가오리류는 삼투압조절에 필요한 요소(urea)와,
TMAO라는 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데,
홍어를 발효시키면 요소는 우레아제(urease)에 의해 암모니아로 변하는데,
이 물질이 코끝을 톡 쏘는 맛을 낸다.
바로 이 톡 쏘는 맛이 홍어요리의 매력인데,
홍어 요리의 진수로 꼽히는 것이 홍탁삼합(洪濁三合)이다.
잘 익은 김치에다 푹 삭힌 홍어와, 비게살이 붙은 돼지고기를 얹어,
새우젓과 함께 보쌈처럼 먹으면,
알싸하고 지릿한 냄새가 입안에서 코로 터져 나오면서 눈물이 솟는다.
이 때 막걸리 한 사발을 들이키면 속이 후련해지는데,
술꾼들에게는 최상의 안주로 꼽힌다고 한다.
발효 음식은 한번 맛을 들이면 도저히 끊지 못하게 하는 특성이 있다.
우리의 김치, 된장, 젓갈이 그렇고, 서양인의 치즈와 요구르트도 그렇다.
푹 삭힌 홍어에 한번 맛들이면 어떤 음식을 먹어도 만족감을 느끼지 못할 정도다.
그래서인지 전남 서남해안 지방에선 잔치나 울력이 벌어지면,
반드시 삭힌 홍어를 올렸고, 홍어가 빠진 잔치는 아무리 잘차렸어도 먹을 것이 없는
잔치라며 허전해 했다.
일부일처제로 생활하는 홍어는 암컷이 수컷보다 몸집이 크고 맛도 뛰어나다.
따라서 수컷은 암컷보다 가격에서도 큰 차이가 난다.
수컷은 교미 때 2개의 대롱모양 생식기를 통해 정액을 암컷의 몸속에 집어넣는다.
수컷의 생식기는 몸밖으로 툭 튀어나와 있고 가시가 붙어 있어서,
뱃사람들은 이 생식기가 조업에 방해가 될 뿐 아니라, 손을 다칠 수도 있는데다,
아무런 쓸모가 없어, 잡으면 가장 먼저 생식기를 칼로 쳐 없애 버린다.
이런 조업형태로 인해 홍어 생식기를 '만만한 사람'에 빗대 말한 게,
'만만한게 홍어 거시기'라는 속담이 된 것이다.
홍어는 특이한 생선인 탓에 우리 조상들도 홍어에 관한 기록을 많이 남겼다.
정약전의 '자산어보'에는,
"회로 먹거나 국을 끓이거나 포를 뜨기도 한다.
나주 가까운 고을에 사는 사람들은 썩힌 홍어를 즐겨 먹는데,
지방에 따라 기호가 다르다" 는 기록이 나오는데,
이는 홍어가 오래 전부터 고유한 토속음식으로 자리 잡았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정약전과 옛날 사람들은 또 홍어를 음란함의 상징으로 기록했는데,
"두개의 날개에는 가느다란 가시가 있는데 그 가시를 박고 교미를 한다.
암컷이 낚시바늘을 물고 발버둥칠 때 수컷이 이에 붙어서 교미를 하게 되면,
암수 다 같이 끌려오는 경우가 있다.
암컷은 낚시에 걸려 죽고 수컷은 간음 때문에 죽는데,
이는 음(淫)을 탐하는 자의 본보기다" 고 적었다.
'본초강목'에는 '태양어(邰陽魚)'라 하고,
모양이 연잎을 닮았다하여 '하어(荷魚)'라고도 하였으며,
생식이 괴이하다 하여 '해음어(海淫魚)'라고도 하였다.
홍어 꼬리의 마디마디에는 독이 있는데,
한방에서는 여자들의 뼈마디가 아프고 그 마디에서 소리가 나는 경우에,
6개월에서 1년 정도 복용하면 대개의 경우 완치된다고 하는데,
신경통이나 류마티즘, 산후풍증에 지네를 먹는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홍어 꼬리의 독에 관한 기록은 희랍신화에도 나온다.
