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4. 26. - 민(오라), 남조순, 광이, 상여오름
일시 : '16. 4. 26. 10:00~14:00 / 4 시간
일행 : 4명 / 나, 태진, 영중, 최동민.
오늘 저녁부터 비가 내린다는 일기예보와, 서귀포는 벌써부터 찌푸린 하늘에 내심 불안했지만,
'젊은넘덜'이 '비오민 호썰 맞주마씀' 하는 소리에 그냥 산을 넘었다.
'제주마 방목장'을 지나면서 제주시 위에는 파란하늘이 펼쳐저 있고, 바람도 없다.
민오름, 족은민오름, 民岳(민악), 戊岳(무악), 小禿岳(소독악)
제주시 오라동 산28번지 일대
표고 : 251.7m / 비고 : 117m / 둘레 : 2,968m / 면적 : 474,001㎡ / 저경 : 996m
화구는 서쪽봉우리와 동쪽 봉우리 사이 북동쪽으로 벌어진 말굽형 화구이며,
두 봉우리의 정상부분에는 원형 분화구의 흔적이 남아 있다.
오름 중턱과 정상에는 시민들을 위한 산책로와 야외 체육시설이 설치되어 체육공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전사면에 해송이 주종을 이루고, 정상부 주변은 관중이 소군락을 이루며,
화구 내에는 잡목 등으로 숲을 이루고 있다.
신제주초등학교 서쪽 도지사관사 못미쳐 오름을 오르는 길 외에도 산책로가 여러 곳에 개설되어 있다.
* 예전에는 나무가 없는 풀밭오름이라 하여 민오름이라 불렸다.
*****
남조순, 남짓은오름, 남좃은오름, 木密岳(목밀악), 南朝峰(남조봉)
제주시 연동 산25번지 일대
표고 : 296.7m / 비고 : 167m / 둘레 : 3,072m / 면적 : 637,805㎡ / 저경 : 939m
북서쪽으로 벌어져 내린 말굽형 화구를 이루면서 벌어져 있다.
서남쪽 기슭에는 한라수목원이 자리잡고 있으며, 남사면 기슭자락으로 광이오름, 상여오름(염통뫼)과 줄지어
늘어서 있는 오름 중 가장 규모가 큰 맏형격의 오름이다.
오름 중턱 일부의 자연림을 제외하고는 전 사면에 해송이 주종을 이루면서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다.
해군 방어사령부가 기슭에 위치하여 정상은 출입이 통제된 지역이다.
* 나무가 빽빽히 우거진 데에 연유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남'은 나무, '짓다'는 무성하다는 뜻의 제주방언이다.
「제주삼읍도총지도」와 「제주삼읍전도」에는 목밀악(木密岳)으로 표기되어 있다.
*****
광이오름, 광렬오름, 괭이오름, 光列岳(광열악), 肝列岳(간열악)
제주시 연동 산62번지 일대
표고 : 266.8m / 비고 : 77m / 둘레 : 1,970m / 면적 : 236,701㎡ / 저경 : 668m
등성마루가 평평하고 남동쪽으로 벌어진 말굽형 화구를 이루고 있으며,
오름 남서쪽 기슭에는 '거슨샘이'라는 샘이 있다.
'한라수목원'이 오름 기슭자락에 조성되어 있다.
전 사면에 해송이 잡목과 함께 어우러진 혼재림이다.
한라수목원을 통하여 정상에 오르는 산책로가 잘 꾸며져 있다.
* 지형이 광이(괭이) 모양으로 생겼다는 것인데, 한자명은 가지가지여서 간장의 두 간엽 같은 형상이라 하여
肝列岳이라고 하는가 하면 옛 지도에는 이것이 光列岳 또는 廣列岳으로 표기돼 있다.
*****
상여오름, 염통뫼, 念通岳(염통악)
제주시 연동 산60번지 일대
표고 : 245m / 비고 : 60m / 둘레 : 1,496m / 면적 : 162,799㎡ / 저경 : 488m
광이오름(한라수목원) 남서쪽에 이웃해 있는 자그마한 원추형 오름.
서남쪽 사면은 오름 중턱까지 감귤원이 조성되어 있으며,
정상부는 아담하고 넓다란 풀밭을 이루며 산화경방초소가 있고,
동북쪽 사면은 중턱까지 해송이 조림되어 숲을 이루고 있다.
한라수목원 입구 북쪽으로 신설된 도로에 접한다.
도로 개설로 오름의 남쪽 자락이 잘렸다.
* 상여형국의 지세라 하여 생이오름(생이=상여)이라 하고,
肝列岳(광이오름) 옆에 위치해 있어 광이오름을 간(肝)으로 보면 염통 형국이라 하여 염통뫼라고도 부르고 있다.
1. 산행 날짜 : 2016-04-26
산행 시간 : 09:56:53 ~ 14:01:09
소요 시간 : 04:04:16
2. 총이동 거리 : 9.15 Km
도상거리 : 7.44 Km
평균 속도(휴식포함) : 2.25 Km/시간
평균 속도(휴식제외) : 2.59 Km/시간
3. 고도 : 295 m ~ 135 m (160 m)
4. 오르막 거리 : 4.54 Km
평균 오르막 속도 : 2.46 Km/시간
5. 내리막 거리 : 4.38 Km
평균 내리막 속도 : 2.59 Km/시간
6. 휴식 횟수: 2 회 / 휴식 시간: 00:32:01
09:56 오라 민오름 동쪽 선덕어린이집 부근 기슭에서 출발. (사진 몇장이 안찍혔네 .. 쩝)
10:13. 한라산쪽도 환하게 보이고 ..
10:14.
10:16.
10:19. 민오름의 정상.
10:21. 구제주 시가지가 환하게 내려다 보인다.
10:22. 서남쪽으로 남조순오름도 건너다 보이고 ..
10:26.민오름 정상주 !!

