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춘순례 서(尋春巡禮 序) / 최남선
우리의 국토는 그대로 우리의 역사이며, 철학이며, 시이며, 정신입니다.
문학 아닌 채 가장 명료하고 정확하고, 또 재미있는 기록입니다.
우리 마음의 그림자와 생활의 자취는 고스란히 똑똑히 이 국토 위에 박혀서 어떠한 風雨라도 마멸시키지 못한다는 것을
나는 믿습니다.
나는 우리 역사의 한 작은 학도요, 우리 정신의 한 어설픈 탐구자로서,
진실로 남다른 애모와 탄미와 함께 무한한 궁금스러움을 이 산하대지에 가지는 것입니다.
자갯돌 하나와 마른나무 한 밑동도 말할 수 없는 감격과 흥미와 또 연상을 자아냅니다.
이것을 조금씩 색독이나마 하게 된 뒤부터 우리 나라가 위대한 시의 나라, 철학의 나라임을 알게 되고,
또 완전, 상세한 실물적 오랜 역사의 소유자임을 깨닫게 되고,
그리하여 쳐다볼수록 거룩한 우리 정신의 불기둥에 약한 視膜이 퍽 많이 아득해졌습니다.
곰팡내 나는 서적만이 이미 내 지견의 웅덩이가 아니며 한 조각 책상만이 내 마음의 밭일 수는 없게 되었습니다.
도리어 서적과 책상에서 불구가 된 내 소견을 진여한 상태로 있는 活文字, 大軌案에서 교정받고 補養을 얻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을
통절히 느꼈습니다.
묵은 심신을 시원히 벗어 던지고, 자유로운 공기를 국토 여래의 常寂土에서 호흡하리라 하는 열망은 시시각각으로 나의 가슴을
태웠습니다.
힘 자라는 대로, 시간이 허락되는 대로 국토 예찬을 근수하기는, 나로서는 진실로 숭고한 종교적 충동에 끌린 바로서,
不得不然한 일입니다.
무엇보다도 큰 재와 힘을 여기서 얻었고, 얻고, 얻을 것이니,
생활의 긴장미로만 해도 나의 이 수행은 오래도록 계속 되리라고 생각합니다.
우리 국토에 대한 나의 신앙은 일종의 애니미즘일지도 모릅니다.
나의 보는 그것은 분명히 감정이 있으며 웃음으로 나를 대합니다.
이르는 곳마다 꿀 같은 속삭임과 은근한 이야기와 느꺼운 하소연을 듣습니다.
그럴 때마다 나의 심장은 최고조의 출렁거림을 일으키고 실신할 지경까지 들어가기도 한두 번이 아니었습니다.
그런 때의 나는 분명한 한 예지자의 몸이요, 일대 시인의 마음을 가지지만,
입으로 그대로 옮기지 못하고 운율 있는 문자로 그대로 재현치 못할 때, 나는 의연한 일범부며, 一撲訥漢(일복눌한)이었습니다.
그러나 나는 이것을 섭섭히 생각하지 않습니다.
왜 그러냐 하면, 나의 작은 재주는 저 큰 韻意를 뒤슬러 놓기에는 너무도 懸隔(현격)스러운 것이니까,
워낙 애닯고 서운해 할 염치가 없는 까닭입니다.
그러나, 혹은 유적, 혹은 전설에 내일을 기다리기 어려운 것도 있고, 혹은 자연의 신광, 혹은 역사의 密意에 모르는 체할 수 없어서,
변변치 않은 대로, 간 곳마다 見聞考檢의 一斑을 기록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이는 진실로 문장으로 보거나 논고로 볼 것이 아니요,
또 천 년의 숨은 자취를 헤쳤거나 만인의 심금을 울릴 무엇이 있는 것도 아니지만,
그런대로 우리 국토에 대한 뜨거운 마음이 넘쳐 나온 것이니, 내게는 휴지로 버리기 어려운 점도 없지 아니합니다.
이러므로, 다만 한 가지 또 어슴푸레하게라도, 우리 정신의 숨었던 일면이 나타난다면 물론 분외의 다행입니다.
