穀 雨
양력 4월 20일 무렵
4절기의 여섯 번째 절기.
穀雨는 淸明과 立夏 사이에 있으며,
음력 3월 중순경으로, 양력 4월 20일 무렵에 해당한다.
곡우의 의미는 봄비[雨]가 내려 백곡[穀]을 기름지게 한다는 뜻이다.
곡우무렵이면 못자리를 마련하는 것부터 해서 본격적으로 농사철이 시작된다.
그래서,
“곡우에 모든 곡물들이 잠을 깬다.”,
“곡우에 가물면 땅이 석자가 마른다.”,
“곡우에 비가 오면 농사에 좋지 않다.”,
“곡우가 넘어야 조기가 운다.” 같은 농사와 관련한 다양한 속담이 전한다.
곡우가 되면 농사에 가장 중요한 볍씨를 담근다.
한편 볍씨를 담아두었던 가마니는 솔가지로 덮어둔다.
이때 초상집에 가거나 부정한 일을 당하거나 부정한 것을 본 사람은 집 앞에 불을
놓아 그 위를 건너게 하여 악귀를 몰아낸 다음 집 안에 들이고,
집 안에 들어와서도 볍씨를 보지 않게 한다.
만일 부정한 사람이 볍씨를 보거나 만지게 되면 싹이 잘 트지 않아 그 해 농사를
망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경기도 평창에서는 곡우날 巳時에 볍씨를 담그면 볍씨가 떠내려간다고 하여
사시를 피해 볍씨를 담근다.
볍씨를 담그면 항아리에 금줄을 쳐놓고 고사를 올린다.
이는 개구리나 새가 와서 모판을 망칠 우려가 있으므로,
볍씨 담근 날 밤에 밥을 해놓고 간단히 고사를 올리는 것.
전북 익산에서는 곡우 때 씨나락을 담고 솔가지로 덮어놓는다.
초상집이라든가 궂은 일이 생긴 집에 다녀오면 문 밖에서 귀신이 도망가라고 불을
놓고 들어온다.
충남 보령에서는 곡우낙종이라 하여 곡우에 볍씨를 논에 뿌렸다고 한다.
볍씨를 담은 가마니에는 물을 줄 때 한꺼번에 떨어지지 않게 볍씨 위에 솔가지를
덮어두었으나 물뿌리개가 생긴 뒤에는 솔가지가 필요 없어 올리지 않는다.
곡우 무렵에는 흑산도 근처에서 겨울을 보낸 조기가 북상해서,
충남의 격열비열도(格列飛列島)까지 올라오므로, 황해에서 조기가 많이 잡힌다.
이때 잡힌 조기를 곡우사리라고 한다.
이 조기는 아직 살은 적지만 연하고 맛이 있어 서해는 물론 남해의 어선들도 모여든다.
전남 영광에서는 한식사리, 입하사리 때보다 곡우사리 때에 잡히는 조기가 알이
많이 들어 있고 맛이 좋다.
그래서 곡우사리 조기를 가장 으뜸으로 친다.
북한에서는 이 무렵이면 용흥강으로 숭어떼가 올라온다.
살진 숭어 같은 물고기들이 산란기가 되어 올라오는데,
강변에 모인 사람들은 어부가 잡은 생선으로 회(膾)나 찌개를 만들어 술을 마시며
하루를 즐긴다.
이때 강변 사람들은 물고기가 오르는 조만(早晩)을 보고 그 해 절기의 이르고 늦은
것을 예측하기도 한다.
경북 지역에서는 이날 부정한 것을 보지 않고,
대문에 들어가기 전에 불을 놓아 잡귀를 몰아낸 다음에 들어간다.
그리고 이날은 부부가 함께 자는 것을 꺼리는데, 이는 부부가 잠자리를 하면 土神이
질투하여 쭉정이 농사를 짓게 만든다고 믿기 때문이다.
곡우에 무명을 갈거나 물을 맞기도 하는데,
이날 물을 맞으면 여름철에 더위를 모르며 신경통이 낫는다고 한다.
경기도 김포에서는 곡우 때 나물을 장만해서 먹으면 좋다고 하는데,
곡우가 지나면 나물이 뻣뻣해지기 때문이다.
또 경북 구미에서는 곡우날 목화씨를 뿌리며,
파종하는 종자의 명이 질기라고 찰밥을 해서 먹는다.
그리고 새를 쫓는다고 동네 아이들이 몰려다니기도 한다.
곡우 무렵은 나무에 물이 많이 오르는 시기로 곡우물을 먹으러 가는 풍습도 있다.
곡우물은 자작나무나 박달나무 수액(樹液)으로 거자수라고도 하는데,
위장병이나 신경통에 효험이 있다고 한다.
경남 남해에서는 이날 바람이 불고 비가 오면 그 해 시절이 좋지 않다고 한다.
인천 옹진에서는 이날 비가 오면 샘구멍이 막힌다고 하는데,
이는 가뭄이 든다는 말이다.
경기도 포천에서는 곡우에 비가 많이 오면 그 해 농사가 좋고,
비가 적게 오면 가물어서 흉년이 든다고 하며,
전북 순창에서도 곡우에 비가 오면 농사에 좋지 않다고 여긴다.