10:41. 태지니는 배가 고프다고 밥까지 .. ^^

10:44.

10:54.

10:58. 민오름의 서족 중간능선의 체육시설.

10:58. 재선충의 피해로 잘려나간, 나이태가 40줄이 넘는 소나무 밑둥.

10:59. 길이 이리저리 어지럽게 나 있다.

11:05어지럽게 나있는 길들도 결국은 서북쪽 기슭의 길목으로 모여든다.

11:13. 구 도지사관사 건너의 민오름산책로 입구로 나왔다.

11:15. 구 도지사관사 정문.

11:15.

11:16. 도지사관사로 쓰이기 이전엔 全통, 물통, 03까지 ?

11:17. 옛날의 권위는 없어지고, 정원에는 소풍나온 어린이들의 놀이터로 변했다.

11:18. 도심속에 푸른 보리밭이라니 !
11:24. 해병대 9여단 (구 해군제주방어사령부) 입구.
11:31. 오른쪽으로 군부대의 벽을 끼고 서쪽으로 뻗은 남조순오름의 둘레길.
11:33. 군부대 담장이 끝나고, 양쪽으로 하늘 높은줄 모르고 쭉쭉 뻗어 올라간 소나무숲길.
11:36. 왼쪽으로 표지판도 없는 갈림길이 나온다. 남조순오름 정상부근에 있다는 군시설물로 오르는 길.
11:37. 50여 m를 오르니 여지없이 통행금지 표지판이 서 있다. 돌아서야지 .. 쩝.
11:42. 다시 산책로로 내려와서 ..
11:50. 한라수목원으로 합쳐진다.
11:51. 남조순오름의 3부정도의 기슭을 끼고 도는, 한라수목원의 외곽 산책길을 따라 ..
11:52. 남조순오름의 서남쪽 기슭.
11:55. 제법 오르막도 있다.
11:58. 늦게 올라오는 막내 영중이에게 한 캇 누르라 하고 ^^.
12:06. 남조순오름의 남쪽 기슭 능선에서 바로 이어지는 광이오름의 북쪽 오름길.
12:14. 8분 정도 오르니 광이오름의 정상에 올라섰다.
12:15. 노형의 아파트단지와 멀리 도두봉까지 보인다.
12:15. 한라산쪽으로 검은오름과 어승생오름도 보인다.
12:20. 숨도 돌릴 겸 다시 한 잔 ^^ 20여 분 쉬고 ..
12:45. 광이오름 남쪽 기슭에 일본군넘덜이 만들어논 상처, 진지동굴이 두 개나 있다.
12:47. 오늘의 마지막 오름인 상여오름-염통악으로 가기위해 송전철탑이 보이는곳에서 빠져 나간다.
12:47. 송전철탑 옆으로 ..
12:48. 철조망이 막혔다. 철조망다라 왼쪽으로 ..
12:49. '방목중이니 문을 잘 닫아주세요' 라는 경고문이 붙어있다.
들어가서 문만 잘 닫으면 된다는데도 가달을 걸쳐그네 .. ㅉㅉ
12:50. 자연림 사이로 ..
12:55. 낮으막한 상여오름의 정상부가 보인다.
13:01. 정상에 올라서니 남쪽으로 100여 m 정도의 풀밭이 펼쳐져 있다.
13:01. 뒤돌아보니, 건너온 광이오름과 남조순오름.
13:01. 상여오름 정상에서 고사리도 좀 꺾고 .. ^^
13:03.
13:07. 고사리를 꺾느라고 ..
13:11. 시간은 가는데, 아랑곳않고 고사리만 찾고있으면서 안내려온다.
13:12. 찻소리가 들리는쪽으로 방향을 잡고 ..
13:13. 앞에 가드레일과 건너편 가드레일 사이 밑으로 애조路다.
13:13. '재게덜 옵센 !'
13:14. 오른쪽 밑으로 애조로를 끼고, 농로따라 동쪽으로 ..
13:19. 상여오름 동편에 있는 ..염통악파입도조묘역 표지석
13:21.
13:39. 정실마을 골목길에서 보이는 광이오름.
13:41. 정실마을 골목길에서 보이는 남조순오름.
13:56. 선덕어린이집부근에서 보는 민오름.