마녀 키르케는 자기 눈앞에서 사랑의 작태를 하는 남자가 있으면,
홍어 꼬리로 찔러 독살했다고 하며,
이익의 '성호사설'에도 "홍어꼬리를 나무에 꽂아두면 그 나무가 절로 시든다"고
적었다.
홍어는 연골어류인 만큼 뼈가 연해서 버릴 것이 하나도 없는데,
이른 봄 보리 싹과 함께 홍어 내장을 넣어 끓인 '홍어 앳국'은,
코끝을 쏘는 매운 맛과, 시원한 국물 맛이 일품인 남도의 별미로 꼽힌다.
홍어는 겨울에서 이른봄의 산란기가 제철이다.
*****************************
[김화성의 음식강산]
코 쥐고 맴맴...
흑산홍어 그 징헌 덧정 !
음력 동짓달 스무나흘.
뒷산 자락 마른 억새가 서걱서걱 뭉툭하게 운다.
눈 덮인 들판, 연둣빛 보리 싹이 파르르 떤다.
저 여리디여린 순이 어떻게 언 땅을 뚫고 나왔을까.
어찌 칼바람을 온몸으로 견딜까.
가시덤불의 오목눈이는 눈밭에서 낟알 한 톨이라도 찾아내 쪼았을까.
한뎃잠 멧돼지는 꽁꽁 얼어붙은 생흙에서 썩은 풀뿌리라도 한 줌 캐어 먹었을까.
함박눈이 목화솜처럼 펑펑 내리는 날.
창밖은 아슴아슴 까무룩하고, 머릿속은 우두망찰 아득하다.
어디 문밖을 나서도 적막강산 갈 곳이 없다.
그저 ‘코는 곤두서고 아랫도리가 아∼릿할’ 뿐.
그렇다. 문혜진 시인이 용감무쌍 마침맞게 노래한다.
씻어도
씻어내도
돌아서면 밥 냄새처럼 피어오르는 가랑이 냄새
먹어도 먹어도
허기지는 밤
붉어진 눈으로
홍어를 씹는다.
겨울 바닷물에 차지고 꼬들꼬들해진 살덩이!
‘온 우주를 빨아들일 듯한 차안(此岸)의 냄새!’
뜨끈뜨끈 두엄 속 같은 골방 아랫목에서,
‘햐아! 코를 쥐고 맴맴’ 먹는 홍어살점의 징한 맛!
홍어는 누가 뭐래도 겨울 찰기가 으뜸이다.
홍어는 9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가 산란기.
흑산도 부근에서 겨울을 나며 알을 낳는다.
산란기엔 살이 꽉 찬다.
살점이 입에 쩍쩍 달라붙는다.
홍어는 단연 반질반질 끈적끈적 코가 압권이다.
오죽하면 홍어코를 먹어보지 못한 사람은 홍어 맛을 논하지 말라고 했을까.
홍어코를 소금장에 찍어 한입 넣으면 ‘쎄에∼’한 맛에 후욱 숨이 막힌다.
한순간 등골이 쭈뼛! 온몸이 오그라지고 자지러진다.
송곳으로 찌르는 듯한 강렬한 맛이 혓바닥에서 코를 타고 올라와,
금세 눈물을 질금질금 자아내게 한다.
정수리가 시큰하고 코끝이 찡하다.
졸지에 막힌 콧속까지도 덩달아 뻥 뚫린다.
초짜들은 고개를 절레절레 손사래를 치며 달아난다.
홍어 날개나 꼬리는 오돌오돌 씹는 맛이 그만이다.
‘오도독∼’ 입안에서 터지는 리드미컬한 소리가,
손가락으로 뽁뽁이 공기방울 터뜨리는 것만큼이나 야릇하다.
중국요리 샤크스핀은 비할 바가 못 된다.
겨울엔 홍어보리앳국이 제격이다.
된장 육수에 홍어애(내장)와 여린 보리 싹을 넣어 끓인다.
양념으로는 멸치, 다진 마늘, 파, 고춧가루, 다시마 등을 넣는다.