이런 날씨점을 통해서도 풍년을 기원하는 소박한 농부의 마음을 읽을 수 있다.
곡식에 필요한 비가 내린다는 곡우는 과거에는 농사에 가장 중요한 절기중의 하나
였다.
왜냐하면 곡우때 못자리를 하기 때문이다.
농사 중의 농사인 벼농사의 파종이 있는 날이므로 죄인도 잡아가지 않을 정도였다.
나라에선 농민들에게 곡우임을 알려 볍씨를 내어주며 못자리를 권장하는 행사로
법석을 떨었다.
음력 삼월은 강풍으로 인해 비닐하우스가 날아가는 피해를 입기도 하고,
고온건조한 '높새바람'이 불어 농작물에 막대한 해를 입히기도 한다.
그래서 농가에서는 "산내린 바람(높새바람) 맞으면 잔디 끝도 마른다."고 바짝 긴장
했다.
또 황사가 날아와 산천을 온통 누런 먼지로 뒤덮기도 한다.
이월 말에서 시작된 농사일이 삼월이 되면 본격적으로 진행된다.
이는 각 농작물의 파종기가 삼월에 집중되어 있는 것만 보아도 알 수 있다.
볍씨 소독, 못자리 만들기, 고구마 싹 틔우기,
시금치ㆍ배추ㆍ열무 등 봄채소 파종,
호박ㆍ고추ㆍ조 파종, 봄보리 갈기(파종), 겨울보리 아시ㆍ두벌 김매기,
감자 심기, 마늘 웃거름 주기 등이다.
일년중 날씨가 가장 변덕스러운 때이므로 농가에선 늦서리의 피해를 당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청명ㆍ곡우가 낀 음력 삼월은 황사가 많은 계절이다.
몽골건조지대와 중국 황하지방에서 불어오는 황사는 한반도 곳곳에 엄청난 피해를
입힌다.
황사가 끼면 하늘이 누런 먼지로 뒤덮이고 가시거리가 짧아진다.
햇볕을 가려 농작물의 자람을 방해하고 각종 기관지염과 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누런 모래먼지가 만 길까지 뻗쳐 있다 하여 "黃砂萬丈"이라 부르는 황사는,
비가 내리면 누런색을 띤다하여 '黃雨'라 하기도 한다.
인간에게 별 이로움 없이 해만 끼치기로 악명 높은 황사,
그러나 황사가 농작물에 좋은 역할을 할때도 있다.
예부터 적조방제나 물고기의 질병치료를 위해 황토를 사용했듯이,
황사는 호수의 산성화를 막는 중화제 역할을 한다.
또 토양의 산성화를 막고 식물성장의 촉진제 역할도 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사에는 식물의 영양분인 칼슘, 마그네슘이 평소 대기보다 높게 포함돼 있어
식물성장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차는 흔히 곡우 전에 나오는 우전차를 으뜸으로 친다.
곡우 전에 딴 새 찻잎을 덖어 만든 첫물차(雨前茶)의 맛과 향, 색을 최고로 친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우전차가 제일 맛좋은 차는 아니라고 말한다.
단지 맨처음 나오기 때문에 귀하고 비쌀 뿐이라는 것.
차 전문가인 여연스님은 5월초 입하 무렵에 나오는 차를 으뜸으로 여긴다.
청나라 ‘다경채오’에 우전차가 가장 좋다고 했지만,
우리와는 기후와 풍토가 다르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는 것.
따라서 차를 처음 시작하는 사람들은 굳이 비싼 돈을 주고 우전, 세작을 고르기보다
중작을 택하는 것이 좋다.
차의 종류로는 크게 덖음차(녹차), 발효차(우롱차), 반발효차(홍차)가 있다.
우리의 차는 볶아서 만드는 덖음차. 찻잎은 두쪽으로 갈라져 있다.
작설차란 이름은 참새의 혀 모양으로 갈라진 생김새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설록차란 눈밭에서 자란 녹차,
죽로차란 대나무숲에서 이슬을 받았다는 것으로 차의 상품명이다.
차는 너무 뜨겁게 마시지 않는 것이 좋다.
60∼70도 정도의 따뜻한 물에 타서 마신다.
너무 뜨거우면 쓴 맛을 내는 탄닌이 나와 차맛을 해친다.
다 마시고 난 뒤에도 이파리가 파란색 그대로 남아있는 것이 좋은 차다.
겨울을 지내고 가장 먼저딴 첫잎으로 우려낸 우전차.
순하면서도 끝맛이 달고 구수한 풍미가 있다.
동백이 다 지고 찻잎이 기를 피니 우전차가 눈 속 꽃을 인하여 이었도다.
봄 오자 바다위엔 생선회가 풍족하여 술자리가 육식하는 집과 진배없구나
-다산 정약용-
'🤍 歲月은 지금 > 4 월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화로 보는 4·19혁명 (1) | 2025.04.19 |
---|---|
19일 - 4·19 혁명 기념일 (0) | 2025.04.19 |
詩 - '4월에 내리는 눈' / 안도현 (0) | 2025.04.14 |
가요 - '십리벚꽃길' (0) | 2025.04.13 |
詩 - '봄 길'/ 정호승 (0) | 2025.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