그렇진 못할지라도, 우리 靑氈舊物(청전구물)에 대한 나의 애처롭고 안타까운 情理를 담은 것이 혹시나 강호의 동정을 산다면,
이 또한 큰 소득입니다.
아무튼 우리 국토의 큰 정신을 노래해 내는 이의 어릿광대로 작은 끄적거림을 차차 책을 모아 갈까 합니다.
이제 그 첫 권으로 내는 '尋春巡禮 '는, 작년 삼월하순부터 首尾 50여 일간, 지리산을 중심으로 한 순례기의 전반을 이루는 것이니,
마한 내지 백제인의 정신적 지주였던 神岳의 餘薰을 더듬은 것이요,
장차 해변을 끼고 내려가는 부분을 합하여 서한의 기록을 완성하는 것입니다.
진인의 고신앙은 天의 표상이라 하여 산악으로써 그 대상을 삼았으며, 또 그들의 靈場은 뒤에 대개 불교에 전승되니,
이 글이 산악 예찬, 불도량 역참의 觀을 주는 것은 이 까닭입니다.
적을 것도 많고 적을 방법도 있겠지만,
매일 적잖은 山程을 跋涉하고 가쁜 몸이 침침한 촛불과 대하여 적는데는 이것도 큰 노력이었습니다.
選材와 行文이 다 거침을 극한 것은 부재 이외에도 까닭이 없지 아니합니다.
그러나, 고치자니 새로 짓는 편이 도리어 손쉽고, 새로 짓자니 그만 여가가 없으므로,
숙소에서 주필하여 날마다 신문사로 우송하였던 원고를 그대로 배열하게 되었습니다.
厚顔의 꾸지람은 얼마든지 받겠습니다.
行中에 여러 가지 편의를 주신 沿路의 여러 大方家, 특히 각 산의 법승들에게 이 기회에 심대한 사의를 드립니다.
또, 南巡小篇에 다소라도 보람 있는 구절이 있다면, 이는 시종 일관하게 驅策誘掖(구책 유액)의 努를 취해 주신 여러분의 顯敎와
암시에서 나온 것임을 아울러 表白해 둡니다.
常寂土: 부처가 거처하는 곳=국토
一撲訥漢 : 말을 어눌하게 하는 사람
韻意 : 운취와 의취
密意 : 비밀한 뜻
見聞考檢(견문고검) : 보고 듣고 살피어서 안 사실
一斑 : 한 점
靑氈舊物(청전구물) : 대대로 전해오는 물건
情理 : 인정과 도리
靈場 : 신령스러운 곳
跋涉(발섭) : 길을 감
選材 :소재를 선택함
厚顔 : 뻔뻔스러움
驅策誘掖(구책 유액) : 꾸짖고 이끌어 도와줌
顯敎 : 생각하여 헤아림
表白 : 드러내어 말함
尋春巡禮 (기행문)
1925년 3월 하순부터 50여 일에 걸쳐 지리산 주변의 각지를 여행한 기록을 신문에 실었다가,
이듬해 白雲社에서 단행본으로 간행하였다.
모두 33편의 기행문이 실려 있는데,
주요 작품은,
'섬진강을 끼고 지리산으로' '백제의 구강(舊疆)으로' '삼층법당의 금산사' '黃梅의 백양사' '留軍峙 너머 내장산'
'무등산상의 無等等觀' '조선불교의 완성지인 송광사' '비로봉에서 대각암까지' 등이다.
崔南善 (1890~1957)
문화운동가·작가·사학자.
서울 生
아명은 昌興. 자는 公六, 호는 六堂 · 한샘 · 南嶽主人 · 曲橋人· 六堂學人 · 逐閑生 · 大夢 · 白雲香徒.
'🤍 文 學 > 隨筆 .' 카테고리의 다른 글
'風蘭' / 李秉岐 (1891~1968) (0) | 2022.01.24 |
---|---|
'己未獨立宣言書' / 崔南善 (0) | 2022.01.24 |
'차라리 괴물을 취하리라' / 신채호(申采浩. 1880~1936) (0) | 2022.01.24 |
실패자(失敗者)의 신성(神聖) / 申采浩 (0) | 2022.01.24 |
'죽다가 살아난 이야기' / 한용운 (0) | 2022.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