다 끓으면 마지막에 참기름 한 방울 또옥∼ 떨어뜨린다.
톡 쏘는 알싸한 맛과 구뜰하고 시원한 국물, 보리싹의 은은한 풋것 냄새가
기가 막히다.
온몸이 후끈후끈 땀이 주르륵 흐른다.
요즘 홍어회 살점은 인절미를 씹는 듯 차지고 쫄깃쫄깃하다.
뼈째 썰어 먹는 그 맛은 씹을수록 깊고 은근하다.
새록새록 단맛에 상큼한 맛이 향기롭다.
묵은지, 그리고 설겅설겅 썬 돼지고기와 함께 먹는 삼합이야 더 말해 무엇하랴.
어휴! 그 찝찔하고 시크무레하고 배리착지근하면서도,
대책 없이 잉잉 입안에 ‘달싹 앵기는’ 오묘한 맛과 냄새!
두엄 속에 삭힌 홍어와 해묵은 배추김치
그리고 돼지고기 편육
여기에 탁배기 한잔을 곁들면
홍탁
이른 봄 무논에 물 넘듯
어, 칼칼한 황새 목에 술 들어가네.
아그들아, 술 체엔 약도 없단다
거, 조심들 하거라 잉!
(송수권의 ‘홍탁-목포삼합’에서)
막걸리는 홍어 맛을 늘 새롭게 해준다.
입안을 말끔하게 헹궈 준다.
이 덕분에 아무리 홍어를 먹어도 ‘처음처럼’ 톡 쏘는 맛을 느낄 수 있다.
홍어는 껍질에 끈적끈적한 액체가 많이 묻어 있을수록 신선하다.
물로 씻어 내는 것은 절대 금물.
보통 수건이나 천으로 닦아 낸다.
그래야 비린내가 없고 살이 고들고들하다.
흑산도 홍어는 황해바다처럼 등과 배에 누런 황토색이 있다.
요즘은 아예 바코드를 심는다.
경매가 기준 8kg 암컷 한 마리에 40만 원이 훌쩍 넘는다.
칠레, 아르헨티나, 포클랜드, 미국, 뉴질랜드 등 외국산은 등이 검고 배가 희다.
홍어는 잘 삭을수록 깊은 맛이 난다.
보통 항아리에 넣어 보름쯤 삭힌다.
잘못 삭히면 ‘물홍어’가 된다.
살이 푸석하고 향이 거의 없다.
홍어는 ‘선 고운 연잎 닮은’ 암컷이 맛있다.
살이 쫀득쫀득하다.
수컷은 살이 푸석하고 뼈가 뻣세다.
당연히 암컷이 비싸다.
일부에선 아예 수컷 거시기를 없애 버린다.
수컷 생식기는 긴 대롱처럼 한 마리에 두 개씩이나 달려 있다.
썰어 놓으면 좋이 안주가 한 접시다.
가도 가도 서럽고 막막한 날.
적막한 겨울 숲에 눈이 오는가.
함박눈 쏟아져 내리는가.
장하구나! 뼈만 남은 겨울나무.
거짓 없어 참나무.
이리저리 주목나무.
다리허리 등나무.
‘앓는 짐승이/ 필사적으로 / 서있는 하루’(고은 시인)
저릿한 홍어 냄새가 켜켜이 심장에 꽃눈 틔우며
조곤조곤 저미어 온다.
글쓴이 ; 김화성 / 전문기자
● 출처 : 동아일보 2015.01.14 / http://news.donga.com/3/all/20150113/69073252/1
'🤍 歲月은 지금 > 12 월 .' 카테고리의 다른 글
詩 - '父母' / 素月 (0) | 2024.12.02 |
---|---|
거제도 겨울 별미 대구(大口) (2) | 2024.12.02 |
동해안의 겨울철 별미 - 강원도 양미리(까나리) (0) | 2024.12.02 |
[지금이 제철] 강원도 주문진 도루묵 (1) | 2024.12.02 |
수필 - '네가 과메기로구나' / 김인호 (2) | 2024.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